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P

검색결과 376건 처리시간 0.026초

A CCD Photometric Study of Close Binary V445 Cep

  • Oh, Kyu-Dong;Kim, Ho-Il;Sung, Eon-Chang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7권2호
    • /
    • pp.69-74
    • /
    • 2010
  • We present new BVR CCD photometric light curves for the close binary star V445 Cep. A new photometric solution and absolute physical dimensions of the system were derived by applying the Wilson-Devinney program to our observed light curves and radial velocity curves published by Pych et al. The evolutional status of V445 Cep was found to coincide with those of the general low mass ratio contact binary systems.

LIGHT CURVE ANALYSIS OF CW CEPHEI

  • YIM Jo RYEONG;KIM CHUN-HWEY;HAN WONYONG
    • 천문학회지
    • /
    • 제29권spc1호
    • /
    • pp.241-242
    • /
    • 1996
  • The UBV observations of the close binary system CW Cephei were made from August 198:3 to December 1984 during 25 nights using the 61cm Boller and Chivens reflector at the Sobaeksan Astronomy Observatory. The new UBV light curves were analyzed with the recent Wilson-Devinney binary model. Our photometric solution for CW Cep were well consistent with those of Clausen &. Gimenez (1991). Using our photometric solution and Popper & Hill (1991) spectroscopic one, each absolute masses and radii of components for CW Cep were derived as 13.63 M$\bigodot$ and 5.83 R$\bigodot$ for the primary, and 12.18 M$\bigodot$ and 5.14 R$\bigodot$ for the secondary, respectively.

  • PDF

터너증후군 의심환자에서 2개의 SRY 유전자 발현 1예 (A Case of Two SRY Genes in a Tuner's Syndrome Feature)

  • 박상묵;김윤식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111-115
    • /
    • 2010
  • A 15-year-old female with primary amenorrhea and Tuner's syndrome feature was referred for a chromosome analysis. The karyotype of the patient was 45,X/46,X,der(Y) mosaicism under initial GTG-banding analysis.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FISH) analysis with probe for CEP X probes and SRY probe (Vysis, Inc. Downers Grove, IL 60515, USA) was carried out. This probe is direct labeled with SpectrumOrange (SRY, Yp11.3) and is available as a single probe or mixed with the CEP X SpectrumGreen probe. SRY SpectrumOrange/CEP X SpectrumGreen hybridized to a specimen obtained from an two isodicentric Y chromosomes. The karyotype of the patient was ish Xcen(DXZ1x1)/Xcen(DXZ1x1), Yp11.3(SRYx2) by using FISH. This karyotype was considered a variant of Tuner syndrome with mixed gonadal dysgenesis (MGD), male pseudohermaphroitism (MPH) and apparently normal male.

  • PDF

배합사료로 장기간 사육된 넙치의 육질평가 (Long-term Evaluation of Muscle Quality of th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Fed with Extruded Pellet)

  • 김강웅;강용진;김경덕;최세민;이종윤;이해영;배승철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1-55
    • /
    • 2007
  • 이 연구는 실용 배합사료를 자체 제작한 기존의 배합사료, 상품사료 및 습사료를 장기간 걸쳐 사육한 넙치에 대해 육질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실험어는 13개월간 사육한 넙치 성어기(600 g 전후) 대상으로 수행하였으며, 실험사료는 시험사료(EP1 및 EP2) 2종, 상품사료(CEP) 및 습사료(MP)를 공급하였다. 전어체의 성분분석은 조단백질은 EP2가 EP1 및 CEP 사료구 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조지방은 EP2 및 MP 사료구가 CEP 사료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근육내 유리아미노산의 성분분석은 EP사료구간에서 MP 사료구보다 proline, glycine, alanine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taurine에 있어서 EP1 사료구가 다른 사료구와 비교하여 높은 경향을 보였다. 핵산 관련물질 성분분석은 ATP 및 IMP의 양에서 배합사료에서 습사료보다 높은 값을 보였으며, 특히 EP2에서 다른 사료구와 비교하여 높은 값을 보였다. 관능검사는 향, 외관, 맛에 있어서 EP 사료구와 MP 사료구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전반적인 기호도에 있어 EP2가 다른 사료구들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물리적 성질의 경도 측정은 EP2는 EP1 및 CEP 사료구와 비교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탄력성과 응집성은 모든 사료구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상기 결과를 토대로 그동안 배합사료를 넙치에 공급한 연구 결과를 고려하였을 때, 생사료를 공급한 넙치에 비해 품질이 결코 떨어지지 않으며, 오히려 배합사료를 공급한 양식산 넙치가 체계적인 관리 하에 앞으로 품질향상을 더 높일 수 있을 것이다.

CEP290 돌연변이로 인해 발생한 Joubert 증후군 말기 신부전 1례 (A Case of End-Stage Renal Disease with Joubert Syndrome due to CEP290 Mutation)

  • 김성훈;이상택;성문우;김만진;이준화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9-35
    • /
    • 2020
  • 쥬버트 증후군(JS, Joubert syndrome)은 대부분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되는 유전성 대사질환으로 임상증상은 신생아 시기부터 발현된다. 저자들은 신생아기부터 특징적인 임상 증상이 순차적으로 발현되어 임상적으로 JS를 의심하였으나 특징적인 뇌 MRI 소견인 molar tooth sign (MTS)이 늦게 나타난 후 전장엑솜분석(WES, whole exome sequencing)으로 확진 된, 말기 신부전을 동반한 JS 1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14세 남자 환자는 출생 직후 반복적인 무호흡과 과호흡으로 치료받은 병력이 있으며, 생후 8개월때부터 전반적 발달 지연과 관련되어 처음 병원을 방문하여 기본적인 발달 지연에 관한 검사를 시행하였으나 특이 소견 없었고, 이후 15개월 때 근육생검을 포함한 여러 검사를 통해 사립체(mitochondrial) 질환으로 진단 되었었다. 이후 물리 치료만 하며 관찰 하던 중 안구진탕과 망막질환이 확인되었다. 생후 7세 8개월에는 처음 발작이 있었으며, 말기 신부전이 있어 8세부터 혈액투석을 시작한 후, 혈액 투석 직후 수차례 발작이 있었으나 전해질 불균형으로 인한 발작으로 진단하여 항뇌전증 약물 치료는 하지 않았다. 9세 4개월 때 고혈압으로 인한 뇌출혈로 치료 받았으며, 이때 시행한 뇌 CT상 MTS가 처음 의심되었다. 13세 10개월에 시행한 뇌 MRI 검사상 MTS가 명확히 확인되었고, 전장엑솜 분석으로 JS의 CEP290 mutation (c.6012-12T>A)이 확인되었다. 환자는 신생아기부터 발현된 특징적인 임상 소견과 말기 신부전 상태, 뇌 CT 또는 MRI소견, 그리고 전장엑솜분석 검사로 JS로 확진하였다. JS는 임상 양상이 다양할 뿐만 아니라 진단에 중요한 MTS 소견이 초기에 보이지 않더라도, 임상적으로 의심된다면 확진을 위해서 전장엑솜분석을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건조 배합사료로 사육한 넙치 어육의 유리아미노산 및 핵산 관련 성분의 비교 (Comparison of Free Amino Acids and Nucleotides Content in th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Fed with Extruded Pellet)

  • 장미순;박희연;김강웅;김경덕;손맹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746-754
    • /
    • 2011
  • 배합사료를 공급한 양식 넙치와 생사료를 공급한 양식넙치의 핵산 관련 물질 및 유리아미노산 측정을 통한 품질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넙치 등근육의 핵산관련물질은 모든 실험사료구에서 공통적으로 AMP 함량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IMP의 함량이 높았다. 공급한 사료에 따라서 HxR의 성분에는 유의적인 차이(p<0.05)를 보였으나, 핵산 관련물질 조성의 분포양상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넙치 지느러미살의 핵산 관련 물질 조성 중 공급한 사료의 종류에 상관없이 IMP 함량이 공통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함량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어육의 초기 변화 정도를 측정하는 K value는 넙치 등근육에서 MP, CEP 및 FEP의 공급구가 각각 9.63%, 9.83% 및 5.84%를 나타내었고, 넙치 지느러미 살에서는 각각 15.71%, 11.22% 및 17.60%를 나타내었다. 넙치를 사육하는 동안 공급하는 사료의 종류에 따라 등 근육 및 지느러미살의 특정 유리아미노산 함량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으나, 전반전인 유리아미노산의 조성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유리아미노산 중에서 taurine 함량이 모든 실험사료구에서 공통적으로 가장 높았고, CEP 및 FEP 공급구는 asparagine과 citrulline의 함량이 MP 공급구보다 높았다. 이처럼, 넙치를 사육하는 동안 공급하는 사료의 종류에 따라 등근육 및 지느러미살의 특정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에 차이가 나는 것으로 볼 때, 맛과 풍미에 큰 영향을 미치는 유리아미노산 조성의 규명은 기호도를 예측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라 생각된다.

ESPER 엔진 기반의 CEP 모델 설계 및 평가 (CEP Model Design and Revaluation Using ESPER Engine)

  • 김환;황부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113-1115
    • /
    • 2012
  • IT 기술이 성장함에 따라 발생되는 데이터의 양이 많아지고 기존의 방식으로 처리하기 힘든 빅 데이터가 이슈가 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대용량 데이터 처리기술 또한 발전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실시간 대용량 데이터 처리를 위한 Complex Event Processing을 소개하고 ESPER 엔진 기반의 Complex Event Processing 모델을 설계하고 이에 대한 성능을 평가했다.

고해상도 위성영상 GeoEye-1과 WorldView-2의 RPC 블록조정모델 정확도 분석 (Accuracy Investigation of RPC-based Block Adjustment Using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s GeoEye-1 and WorldView-2)

  • 최선용;강준묵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07-116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위성센서로부터 획득한 네 개의 고해상도 위성영상에 대해 영상과 함께 제공되는 RPC 기반의 블록조정 모델을 구성하고 3차원 위치결정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실험자료로는 In-track 입체영상 획득방법으로 촬영된 두 개의 GeoEye-1 및 WorldView-2 입체 영상쌍과 DGPS 측량성과를 활용하였다. RPC 블록조정 모델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동종(同種) 영상으로 구성한 두 개의 입체영상 모델 및 이종(異種) 영상으로 구성한 네 개의 입체영상 모델과 세 개의 삼중영상 모델 및 하나의 사중영상 모델의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각 모델의 정확도는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지상기준점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CEP(90) 2.3m, LEP(90) 2.5m, 하나의 지상 기준점을 사용하였을 경우 CEP(90) 0.3m, LEP(90) 0.5m를 나타냈다.

넙치 치어의 품질향상된 배합사료 개발을 위한 효과시험 (Evaluation of the improving extruded pellet for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김강웅;허샛별;김경덕;손맹현;김신권;박민우;배승철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1권4호
    • /
    • pp.562-567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of improving extruded pellet (EP) for growth of juvenile flounder by comparing with raw fish-based moist pellet (MP) diet. Two replicate groups of 80 fish per each tank (initial weight of $36.0{\pm}1.2 g$) were fed one of the three EPs (EP1, EP2 and CEP) and (MP for 16 weeks. Survival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experimental diets (P>0.05). Weight gain of fish fed the MP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fish fed the EP1 & EP2 (P>0.05), but that of fish fed CE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fish fed MP (P<0.05). Specific growth rate of fish fed the CE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fish fed EP1, EP2 and MP (P<0.05). Feed efficiency of fish fed the EP1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fish fed CEP and MP (P<0.05), but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fish fed EP2 (P>0.05). The Contents of crude protein and crude lipid in whole bod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all groups (P<0.05). Therefore, these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EP1 & EP2 diets could be developed to replace MP diet for flounder without adverse effects on growth performance.

3차원 모델 형상과 원형공산오차를 고려한 목표점 자동 생성 기법 (Automatic Generation of Aimpoints Using 3D Target Shapes and CEP)

  • 강윤아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8권2호
    • /
    • pp.71-79
    • /
    • 2019
  • 본 연구는 비행체의 목표지와 진입방향이 정해졌을 때, 목표지점 3차원 모델의 형상과 비행체의 원형공산오차를 고려하여 최종 목표점을 자동으로 생성해 내는 기법에 대한 것이다. 기존에는 목표점을 사용자가 경험에 의존하여 선정하거나 단순히 중심으로 선정하는 경우가 많았고, 진입방향이 정해지기 전 선정하였기 때문에 최적의 위치를 선정할 수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진입방향이 결정된 후 자동으로 목표점을 생성하여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기법은 크게 참조면 및 진입 후보점을 생성하는 단계, 각 진입 후보점의 점수를 계산하는 단계, 마지막으로 최종 목표점을 계산하는 총 3개의 단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본문에서는 각 단계에 대한 설명과 다양한 테스트케이스를 이용한 실험 결과를 기술한다. 본 연구를 통해 사용자는 비행체가 정상진입이 가능할 확률이 높은 목표점을 손쉽게 확인 및 적용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