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CA ORDINATION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4초

분류법과 서열법에 의한 전북 장안산의 신갈나무 군락 분석 (Classification and Ordination Analysis on the Quercus mongolica Communities in Mt. Changan, Ch nbuk)

  • 김영식;김창환;길봉섭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43-152
    • /
    • 1999
  • 전북 장안산의 신갈나무림을 분류법과 서열법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분류법(식물사회학적 방법)에 의한 신갈나무림의 분석결과 신갈나무-철쭉꽃군락, 신갈나무-노린재나무군락, 신갈나무-조릿대군락의 3개 군락으로 분류되었다. CCA에 의하여 분석된 결과에 의하면 신갈나무, 철쭉꽃, 노린재나무는 고도가 높은 지역에서 분포하고, 고로쇠나무, 들메나무, 고광나무, 함박꽃나무, 까치박달은 습하고 유기물 함량 및 전질소, C.E.C등의 양료가 양호한 지역에 소나무, 굴참나무, 붉나무, 병꽃나무는 고도가 낮은 지역에서 분포하고 있다. 신갈나무림의 분포와 환경과의 상호관계를 분석한 결과 고도, 토양습도, 유기물함량, 지형, pH등이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 PDF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CCA)에 의한 덕유산 국립공원의 삼림식생분석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CCA) on the Forest Vegetation of Mt. Togyu National Park, Korea)

  • 김창환;길봉섭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0권2호
    • /
    • pp.125-132
    • /
    • 1997
  • A study of forest vegetation in Mt. $T\v{o}kyu$ National Park was investigated by ordination technique. By TWINSPAN(Two-Way Indicator Species Analysis) method, 10 groups were recognized as follows: pinus densiflora, Quercus variabilis, Quercus serrata, Quercus mongolica-Rhododendron schlippenbachii, Quercus mongolica-Abies koreana, Quercus mongolica-Acer pseudo-sieboldi-amum, Quercus mongolica-Symplocos chinensis for. pilosa, Carpinus laxiflora, Fraxinus mandshurica and Taxus cuspidata groups. The floristic composition of these groups showed high correlation to soil moisture(r=0.831), altitude(r=0.784), topography(r=-0.722), organic matter(r=0.642), and pH(r=-0.509) among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CA(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Pinus densiflora group and Quercus variabilis group were situated in a xeric area at a lower altitude where soil nutrients were poor compared with the other groups. Fraxinus mandshurica group was distributed throughout the valley with high soil moisture and good nutrients, Quercus serrata group and Carpinus laxiflora group were found in the low altitude region with good nutrients, Quercus mongolica group, at the high altitude region with good nutrients, and Quercus mongolica-Acer koreana and Taxus cuspidata at higher altitudes(1, 400-1600 m).

  • PDF

면산(綿山) 일대(一帶) 산림식생(山林植生)의 군락분류(群落分類)에 관(關)한 연구(硏究) (Community Classification of Forest Vegetation in Mt. Myeonsan)

  • 이병천;윤충원;신준환;오정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4호
    • /
    • pp.548-557
    • /
    • 2001
  • 면산일대의 73개 방형구에서 조사된 총 291종들의 종조성을 중심으로 하여 Z-M 식물사회학적 분석방법으로 식생분류를 수행하고, 서열법으로 정량적 분석을 수행하였던 바, 신갈나무군락군(Quercus mongolica community group)과 가래나무군락군(Juglans mandshurica community group)의 2개 군락군과 1개의 일본잎갈나무식재림(Larix leptolepis plantation)으로 분류되었다. 신갈나무군락군은 철쭉꽃 군락, 노린재나무군락, 소나무군락, 박달나무군락, 물푸레나무군락, 사시나무군락, 피나무군락, 거제수나무군락, 물박달나무군락의 9개 군락단위로 세분되었으며, 가래나무군락군은 고로쇠나무군락(졸참나무군, 전형군), 들메나무군락, 난티나무군락(전형군, 까치밥나무군), 야광나무군락, 서어나무군락의 5개 군락단위와 4개 군단위로 세분되었다. 따라서 면산 일대의 산림은 총 17개의 식생단위로 구분되었다. CCA 방법에 의하여 식생단위와 5개 환경요인들과의 관계를 보면 신갈나무군락군은 전반적으로 계곡보다는 능선부쪽으로 갈수록, 해발이 높을수록, 사면경사가 급할수록 많이 분포하는 정의 관계를 나타내었고, 가래나무군락군은 지형, 해발, 사면경사와는 부의 관계를, 노암율과는 정의 관계를 각각 나타내었다. 일본잎갈나무식재림은 환경요인의 구배와 무관하게 나타났다. 축과의 관계에서는 지형과 해발이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 PDF

북한산 국립공원 삼림군집구조의 5년간 변화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for Five years in Puk′ansan National Park)

  • 최송현;이경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5-48
    • /
    • 1993
  • 본 연구는 과중한 이용압력과 대기오염 및 산성우에 의한 만성적 피해로 날로 훼손되어 가는 북한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기왕에 조사된 기초자료(박 등, 1987)와 비교하여 천이의 발달상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북한산국립공원 26군데의 조사구를 선정하여 식물군집구조조사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식물군집구조분석을 위해 TWINSPAN에 의한classification 및 ordination기법중 RA, DCA, CCA를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북한산 국립공원은 해발고에 따라 4개의 군집으로 분리되었다. 분리된 각각의 군집은 아까시나무-참나무류군집, 혼효림군집, 졸참나무군집, 신갈나무군집이었다. 추정되는 천이계열은 해발고 500m이상의 교목상층에서 소나무$\longrightarrow$신갈나무, 해발고 500m이하 교목상층에서 아까시나무$\longrightarrow$상수리나무, 신갈나무, 산벚나무, 팥배나무$\longrightarrow$졸참나무 순이었으며, 교목하층과 관목층에서는 산초나무, 참싸리나무$\longrightarrow$개옻나무, 진달래, 철쭉$\longrightarrow$당단풍 순이었다. 2. 1987년도의 식물군집구조조사와 비교하여 천이가 진행된 자료는 얻을 수 없었고, 인간의 간섭과 대기오염 등에 의해 천이가 진행되지 못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 PDF

주왕산국립공원 주왕계곡의 식물군집구조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Chuwang Valley in Chuwangsan National Park)

  • 이경재;조재창;강현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07-120
    • /
    • 1995
  • 본 연구는 주왕산국립공원내 주왕계곡의 식물군집구조를 밝히기 위하여 30개소에 조사구(1개 조사구당 100$m^2$)를 설치하여 식생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군집구조분석에는 상대우점치, 흉고직경급 분포, 종다양도지수, DCA, CCA 및 TWINSPAN분석을 적용하였다. 30개 조사구의 우점수종은 소나무, 졸참나무, 신갈나무, 굴참나무이었으며 전체 조사구는 TWINSPAN에 의해 신갈나무-소나무-서어나무군집, 소나무-굴참나무군집, 졸참나무-굴참나무군집, 활엽수혼효림의 4개군집으로 분리되었다. 본 조사지의 종다양도는 1.17~l.32로 높게 나타났다. 천이계열은 교목상층에서 소나무$\longrightarrow$참나무류로의 천이가 진행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 PDF

Distributional Pattern of Tree Species in Response to Soil Variables in a Semi Natural Tropical Forest of Bangladesh

  • Ara, Saida Hossain;Limon, Mahedi Hasan;Kibria, Mohammad Golam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7권1호
    • /
    • pp.14-24
    • /
    • 2021
  • A plant community is a group of populations that coexist in space and interact directly or indirectly with the environment. In this paper, we determined the pattern of tree species composition in response to soil variables in Khadimnagar National Park (KNP), which is one of the least studied tropical forests in Bangladesh. Soil and vegeta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71 sample plots.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CCA) with associated Monte Carlo permutation tests (499 permutations)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most significant soil variable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ree species distribution and soil variables. Soil pH and clay content (pH with p<0.01 and Clay content with p<0.05) were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overall tree species distribution in KNP. Soil pH is related to the distribution and abundance of Syzygium grande and Magnolia champaca, which were mostly found and dominant species in KNP. Some species were correlated with clay content such as Artocarpus chaplasha and Cassia siamea. These observations suggest that both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 play a major role in shaping the tree distribution in KNP. Hence, these soil properties should take into account for any tree conservation strategy in this forest.

Successional Changes in Seed Banks in Abandoned Rice Fields in Gwangneung, Central Korea

  • Lee, Seon-Mi;Cho, Yong-Chan;Shin, Hyun-Chul;Oh, Woo-Seok;Seol, Eun-Sil;Park, Sung-Ae;Lee, Chang-Seo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1권4호
    • /
    • pp.269-276
    • /
    • 2008
  • In order to understand the role of seed banks for restoration, seed banks in abandoned rice fields in the Gwangneung National Arboretum, central Korea were investigated using the seedling emergence method. The study sites represented three stages: an initial stage dominated by forbs such as Persicaria thunbergii and Juncus effuses var. decipiens, a middle stage dominated by Salix, and a late stage dominated by Quercus aliena and Prunus padus (in nearby riparian forest chosen as a reference stand). DCA ordination arranged the stands according to the number of years since abandonment. CCA ordination identified the dominant environmental variables correlated most closely with Axes 1 and 2 as $Mg^{2+}$ (intraset correlation was 0.827) and $K^+$ (intraset correlation was -0.677), respectively. Species richness and diversity decreased from the initial stage (H'=2.61) to the middle (H'=1.79) and late (H'=0.75) stages. A total of 49 species $(/m^2)$ and 18,620 seedlings $(/m^2)$ emerged out of the seed bank samples. The DCA ordination and similarity analysis detected a large discrepancy between the composition of the actual vegetation and the seed bank. We conclude that the contribution of seed bank to restoration is low. However, seed bank may help the recovery of forbs after disturbance. Some of our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tolerance model of succession whereas others follow the trajectory of the facilitation model. More research on succession will be required to understand the underlying mechanisms.

설악산 국립공원 지역의 신갈나무 군집과 환경의 상관관계 분석 (An Analysis of Vegetation-Environment Relationships of Quercus mongolica in Soraksan National Park)

  • 송호경;장규관;오동훈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462-468
    • /
    • 1998
  • 신갈나무 군집과 환경 요인과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설악산 한계령 지역과 백담사 부근에서 25개의 조사구를 설치하여 식생조사를 실시하였으며, TWINSPAN과 CCA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신갈나무림은 신갈나무-피나무 군집, 신갈나무-젓나무 군집, 신갈나무-쪽동백나무 군집과 신갈나무-졸참나무 군집으로 구분할 수 있다. 주요 군집들과 환경요인들과의 관계로 보면 신갈나무-ㅠㅣ나무 군집은 해발고가 다른 군집보다 높고 전질소와 C.E.C.의 양료가 적은 곳에 분포하고 있으며, 신갈나무-젓나무 군집은 해발고가 다른 군집보다 높고, 전질소와 C.E.C.의 양료가 가장 많은 곳에 분포하고 있으며, 신갈나무-쪽동백나무 군집은 해발고가 중간이며, 전질소와 C.E.C.의 양료가 적은 곳에 분포하고 있다. 군집의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들은 해발고, C.E.C., 전질소 등이다.

  • PDF

임산물 약용수의 자생지 식생 구조와 환경과의 상관관계 분석 - 꾸지뽕나무·마가목·헛개나무 - (Analysis of Vegetation Structures and Vegetation-Environment Relationships of Medicinal on Short-term Income Forest Products, in Korea - Cudrania tricuspidata (Carrière) Bureau ex Lavallèe·Sorbus commixta Hedl.·Hovenia dulcis Thunb. -)

  • 김현숙;이상명;강길남;손석규;류시철;이경준;이종훈;이병설;이중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347-366
    • /
    • 2023
  • 본 연구는 단기소득임산물 중 산림임업통계자료에 의한 생산량과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인 약용수 (꾸지뽕나무, 마가목, 헛개나무) 자생지를 대상으로 식물사회학적 방법에 의해 군락을 구분하여 식생 구조를 파악하고 Ordination CCA에 의한 군락구조와 환경요인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산채류 재배지 환경조성에 필요한 생태학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2021~2022년에 수행되었다. 우리나라 꾸지뽕나무 자생지는 주로 남부지역에 분포하고 5개 지역, 11개 조사구를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마가목 자생지는 주로 고산지역에 분포하고 3개 지역, 8개 조사구를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헛개나무 자생지는 중부 계곡부에 분포하고 5개 지역, 17개 조사구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각 분류군의 중요치를 살펴보면, 꾸지뽕나무군락에서 나타난 중요치는 꾸지뽕나무가 61.10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팽나무, 곰솔, 새덕이, 때죽나무, 소사나무, 졸참나무, 상수리나무 등의 순으로 나타났고, 마가목군락에서는 신갈나무가 57.21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마가목 42.58, 사스래나무, 피나무, 당단풍나무, 시닥나무, 층층나무, 함박꽃나무, 주목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헛개나무군락에서는 헛개나무가 64.58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느티나무, 층층나무, 고로쇠나무, 졸참나무, 까치박달, 가래나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중요치가 높은 주요 분류군에 대한 흉고직경급을 분석한 결과 꾸지뽕나무군락에서는 꾸지뽕나무, 팽나무, 새덕이 및 소사나무는 어린 개체의 밀도를 높게 나타내고 있어 당분간은 이들 수종의 우점 상태가 계속 증가 될 것으로 보인다. 마가목군락에서 마가목은 역 J자형을 하고 있어 우점 상태가 계속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신갈나무, 사스래나무 및 피나무는 정규분포형의 밀도를 나타내고 있어 당분간은 이들 수종의 우점 상태가 계속될 것으로 판단된다. 헛개나무군락에서는 까치박달과 가래나무는 역 J자형을 하고 있어 우점 상태가 계속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헛개나무, 느티나무, 층층나무 및 고로쇠나무는 각 층에서 전체적으로 개체의 밀도가 높아 계속적으로 높은 우점도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TWINSPAN에 의해 분류된 3분류군의 30개 군락과 11개의 환경 요인으로 CCA ordination 결과, 해발고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꾸지뽕나무군락은 pH, C.E.C, Ca2+ 및 Mg2+ 는 가장 높고, 해발고는 낮고 남동사면과 남서사면의 경사는 완만하였으며, P2O5는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에 골고루 분포하였다. 마가목군락은 해발고는 높고, 북사면의 경사는 다소 급하고, O.M과 T-N은 가장 많으나, 그 외 양료들은 적으며, pH는 낮게 나타났다. 헛개나무군락은 북동사면과 북서사면에서 해발고와 경사는 중간 지역이고, P2O5는 높게 나타났다.

소나무림(林)과 신갈나무림(林)의 흉고직경급(胸高直徑級) 분석(分析)과 천이(遷移)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y on the DBH Analysis and Forest Succession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mongolica Forests)

  • 송호경;장규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6권2호
    • /
    • pp.223-232
    • /
    • 1997
  • 본 연구는 강원도와 경상북도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소나무 군락과 신갈나무 군락을 대상으로, 1991년부터 1994년 사이에 Mueller-Dombois & Ellenberg의 방법에 의하여 162개의 방형구를 설치하여 조사하였으며, CCA ordination과 흉고직경급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흉고직경급 분석에서 소나무 군락은 신갈나무 군락 또는 굴참나무 군락으로 천이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신갈나무 군락은 전체적으로 신갈나무 우정림으로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고, 신갈나무-생강나무 군락은 신갈나무, 물푸레나무, 피나무가 교목층에 공존하는 삼림으로 유지될 것으로 추정되며, 신갈나무-분비나무 군락은 낙엽활엽수인 신갈나무와 상록침엽수인 잣나무와 분비나무 등이 교목층에 혼재되어 균형을 이룰 것으로 추정된다. 2. 주요 수종과 환경과의 상관관계를 보면, 소나무 군락에서 신갈나무는 해발고가 보통이고 전질소, 유기물함량, C.E.C. 등의 양료가 보통인 곳에 분포하며, 소나무, 졸참나무, 굴참나무 등은 해발고가 낮고 전질소, 유기물함량, C.E.C. 등의 양료가 적은 곳에 분포하고 있었다. 3. 신갈나무 군락에서는 신갈나무, 당단풍 등이 $Mg^{{+}{+}}$, $Ca^{{+}{+}}$, C.E.C 등의 양료가 중간인 사면부에 분포하고, 분비나무, 주목, 잣나무 등이 해발고가 높고 $Mg^{{+}{+}}$, $Ca^{{+}{+}}$, C.E.C 등이 적은 능선부에 분포하며, 서어나무, 젓나무 등이 해발고가 중간이고 $Mg^{{+}{+}}$, $Ca^{{+}{+}}$, C.E.C 등의 양료가 중간인 곳에 분포하고 이엇다. 또한 음나무, 까치박달나무, 만주고로쇠 등이 습하고 $Mg^{{+}{+}}$, $Ca^{{+}{+}}$, C.E.C 등의 양료가 많은 계곡부에는 분포하고, 소나무, 물푸레나무 등이 건조하고 해발고가 낮은 능선부에는 분포하고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