• 제목/요약/키워드: CES-D

검색결과 291건 처리시간 0.034초

북한어판 CES-D(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North Korea ; CES-D-NK)의 신뢰도와 타당도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North Korean Version of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NK))

  • 박승진;이소희;전진용;이태엽;한정미;안명희;홍진표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4-60
    • /
    • 2015
  • Objective : To translat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 into North Korean language and to examine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Methods : North Korean defectors (n=207) recruited from the call center for North Korean defectors participated. Psychiatrists and psychiatric residents interviewed the participants and made the psychiatric diagnoses. Subsequently, the participants completed the CES-D, Impact of Event-Scale-Revised-North Korea (IES-R-NK),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North Korea (AUDIT-NK), and Brief Psychological State Inventory for North Korean Refugees (BPSI-NKR) questionnaires. Of the original participants, 143 subjects participated in test-retest reliability study after one week. Results : Cronbach's alpha coefficient of CES-D-NK was superior in both males (0.91) and females (0.93). The test-retest correlation coefficient was high (males, 0.64 ; femals, 0.79). Good convergent validity was evident b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IER-R-NK, BPSI-NKR-Depression and BPSI-NKR-PTSD, respectively. CES-D-NK had no or weak correlations with AUDIT-NK and BPSI-NKR-Alcohol, showing its discriminant validity. Conclusion : CES-D-NK could be a reliable and valid tool for screening and assessing depressive symptoms of North Korean defectors.

일부 제조업 남성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와 우울과의 관련성 (The Association of Job Stress and Social Support with Depressive Symptoms among Manufacturing Male Workers)

  • 박승경;이후연;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216-224
    • /
    • 2018
  • 본 연구는 제조업 사업장 남성 근로자들의 우울수준을 알아보고 직무스트레스 내용(직무의 요구도, 직무의 자율성) 및 직장의 사회적지지(상사의 지지도, 동료의 지지도)와 우울과의 관련성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조사대상은 제조업 사업장 남성 근로자 428명으로 하였으며, 2017년 7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구조화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설문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조사대상자 중 우울경향이 있는 자(CES-D 점수 16점 이상)는 21.5% 이었다. 조사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 내용별 CES-D 점수는 업무의 요구도가 낮은 군보다 높은 군에서, 업무의 자율성이 높은 군보다 낮은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직장의 사회적지지도별 CES-D 점수는 상사의 지지도가 높은 군보다 낮은 군에서, 동료의 지지도가 높은 군보다 낮은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CES-D 점수는 업무의 요구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업무의 자율성, 상사의 지지도, 동료의 지지도와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업무 요구도가 높을수록, 업무의 자율성이 낮을수록, 상사와 동료의 지지도가 낮을수록 CES-D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CES-D 점수에 대한 설명력은 업무 요구도와 업무의 자율성이 추가됨에 따라 18.4% 유의하게 증가되었고, 상사의 지지도와 동료의 지지도가 추기됨에 따라 14.1%의 설명력이 증가되었다. 위와 같은 결과는 업무의 요구도와 업무의 자율성 및 상사와 동료의 지지도가 우울수준과 높은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장기요양서비스 이용 노인들의 신체적 및 정신적 기능과 관련 요인 (Status of Physical and Mental Function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the Elderly People Using from Long-Term Care Insurance Service)

  • 배남규;송영수;신은숙;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5976-5985
    • /
    • 2012
  • 본 연구는 장기요양서비스의 질 제고를 위해 장기요양서비스 이용 노인들의 신체적 및 정신적 기능 상태를 평가해 보고, 그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을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조사대상은 대전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중 장기요양서비스 이용자 350명(재가급여 178명, 시설급여 172명)으로 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2011년 2월 16일부터 3월 31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표준화된 무기명식 면접조사용 설문지를 사용하여 면접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재가급여 노인의 IADL과 MMSE-K는 시설급여 노인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 ADL과 CES-D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ADL, IADL, CES-D 및 MMSE-K 상호 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재가 및 시설급여 이용노인 모두 ADL은 IADL 및 MMSE-K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CES-D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IADL은 MMSE-K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CES-D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재가 및 시설 급여 이용 노인 모두 ADL과 IADL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건망증 증상 유무, 규칙적 운동 및 MMSE-K가 선정되었다. 또한 CES-D와 MMSE-K는 주관적 건강상태, 건망증 증상 유무 및 IADL이 유의하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는 장기요양서비스 이용 노인들의 신체적 및 정신적 기능은 개인의 건강상태나 건강관련행위 특성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일부 도시 지역사회 노인의 우울증 유병률 및 관련 요인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in an Urban Community)

  • 이영훈;신민호;권순석;최성우;이정애;최진수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3권3호
    • /
    • pp.303-315
    • /
    • 2008
  • - Abstract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and identify its related factors among an urban elderly. Methods: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obtained from 333 men and 514 women, aged 65-79 years who participated in '2007 community health survey' in Donggu, Gwangju metropolitan city. Their depressive symptoms were measured by Korean version of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 (CES-D). Results: The mean CES-D score (mean±S.D) for all subjects was 7.68±0.31. The mean CES-D score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women (9.09±0.43) than in the men (5.51±0.39) (p<0.001). The prevalence rates of possible depression (CES-D score ≥16), probable depression (CES-D score≥21), and definite depression (CES-D score≥25) were 8.1%, 5.4%, and 3.9% in men, respectively. The prevalence rates of possible depression, probable depression, and definite depression were 19.5%, 11.1%, and 7.2% in women, respectively. Existence of spouse (no/yes), education level (no/high school or higher), health security system (medical aid/national health insurance), self-reported health status (poor/good), vascular risk factors (present/absent) prov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ed factors of depression.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a systematic effort and attention to support for elderly people living alone, low educational level, medical aid, poor self-reported health status and vascular risk factors should be promoted to reduce the incidence of depression.

청소년 우울 측정을 위한 CES-D와 RADS-2-K 도구의 비교 (Comparison of CES-D and RADS-2-K in Measuring Adolescent Depression)

  • 성경미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53-62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cales measuring adolescent depression. Methods: A cross-sectional survey was conducted using CES-D and RADS-2-K as sales measuring adolescent depression. The participants were 1,217 adolescents from two middle schools located in South Korea.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1.0. All the items included in the two instruments were analysed through content analysis. Results: The study revealed that the two instruments produced different results in the number of depressive students, depression levels according to subjects' characteristics, and item distribution based on content analysis. The total number of the students belonging to the depression group was 194, including 132 from CES-D and 183 from RADS-2-K. Based on the content analysis covering two categories, general and adolescent depression, the study determined fifteen subcategories in the items of the two scales. Conclusion: In this study, CES-D showed less sensitivity than RADS-2-K in depression levels according to factors relevant to adolescent depression, and both scales had no item for three subcategories of adolescent depression and one subcategory of general depression. The researcher suggests that further studies to evaluate the validity of adolescent depression scales will be useful for helping adolescents with depression.

정신증상 자가평가를 위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활용 (Use of Mobile Mental Health Application for Self-Assessment of Psychiatric Symptoms)

  • 우정희;이상준;김은지;박종일;양종철;박태원;정상근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35-141
    • /
    • 2018
  • Objective : This study evaluated the role of smartphone application in the self-assessment of three psychiatric symptoms: stress,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Methods : A total of 5,646 respondents were evaluated with three scales (Perceived Stress Scale, PSS,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y for Depression, CES-D, Scale for Suicidal Ideation, SSI) via smartphone application 'mindscan'. We analyzed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the levels of three symptoms, an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scores on all three scales. Results : The mean total scores of PSS, CES-D, and SSI were 24.86, 35.15, and 18.03, respectively. Wome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PSS, CES-D, and SSI when compared with men. Younger users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score on all three scales when compared with older users. The scores on all three scales were higher than in other studies with off-line surveys. The P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ES-D (r=0.690), and with SSI (r=0.367). The CES-D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SI (r=0.540). Conclusions : A smartphone application for mental health based on three scales (PSS, CES-D, and SSI) is a relatively useful screening tool compared with off-line general population surveys. The association between the three scales refl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psychiatric symptoms observed in clinical practice.

북한이탈주민의 신체질환과 우울증상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Illness and Depression in North Korean Defectors)

  • 김석주;김효현;김정은;조성진;이유진
    • 정신신체의학
    • /
    • 제19권1호
    • /
    • pp.20-27
    • /
    • 2011
  • 연구목적: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신체질환이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 법: 인천 지역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주민 144명(남/여=20/124)과 남한 출생 주민 376명(남/여=133/243)이 연구에 참여했다. 모든 연구 참여자에게 일대일 면담을 시행하여 인구학적 정보와 신체질환 여부를 조사하였다. 또한, 우울 증상을 평가하기 위해 역학연구센터 우울척도(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studies-Depression Scale, CES-D)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결 과: 성별, 나이, 결혼 여부, 교육연한, 고용상태, 신체질환 여부와 같은 인구학적 변인을 통제한 이후에도 남한 출신 주민에 비해 북한이탈주민의 CES-D 점수가 높았다(${\beta}$=0.449, p<0.001). 또한 북한이탈주민에서는 신체질환이 다른 인구학적 변수와 독립적으로 높은 CES-D 점수를 예측할 수 있었으나(${\beta}$=0.243, p<0.001), 남한 출신 주민에서는 신체질환과 CES-D 점수가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신체질환을 동반한 북한이탈주민의 CES-D 점수($26.8{\pm}13.8$)는 신체질환이 없는 북한이탈주민($19.7{\pm}12.7$)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그러나, 신체질환이 있는 남한 주민($10.3{\pm}9.8$)과 신체질환이 없는 남한 주민의 CES-D 점수($9.3{\pm}8.8$)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북한이탈주민은 성별, 나이, 교육, 고용, 결혼 여부와 독립적으로 남한 출신 주민에 비해 우울증상이 심하였다. 또한, 북한이탈주민에서 신체질환과 우울증의 관련성이 유의하였다. 이는 특히 북한이탈주민의 경우 신체 질환이 있을 때 우울증상에 대한 평가도 함께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 PDF

장기요양시설 노인의 삶의 질에 관련된 요인 (Factors related to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People in Long-term Care Center)

  • 신민우;안권숙;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524-537
    • /
    • 2017
  • 본 연구는 장기요양시설 노인의 삶의 질에 관련된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관련행위특성, 구강건강영향지수(OHIP-14), 신체적 기능(ADL, IADL) 및 정신적 기능(CES-D, MMSE-K)과 삶의 질(WHOQOL-BREF)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은 장기요양인정자로 판정받은 장기요양시설급여노인 602명으로 하였으며, 2016년 5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직접 면접조사와 구강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의 삶의 질은 남성보다 여성에서, 생활비조달을 본인이 하는 경우보다 자녀가 조달하거나 정부의 보조를 받는다는 군에서, 요양기간이 길수록, 비음주군보다 음주군에서, 규칙적인 운동을 한다는 군보다 하지 않는다는 군에서, 식사를 규칙적으로 한다는 군보다 하지 않는다는 군에서,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건강하다는 군보다 건강하지 않다는 군에서, 1일 칫솔질 횟수가 적을수록, 구강건조증이 없다는 군보다 있다는 군에서, 구강건강영향지수(OHIP-14)가 낮을수록, 신체적 기능(ADL, IADL)이 낮을수록, 정신적 기능(CES-D, MMSE-K)이 낮을수록 유의하게 낮았다. 특히 삶의 질은 다른 요인보다 건강관련행위특성과 정신적 기능(CES-D, MMSE-K)에 의해 더 큰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장기요양시설 노인의 삶의 질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바람직한 건강관련행위를 비롯하여 우울 및 인지기능장해를 예방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장기요양시설 노인의 신체적·정신적 기능 및 구강건강영향지수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Physical and Mental Function, and Oral Health Impact Profiles on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People in Long-term Care Centers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 신민우;이영옥;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500-511
    • /
    • 2016
  • 본 연구는 장기요양시설 노인의 신체적 기능(ADL, IADL), 정신적 기능(CES-D, MMSE-K) 및 구강건강영향지수(OHIP-14)가 삶의 질(WHOQOL-BREF)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도하였다. 조사대상은 장기요양시설에 입소하여 있는 노인 602명으로 하였으며, 조사는 2014년 5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의 정신적 기능(CES-D, MMSE-K)은 신체적 기능(ADL, IADL)이나 구강건강영향지수(OHIP-14)보다 삶의 질에 더 큰 영향을 미쳤으며, 신체적 기능과 구강건강영향지수가 높을수록, 정신적 기능이 높을수록 삶의 질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볼 때, 장기요양시설 노인들의 삶의 질은 신체적 기능, 정신적 기능 및 구강건강영향지수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CES-D와 로샤검사를 통해 본 북한이탈주민의 우울감 (North Korean Defectors' depression through the CES-D and the Rorschach test)

  • 김종남;최윤경;채정민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4권2호
    • /
    • pp.41-61
    • /
    • 2008
  • 본 연구는 그동안 많은 주목을 받아왔던 북한이탈주민의 우울감에 대해 기존에 주로 사용하던 자기보고식 질문지법이외에도 새로이 투사적 검사법을 사용하여 입체적으로 조명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북한이탈주민의 우울감에 대해 좀 더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비교집단으로서 남한주민을 포함시켰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 40명과 남한주민 40명의 자료를 토대로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ES-D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이 남한주민보다 더 높은 우울 점수를 보였다. 그리고 로샤검사 결과에서는 양측 주민들의 DEPI, CDI, S-CON 지표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양측 주민들에게서 성별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북한 이탈주민 여자의 CDI의 점수가 가장 높았다. 이는 북한이탈주민 남자에 비해 여자가 실제로 심리적인 어려움을 더 크게 겪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셋째, 양측 주민들이 보인 CES-D와 로샤검사의 DEPI 점수 간의 상관계수의 차이 분석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남한주민과 북한이탈주민의 우울감과 관련해서는 자기보고 과정에서 상이한 패턴을 보일 수 있음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