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CHE1D

Search Result 26,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Numerical analysis of the Sediment Pass-Through from Weirs by using CCHE2D (수치모형을 이용한 보의 토사토출 효과 분석)

  • Jang, Chang-Lae;Lee, Kyu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534-534
    • /
    • 2012
  • 최근 집중호우 등으로 인하여 유역에 생산된 토사가 하도에 유입되면서 하상 및 지형변동을 일으키고 있으며, 보 및 댐 상류에서 유사의 퇴적으로 인하여 홍수위 변화와 저수지 기능감소 등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이로 인하여 댐 및 보의 지속적인 유지관리를 위하여 유사관리 방안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에 건설된 상주보와 구미보를 대상으로 CCHE2D모형을 이용하여 보의 상류에 퇴적된 토사의 토출(배출(排出), SPT)효과를 분석하였다. 토사 토출 효과를 예측하기 위하여 2차원 하상변동 수치모형인 CCHE2D를 이용한 하상변동 과정을 모의한 결과, 보 상류에서는 수문을 통과하여 흐르는 유속으로 인하여 하상이 저하 되었으며, 보 하류에서는 상류에서 유입되는 유사량과 지형적인 영향을 받아 세굴과 퇴적이 반복되는 경향을 보였다. 상류에서 2년빈도 유량, $1,500m^3/s$, $1,000m^3/s$, 풍수량으로 48시간 동안 상주보와 구미보로 유입될 때, 수문이 완전히 열린 상태로 있을 경우에, 상주보와 구미보에서 배사효과를 예측하기 위하여 유사 전달(Sediment delivery)을 분석하였다. 상주보와 구미보에서 배사효과를 예측하기 위하여 유사 전달을 분석한 결과, 상주보는 2년빈도 유량인 $3,857m^3/s$로 48시간 동안 상주보로 유입될 때, 보에서 하류로 전달되는 유사량은 약 4,400 tons 정도로 산정되었다. 유량인 $1,500m^3/s$일 때, 약 2,700 tons이 하류로 전달되지만, 최대 유사전달이 발생되는 지점은 보 하류에서 발생하였다. 풍수량 인 $207.4m^3/s$ 일 때, 1,357 tons이 하류로 전달되며, 최대 유사전달이 발생되는 지점은 상주보에서 발생하였다. 구미보는 2년빈도 유량인 $5,400m^3/s$로 48시간 동안 상주보로 유입될 때, 보에서 하류로 전달되는 유사량은 약 3,216 tons 정도로 산정되었다. 유량이 $1,500m^3/s$일 때, 약 73 tons이 하류로 전달되지만, 최대 유사전달이 발생되는 지점은 보에서 발생하였다. 유량인 $1,000m^3/s$일 때, 약 16 tons이 하류로 전달되며, 풍수량 인 $129.7m^3/s$일 때, 28 tons이 하류로 전달되었다. 상주보와 구미보 상류에서는 유사 전달이 감소하여, 유사가 약간 퇴적되는 경향을 보이지만, 전 구간에 걸쳐서 대체적으로 유사 전달이 크게 변하지 않고 있다. 보 상류를 제외하고는 전제적으로 하상고의 변화가 거의 없이 평형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류에서 2년빈도의 홍수량이 유입될 때, 수문을 완전히 개방할 경우에 배사 효과가 크게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

Evaluation of Optimal Grid Resolution for Hydrodynamic Proper Simulation (수리동역학적 모의를 위한 적정 격자해상도 산정방법)

  • Ahn, Jung-Min;Park, In-Hyeok;Lyu, Si-Wan;Hur, Young-Teck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20 no.1
    • /
    • pp.109-116
    • /
    • 2012
  • The effect of the grid resolution on the hydrodynamic simulation has been investigated by using CCHE2D and EFDC. Since a high resolution of the grid results in the increase of computation time, an appropriate grid resolution should be selected by considering the efficiency of simulation according to the objectives of projects.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 of grid resolution and determine the optimal grid resolution, several cases with different lateral grid resolutions have been simulated for the reach of Nakdong river at the confluence of Kumho river for the floods in 2006. Orthogonal curvilinear grids for the domain have been constructed from the survey products at the sections with the longitudinal interval of 20 m. Area-elevation curve and the comparison of simulated results with measured stage at the specific station have been used to check the effect of grid resolution. From the results, the existence of optimal grid resolution has been observed, which ensure both efficiency of computation and certainty of results.

Analysis and Application of CCHE2D on Channel-Bed Elevation Changes Downstream from Yong-Ju Multi-purpose Dam in Korea (댐건설로 인한 댐하류 하상변동 CCHE2D모형 분석.적용(영주댐하류 내성천 회룡포 구간 중심으로))

  • Kim, June-Ho;Park, Jae-Young;Kim, Jong-G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42-342
    • /
    • 2011
  • 댐의 건설로 인해 자연적인 물의 흐름이 댐 운영에 의하여 조절되기 때문에 유사의 연속성 및 유량의 변화에 따른 지형 환경적 변화가 예상된다. 따라서 영향분석을 위한 체계적인 조사 및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내성천 영주댐 건설 예정지로부터 48.4km 하류인 회룡포 구간에서 하상변동이 예상됨에 따라 현장 조사를 수행하고, 장래변화를 예측하기 위하여 수치모델을 수행하였다. 수리학적 변화량은 금회 수립중인 하천정비계획의 계획 홍수량인 댐건설 전 4,040cms, 댐건설 후 2,934cms로 구분하고, 유사변화량은 영주댐 실시설계 보고서결과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한편 2001년과 2010년의 실측종단변화를 검토한 결과, 회룡포 구간에서 0.5m~1.7m의 퇴적이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수치모델 및 실측한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판단한 결과, 단기호우사상에 대해 댐 건설 후 회룡포 구간의 사주퇴적능력은 -0.05m로 감소되어 그 영향은 비교적 미미할 것으로 분석 되었고, 대부분의 변화는 주수로에서 -0.5~0.5m로 변화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하상 변동의 양상은 실측한 10년간의 종단변화와 같은 경향성을 보이며, 횡단번호 No.15 이후로 0.5m이상 퇴적이 이루어 질 것으로 예측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댐건설로 인한 하천 하상변화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고 하천공사 나 수리구조물 설계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조사를 통하여 하상변동양상을 관측하고 분석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 Analysis of Bed Change Characteristics by Bed Protection Work (바닥보호공 설치에 따른 하상변동 특성 분석)

  • Son, Ah Long;Kim, Byung Hyun;Moon, Bo Ram;Han, Kun Yeu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5 no.4
    • /
    • pp.821-834
    • /
    • 2015
  • This study presents the analysis of flow and bed change characteristics considering bed protection work built on the immediate downstream of weir to protect river bed from scouring. The study area is 37km reach from Hyunpoong station to Masuwon station including Hapcheon- Changryoung multi-function weir in the Nakdong river. CCHE2D model is calibrated and validated for evaluating the flow and bed change characteristics during Typhoon Kompasu in 2010. Three simulation conditions are set up: Case 1 is a natural channel without installation of weir. Case 2 involves an installation of weir in the natural channel. Case 3 involves an installation of weir with bed protection in the natural channel. Flood frequency (50, 100 and 200yr) is applied to each scenario to analyze the effects of bed protection work. While the sediment rate is increased in the downstream of fixed gate and sluice-type gate, river bed scouring rate is increased in the downstream of lift-type gate in Case 2 comparing with the results of Case 1. The river bed scouring is not occurred in the immediate downstream of weir (~30m) due to the effect of bed protection, but larger amount of sediment is occurred in the downstream of weir (60m~) which the bed protection is not installed comparing with the results Case 1. Through the results of simulation considering bed protection work, this study would be helpful to expect bed change and operate the weir as well as manage.

Numerical Model Application for Analysis of Flood Level Mitigation due to Retention-Basin (강변저류지 홍수위 저감효과 분석을 위한 수치모형 적용)

  • Cho, Gilje;Rhee, Dong Sop;Kim, Hyung-J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5 no.1
    • /
    • pp.495-505
    • /
    • 2014
  • The retention basin is a river-facility for the flood mitigation by storing the river flow temporarily. The new 3 retention basins are installed in these regions YeoJu, NaJu, YoungWol by the Large River Management Project. In this study, 1D and 2D numerical flow simulation are conducted to evaluate the reduction effect of the peak flood stage for the YeoJu retention basin. HEC-RAS and FLDWAV models are used for 1D simulation with the option of retention basin. CCHE2D model is used for 2D simulation with the same hydrograph used in 1D simulation. It is verified that the peak flood stage is reduced very largely about 0.13 m near the overtopping section of the levee in 1D simulation. It is verified that the peak flood stage is reduced very largely about 0.20 m at the upstream-end of the simulated reach in 2D simulation. 2D simulation for the retention basin is more reasonable becaus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opography in the model, and also more advantageous for the evaluation of the flow characteristics of the in- and outside of the retention basin on the results of simulation of this study.

Stream Type Classification and 2-Dimensional Hydraulic Characteristics and Bed Change in Anseongcheon Streams and Tributaries (안성천 중소하천의 하천분류 및 2차원 수리특성, 하상변동 모의)

  • Lee, Ji-Wan;Lee, Mi-Seon;Jung, In-Kyun;Park, Geun-Ae;Kim, Seong-Jo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4 no.4
    • /
    • pp.77-91
    • /
    • 2011
  • This study tries to find a streambed scouring and sedimentation characteristics through the Rosgen(1994)'s stream classification system while experiencing several flood events. The Jinwee and Osan streams, the tributaries of Anseongcheon were selected. The streams showed type C or type E. By the classification results, two Type C tributaries one Type C stream and one Type E tributary were selected. For the four selected stream reaches, the analysis of streambed change was implemented by using numerical model CCHE2D (Center for Computational Hydroscience and Engineering). To prepare the inlet boundary conditions of each stream, the WMS (Watershed Modeling System) HEC-1 was used and the streamflows of 50, 80, and 100-year return period were generated and the outlet boundary was set to an open boundary condition. The simulation results showed that when the flood pulse periodically the streambed changes also appears regularly. The results can be used to acquire the basic data for stream restoration.

A Study on Development of Assessment Model for Spatio-Temporal Changes in River Bed Using Numerical Models (수치모형을 이용한 하상변동 시공간 평가 기법 개발 연구)

  • Kim, Chul-Moon;Lee, Jeong-Ju;Choi, Su-Won;Ahn, Won-Si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4 no.12
    • /
    • pp.975-990
    • /
    • 2011
  • In this study, to develop an assessment method for spatio-temporal riverbed changes, a 1-dimensional model (HEC-RAS) and a 2-dimensional model (CCHE2D) were built and applied. As for the analysis of a riverbed's long-term change in a real stream, three new assessment methods were developed, which are called the "Sediment section cumulative curve", "Sediment section moment", and "Sediment probability distribution function." These methods were used to assess the characteristics of riverbed changes using a consistent valuation standard and to understand changes in quantities intuitively.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sediment characteristics of cross sections can be detected effectively by applying the "Sediment section cumulative curve" method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y sedimentation or erosion in total emission. The amount of sedimentation or erosion occurring in the right or left banks, which divided by center column, could be presented as one criterion by applying the "Sediment section moment" method. This approach could be utilized as an indicator for sediment predictions. Spatio-temporal sediment variables can be presented quantitatively by determining the mean and uncertain boundaries through the "Sediment probability distribution function", and finally, the results can be illustrated for each cross section to provide intuitive recognition.

A Study of Sediment Discharge and Bed Change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Rivers in Korea (국내 지방하천의 유사량과 하상변동 특성에 관한 연구)

  • Son, Hogeun;Lee, Jungsik;Shin, Shachul;Moon, Changgeon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5 no.6
    • /
    • pp.31-39
    • /
    • 201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proper sediment transport equation and short and long-term bed change for planning and implementing the river management in Korea. To analyze total sediment discharge and short and long-term bed change, existing sediment transport equations, HEC-RAS 4.1 and CCHE2D numerical models were applied in urban and mountainous riv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ly, the modified Einstein equation showed the most appropriate result for the estimation of total sediment discharge in the local rivers. Secondly, The stage-discharge relation curve and the discharge-total sediment discharge relation curve were suggest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river bed change. Finally, it is founded that river bed change of mountainous river has occurred greater than that of the urban river, and the river bed of urban river now tends to be stabilized on the whole.

Analysis of Flow Characteristics Using River Morphological Complexity Scenario (하천복잡도 시나리오를 이용한 흐름특성 모의 분석)

  • Lee, Ji-Wan;Jung, In-Kyun;Park, Jong-Yoon;Jung, Chung-Gill;Lee, Mi-Seon;Kim, S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41-141
    • /
    • 2011
  • 생태적 기능이 담보되는 하안의 조성 및 복원은 필연적으로 하안공간에서 물리적 구조변화를 야기한다. 이러한 하안공간의 물리적 구조변화는 장기적으로 구간에서의 생태적 기능뿐만 아니라 단기적으로 하천의 수리특성변화를 야기한다. 이러한 수리특성변화는 복원구간에서의 생태적 기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하천복잡도에 따른 수리특성의 변화는 자연형 하천복원에 영향을 주는 변수이므로 이들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하천복잡도 시나리오의 수립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차원 하상변동 수치모형인 CCHE2D 모형을 이용하여 하천유형에 따른 수리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하천복잡도 시나리오는 Rosgen (1994)에 의해 제안된 하천분류방법과 유량크기별 모의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모델에 적용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은 안성천유역의 오산천과 진위천으로 하천분류결과 크게 C유형과 E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분류된 유형의 수리특성 분석을 위해 C 유형의 구간중 진위천 본류구간과 통삼천의 만곡구간을 선정하여 모형을 구동하였다. 모형의 입력자료인 유한요소망은 하천정비기본계획의 부도를 이용하여 생성하였으며 모델의 경계입력자료는 WMS HEC-1의 유출량 결과 자료를 사용하였다. 빈도별 강우량 자료를 Huff의 4분위 법을 적용하여 24시간으로 분포화하여 빈도별, 구간별 유출량 자료를 구축하여 모의 하였다. 선정한 하천유형구간에 대하여 유량크기별 수위, 유속, 한계유속, 소류력에 대한 흐름특성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조도계수의 변화에 따른 흐름특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 PDF

Comparison of Roughness Coefficients for 1D and 2D Hydraulic Modeling (1차원 및 2차원 수치모의를 위한 조도계수 비교)

  • Ahn, Jung-Min;Lyu, Si-Wan;Kim, Hyeon-Sik;Park, In-Hyeok;Hwang, Phyil-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576-580
    • /
    • 2012
  • 하도내 수리구조물 건설과 준설로 인해 발생되는 급격한 수리특성의 변화와 편수위로 야기될 수 있는 제방의 파괴 및 침식을 검토하기 위해서는 다차원 모형의 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HEC-RAS로 산정한 조도계수를 다차원 모형에 적용하여 수리거동을 분석하였다. 낙동강 수계에 대해 2003년, 2004년, 2006년 그리고 2007년 태풍 사상에 대해 적용하였으며 HEC-RAS 모형의 조도계수를 0.01부터 0.04까지 0.001씩 증가하여 HEC-RAS 모형에 적용하였고 부정류 흐름모의를 수행하여 RMSE와 NRMSE를 이용해 관측 값과 비교하였다. 공간단위 다차원 모형은 격자크기, 만곡도, 난류 등으로 인한 손실이 추가적으로 반영되기 때문에 선단위 1차원 모형에서 산정된 조도계수를 적용할 경우 실측 관측 수위보다 큰 값이 산정되었다. 따라서, 1차원 수치모형에 의해 산정된 조도계수를 다차원 모형에 그대로 적용할 경우 과대한 수위를 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모형 차원에 따른 별도의 보정을 수행하여 얻어진 조도계수를 적용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