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CG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2초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 성능에 미치는 MEA 가압제조 공정 조건의 영향 (Performance of Fuel Cell with PEMFC Fabricated under Different Pressure)

  • 이기성;심수만;김동민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4권1호
    • /
    • pp.70-75
    • /
    • 2013
  • It has fabricated membrane electrode assemblies (MEA) for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by hot-pressing method. The hot-pressing was used for the fabrication of MEA which is composed of commercial platinum electrode on carbon paper. The performance of MEA was studied with different fabrication conditions of temperature, pressure and torque.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the performance of MEA was increased. and started to decrease l after arrived at the maximum performance of MEA. This is related with good contact between electrode and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at high temperature and microstructural change at much higher temperature. Similarly, as the pressure increased, the performance of the MEA increased up to highest values and start to decrease. According to the our results, the maximal performance of the MEA was at the temperature of $140^{\circ}C$ and the pressure of $1.5{\times}10^3$ kPa. The optimal torque to assemble the single stack was 3.2 N m.

느타리버섯속(屬)의 DNA 다형성분석(多型性分析)에 영향(影響)을 미치는 PCR 조건(條件) (Parameters Affecting Polymerase Chain Reaction in RAPD Analysis of Pleurotus spp.)

  • 김범기;정미정;이창수;이희경;유영복;유진창
    • 한국균학회지
    • /
    • 제23권3호통권74호
    • /
    • pp.202-208
    • /
    • 1995
  • 본 실험결과 느타리버섯속에서의 재현성 있는 최적 RAPD 조건은 $50\;{\mu}l$ 반응액에서 80 ng template DNA, 30 pmole primer, $200\;{\mu}M$ dNTP, 2 mM $MgCl_2$, 50 mM KCl, 10 mM Tris-HCI(pH 9.0), 0.1% Triton X-100, 1.5 unit Taq polymerase(promega)였다. 여섯 개의 primer가 Pleurotus속 8종의 균주에서 RAPD polymorphism을 보임을 알 수 있었으며, 이들의 염기배열은 PR2(GGG GGG AAG C), PR3(GCG GTT GAG G), PR4(CGC ACC GCA C), PR10(CAA TCG CCG T), PR11(CAG CAC CCA C), PR17(TAG GCG TAT CAG GAG GCC CT)이었다.

  • PDF

The Expression of MRTF-A and AQP1 Play Important Roles in the Pathological Vascular Remodeling

  • Jiang, Yo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4호
    • /
    • pp.1375-1383
    • /
    • 2015
  • Background: Objective Myocardin-related transcription factor (MRTF)-A is a Rho signaling-responsive co-activator of serum response factor (SRF).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ole of MRTF-A and AQP1 (aquaporin 1) in pathological vascular remodeling. Materials and Methods: MRTF-A, AQP1 and neointima expression was detected both in the wire injured femoral arteries of wild-type mice and the atherosclerotic aortic tissues of $ApoE^{-/-}$ mice. Expression of ICAM-1, matrix metallopeptidase 9 (MMP-9) and integrin ${\beta}1$ were also assayed. The intercourse relationship between the molecules were investigated by interfering RNA and inhibitor assay. Results: MRTF-A and AQP1 express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wire injured femoral arteries of wild-type mice and in the atherosclerotic aortic tissues of $ApoE^{-/-}$ mice than in healthy control tissues. Both in wire-injured femoral arteries in MRTF-A knockout ($Mkl1^{-/-}$) mice and atherosclerotic lesions in $Mkl1^{-/-}$; $ApoE^{-/-}$ mice, neointima formation were significantly attenuated and the expression of AQP1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Expression of ICAM-1, matrix metallopeptidase 9 (MMP-9) and integrin ${\beta}1$, three SRF targets and key regulators of cell migration, and AQP1 in injured arteries was significantly weaker in $Mkl1^{-/-}$ mice than in wild-type mice. In cultured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VSMCs), knocking down MRTF-A reduced expression of these genes and significantly impaired cell migration. Underlying the increased MRTF-A expression in dedifferentiated VSMCs were the down-regulation of microRNA-300. Moreover, the MRTF-A inhibitor CCG1423 significantly reduced neointima formation following wire injury in mice. Conclusions: MRTF-A could be a novel therapeutic target for the treatment of vascular diseases.

Effectiveness of Individual and Group Counseling for Cessation of Tobacco Habit Amongst Industrial Workers in Pimpri, Pune - An Interventional Study

  • Savant, Suyog Chandrashekhar;Hegde-Shetiya, Sahana;Agarwal, Deepti;Shirhatti, Ravi;Shetty, Deeksh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2호
    • /
    • pp.1133-1139
    • /
    • 2013
  • Background: In India, tobacco consumption is responsible for one of the highest rates of oral cancer in the world, the annual oral cancer incidence is steadily increasing among young tobacco users. Studies have documented efforts taken by physicians, doctors and even dentists, in the form of individual or group counseling to curb tobacco use in smoke or smokeless form. However, which one is more effective, still remains an unanswered question. The aim of the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individual and group counseling for cessation of the tobacco habit amongst industrial workers in Pune and to compare quit rates. Materials and methods: An interventional study design was selected for 150 industrial workers which were stratified randomly into three groups (control, individual and group counseling groups) and interventions were provided to individual and group counseling groups over a period of six months, which were t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at received brief intervention at the start of the study. Result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quit rates of the participants in the individual counseling group (ICG) and group counseling group (GCG) when compared at 6 months with the control counseling group (CCG). In the individual counseling group was 6% while in group counseling group it was 7.5% after six months of counseling. Conclusions: No conclusion could be drawn whether individual or group counseling were better interms of quit rates. Individual and group counseling groups were definitely better than the control group when compared at 3 and 6 months, respectively.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의 항암 유지요법 중 vincristine과 관련된 혈소판수의 변화 (Platelet count change by vincristine in maintenance phase of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chemotherapy)

  • 이성문;함순식;전인상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2호
    • /
    • pp.181-186
    • /
    • 2006
  • 목 적 : ALL 치료 중의 혈액학적 변화는 예후인자로써 뿐만 아니라 항암제의 용량을 결정짓는 중요한 변수이다. ALL의 유지요법 기간 중에 투여되는 vincristine의 용량은 저용량으로 혈소판수를 증가시키기에는 충분하다. ALL의 유지요법 기간 중에 vincristine 투여에 따른 혈소판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가천의과대학교 길병원 소아과에서 고위험군 ALL로 진단받고 CCG-1882에 기초한 항암치료를 모두 마친 11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유지요법 기간을 처음 6개월간의 초기, 마지막 6개월간의 후기로 나누어, vincristine 투여(0.05 mg/kg) 전과 투여 1, 2, 3주 후의 혈소판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Vincristine 투여 전의 혈소판수를 100%로 하여 투여 후의 혈소판수를 percent로 환산하여 비교 분석하였으며, 투여 전에 비해 20% 이상 혈소판수가 증가한 경우를 의미 있는 증가로 하여 총례 및 각 개인별로 혈소판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유지요법 기간별로 혈소판수를 비교한 결과 유지요법 후기로 갈수록 전체 혈소판수는 증가하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초기와 후기 모두 vincristine 투여 1주후 혈소판수는 최고가 되었다. 초기 6개월 유지요법 기간 중 vincristine 투여 전에 비해 투여 1, 2주 후에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혈소판수가 증가하였으며 3주 후에는 투여 전 수준으로 되었다. Vincristine 투여 전에 비해 투여 1주 후에 혈소판수가 20% 이상 증가한 경우가 전체 11명 중 10명(90.9%)으로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많았다. 후기 6개월 유지요법 기간 중 vincristine 투여 전에 비해 투여 1주 후에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혈소판수가 증가하였으며 2주 후에는 투여 전과 비교해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후기에도 vincristine 투여 전에 비해 투여 후 혈소판수가 20% 이상 증가한 경우가 전체 11명 중 10명(90.9%)으로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많았다. 결 론 : ALL의 유지요법에 사용되는 저용량의 vincristine은 투여 1주 후에 혈소판수를 최고로 증가시키며, 2-3주 후에 혈소판수는 투여 전 수준으로 돌아간다. 그러나 혈소판수의 증가는 혈전증을 일으킬 정도는 되지 않으며, vincristine에 의해 혈소판의 기능저하로 ALL의 항암요법의 유지요법 중 혈액 응고가 발생할 위험성은 낮아 보인다.

소아기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에서 후기강화요법의 효과 (Effect of Delayed Intensification on Survival of Childhood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 이지연;윤수;권병철;유철주;김황민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12호
    • /
    • pp.1260-1265
    • /
    • 2003
  • 목 적 : 소아기급성림프구성 백혈병의 재발율을 낮추기 위하여 1970년대부터 시작되어 본원에서는 1990년대에 도입된 후기강화 요법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본 조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0년 3월부터 2002년 7월까지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소아과 및 신촌세브란스병원 소아과에서 치료받은 급성림프구성 백혈병환자 139명을 대상으로 성별, 진단시 나이, 백혈구수, 면역표현형, 후기강화요법 실시여부 및 합병증 등의 기록을 후향적으로 고찰하였다. 후기강화요법은 CCG-1891의 약제를 사용하였으며 Kaplan-Meier 생존곡선을 이용하여 전체생존율 및 재발에 따른 사망을 사건으로 정의한 무병생존추정률을 구하였다. 결 과 : 전체 환아의 정중추적 관찰기간은 39개월(범위 3-237개월)이었으며 5년 생존율은 60%였고, 5년 무병생존추정률은 55%였다. 후기강화요법 시행에 따른 5년 생존율은 1회 시행시 86%, 2회 이상 시행 시 95%였으며 시행하지 않은 경우는 40%였다. 후기강화요법 시행에 따른 5년 무병생존추정률은 1회 시행시 84%, 2회 이상 시행 시 95%였으며 시행하지 않은 경우는 45%였다. 저위험군에서는 후기강화요법 시행 시 5년 생존율이 94%, 시행하지 않은 경우는 58%였고, 5년 무병생존추정률은 시행한 경우는 97%, 시행하지 않은 경우는 52%였다. 결 론 : 급성림프구성 백혈병 소아에서 후기강화요법 시행은 5 년 무병생존추정률 및 5년 생존율을 향상시켰다.

조직학적으로 확진된 두개내 배아종의 전보조화학요법 후 방사선치료의 성적 - 예비적 결과 (Efficacy of Neoadjuvant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for the Histology-confirmed Intracranial Germinoma - Preliminary Report)

  • 노영주;김학재;허대석;신희영;김일한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0권2호
    • /
    • pp.93-99
    • /
    • 2002
  • 목적 : 두개내 배아종은 방사선치료 단독으로도 완치율이 높은 종양이나 방사선치료로 인한 부작용의 감소를 위해 현재 서울대학교 병원에서는 전보조화학요법 후 방사선치료를 하고 있으며 이 환자들의 치료 성적과 부작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5년에서 2001년까지 치료를 받은 두개내 배아종으로 조직학적으로 진단된 1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12명은 BEP (bleomycin, VP-16, cisplatin) 항암치료, 5명은 9921A (cisplatin, cyclophosphamide, VP-16, vincristine) 항암치료, 1명은 EP (VP-16, cisplatin) 항암치료를 받았고 5명은 두개척수조사, 1명은 두개방사선조사, 12명은 종양 부위에만 방사선치료를 받았다. 원발 종양에 조사된 방사선량은 39.6에서 54 Gy였다. 결과 : 남자는 16명, 여자는 2명이었고 중간 나이는 16세였다. 자기공명영상 상 12명은 송과체에, 각각 1명에서 안상, 시상, 대뇌기저핵에 원발성 종괴가 있었고 3명에서 다발성 종괴가 있었다. 6명은 뇌실 내 전이 소견이 보였고 3명은 뇌척추액검사 상 종양 세포가 관찰되었고 2명에서는 척수 자기공명영상에서 전이 소견이 있었다. 종양지표검사 상 1명에서 $\beta-human$ chorionic gonadotropin의 수치가 44 mlU/mL로 상승되어 있었다. 항암치료 후 5명은 완전 관해, 12명은 부분 관해를 보였고, 1명은 반응이 없었다. 현재 중앙 추적 기간 20개월로 17명은 무병 상태로 관찰되고 있고 1명은 bleomycin으로 인한 것으로 추정되는 폐의 부작용으로 사망하였다. 사망한 환자를 제외한 다른 환자들은 방사선치료 후 모두 완전 관해 상태이다. 6명에서 백혈구 감소로 인한 감염이 발생하였으며 $3\~4$도의 혈액학적 부작용이 11명에서 발생하였다. 방사선조사 중 두개척수조사를 받은 5명의 환자를 제외한 나머지 환자에서는 2도 이상의 부작용은 보이지 않았다. 결론 : 서울대학교병원에서의 전보조화학요법 후 방사선치료는 기존의 보고와 마찬가지로 높은 관해율을 보이고 있고 항암치료로 인한 치료 중이나 치료 후의 부작용의 정도와 빈도는 다른 보고와 비슷하였다. 방사선이나 항암치료로 인한 만성 부작용에 대해서는 좀더 관찰이 필요하며 이 결과가 나온 후에 두개내 배아종에서 가장 적절한 치료에 대해 결론을 내릴 숱 있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