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BP$Ir(ppy)_3$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33초

EML에서 Ir(ppy)3와 CBP의 도핑 위치에 따른 녹색 인광 OLED 특성 변화 연구

  • 임기원;최병덕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6년도 제50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229.2-229.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Host와 Dopant $Ir(ppy)_3$의 도핑 위치 변화에 따른 bottom emission 인광 OLED를 제작하여 발광 효율 및 특성을 분석하였다. 소자의 EML은 $Ir(ppy)_3/CBP$$CBP/Ir(ppy)_3$ 순으로 증착하여 제작하였다. $Ir(ppy)_3/CBP$은 낮은 구동 전압에서 큰 전류밀도와 큰 luminance을 측정하였고, 반대로 $CBP/Ir(ppy)_3$은 높은 구동 전압에서 $CBP/Ir(ppy)_3$은 큰 전류밀도와 큰 luminance가 측정되었다. 이는 $Ir(ppy)_3/CBP$에서 HTL과 EML 사이에 hole direct injection이 발생으로 Hole이 증가하지만 charge balance 불일치로 roll-off가 발생하고, $CBP/Ir(ppy)_3$에서 electron direct injection에 의한 electron 증가로 charge balance가 향상된다. EL spectrum 측정에서 $Ir(ppy)_3$은 파장 512nm 발광이 일어나고, CBP와 NPB은 각각 파장 380nm, 433nm로 분석된다. 각 물질의 triplet의 전달은 energy level이 큰 곳에서 작은 곳으로 전달되는데 이러한 이유로 전압에 따른 recombination zone 변화로 각 물질에서 나오는 파장의 intensity가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Ir(ppy)_3/CBP$은 낮은 전류 밀도에서는 CBP의 영향으로 380nm 파장대가 크고, 높은 전류 밀도에서는 $Ir(ppy)_3$의 영향으로 512nm 파장대가 크게 나오는 것을 확인했고, $CBP/Ir(ppy)_3$에서는 낮은 전류 밀도에서 512nm 파장대가 커지고, 큰 전류 밀도에서는 CBP에서 NPB로의 triplet 에너지 전달의 증가로 433nm 파장대가 커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고효율 $CBP:Ir(ppy)_3$-PhOLEDs의 제작과 특성 연구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High Efficiency CBP:Ir(ppy)_3$-PhOLEDs)

  • 장지근;신상배;신현관;안종명;장호정;유상욱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6
    • /
    • 2008
  • 고효율 녹색 인광 유기발광다이오드를 개발하기 위해 소자 구조를 ITO/2-TNATA/NPB/TCTA/CBP:$7%Ir(ppy)_3$/BCP/SFC-137/LiF/Al로 설계 제작하고 그 전계발광 특성을 평가하였다. 소자 제작에서 발광 호스트의 두께를 $150{\AA}{\sim}350{\AA}$ 범위로 변화시켜, 전계발광 특성을 비교해 본 결과, CBP두께가 약 $300{\AA}$ 부근일 때 가장 우수한 휘도 특성이 얻어졌다 전류 효율은 CBP두께가 $300{\AA}{\sim}350{\AA}$범위일 때 거의 포화되어 최대로 나타났다. $CBP(300{\AA}):7%Ir(ppy)_3-EML$ 층을 갖는 PhOLED(phosphorescent organic light emitting diode)의 전류 밀도, 휘도, 그리고 전류 효율은 10V의 인가전압에서 각각 $40mA/cm^2,\;10000cd/m^2$, 25cd/A로 나타났다. 또한 이 소자의 최대 전류효율은 $160cd/m^2$의 휘도 상태에서 40.5cd/A로 나타났다. 발광 스펙트럼은 512nm의 중심 파장과 약 60nm의 FWHM(Full Width Half Maximum)을 나타내었으며, CIE (Commission Internationale de I'Eclairage)도표 상에서 색 좌표는 (0.28,0.63)으로 나타났다.

  • PDF

인광물질을 사용한 고효율 녹색 유기 발광 소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ighly Efficient Gre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Using Phosphorescent materials)

  • 정진하;심주용;강명구;오환술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Vol.19
    • /
    • pp.276-277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인광 발광 물질인 host재료, CBP에 guest로 인광색소인 $Ir(ppy)_3$을 첨가하여 광학적, 전기적 특성을 보았다. $Ir(ppy)_3$ 색소를 서로 다른 중량비로 첨가할 때의 소자들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Ir(pppy)_3$을 3.125%의 중량비로 하였을 때 가장 좋은 휘도특성을 보였다. 소자의 기본구조는 glass/ITO/${\alpha}-NPD(300{\AA})$/CBP:$Ir(ppy)_3(300{\AA})$/$BCP(80{\AA})$/$Alq_3(200{\AA})$)/$Al(1000{\AA})$로 하였다.

  • PDF

Investigation of the Green Emission Profile in PHOLED by Gasket Doping

  • 박원혁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6년도 제50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226-226
    • /
    • 2016
  • PHOLED devices which have the structure of ITO/HAT-CN(5nm)/NPB(50nm)/EML(30nm)/TPBi(10nm)/Alq3(20nm)/LiF(0.8nm)/Al(100nm) are fabricated to investigate the green emission profile in EML by using a gasket doping method. CBP and Ir(ppy)3 (2% wt) are co-deposited homogeneously as a background material of EML for green PHOLED, then a 5nm thickness of additionally doped layer by Ir(btp)2 (8% wt) is formed as a profiler of the green emission. The total thickness of the EML is maintained at 30nm while the distance of the profiler from the HTL/EML interface side (x) is changed in 5nm steps from 0nm to 25nm. As shown in Fig. 1, the green (513nm) peak from Ir(ppy)3 is not observed when Ir(btp)2 is also doped homogeneously because Ir(ppy)3 works as an gasket dopant of the Ir(btp)2 :CBP system. Therefore, in this experment, Ir(btp)2 can be used as a profiler of the green emission in CBP:Ir(ppy)3 system. The emission spectra from the PHOLED devices with different x are shown in Fig. 2. In this gasket doping system, stronger red peak means more energy transfer from green to red dopant or higher exciton density by green dopant. To find the green emission profile, the external quantum efficiency (EQE) at 3mA/cm2 for red peaks are calculated. More green light emission at near EML/HBL interface than that of HTL/EML is observed (insert of Fig. 2). This means that the higher exciton density at near EML/HBL interface in homogeneously doped CBP with Ir(ppy)3. As shown in Fig. 3, excitons can be quenched easily to HTL(NPB) because the T1 level of HTL(2.5eV) is relatively lower than that of EML(2.6eV). On the other hand, the T1 level of HBL(2.7eV) is higher than that of EML.

  • PDF

Ir(ppy)3의 도핑 위치에 따른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특성 연구

  • 김순곤;최병덕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5년도 제49회 하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151.2-151.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indium-tin-oxide(ITO)/1,4,5,8,9,11-hexaazatriphenylene-hexacarbonitrile(HAT-CN)/N,N'-di(naphthalene-lyl)-N,N'-diphenyl-benzidine(NPB)/4,4'-Bis(N-carbazolyl)-1,1'-biphenyl(CBP)/2,2',2"-(1,3,5-Benzinetriyl)-tris(1-phenyl-1-H-benzimidazole)TPBi/tris-(8-hydroxyquinoline) aluminum($Alq_3$)/LiF/Al 구조를 가진 유기 발광 다이오드 소자의 발광층에 $Ir(ppy)_3$(2% wt)을 도핑하여 소자의 특성 변화를 살펴보았다. $Ir(ppy)_3$의 두께는 5nm이고 도핑 위치는 정공 수송층과 발광층 계면의 0nm에서부터 25nm까지 5nm간격으로 도핑을 하였다. 실험 결과 소자의 효율은 도핑 위치가 정공 수송층에서 25nm떨어진 위치일 때 가장 높았고, 10nm일 때 가장 낮았다. 이는 도핑 부분의 위치가 정공 차단층에 가까워질수록 정공과 전자의 균형이 좋아지는 것이 소자 성능을 향상시키는 원인으로 추측된다.

  • PDF

Exciton Dynamics and Device Lifetime of Phosphorescent dye doped Polymer Light Emitting Diodes

  • Kim, Jang-Joo;Jeong, W.I.;An, Cheng-Guo;Kang, J.W.
    • 한국고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고분자학회 2006년도 IUPAC International Symposium on Advanced Polymers for Emerging Technologies
    • /
    • pp.166-166
    • /
    • 2006
  • The photoluminescence (PL) efficiency of $Ir(ppy)_{3}$:PVK is lower than $Ir(ppy)_{3}$:CBP for the whole range of doping concentration and this low PL efficiency can be a reason of the lower efficiency of PhPLED than PhOLED. The lower efficiency is originated from the large bi-excitonic quenching such as the triplet-triplet annihilation. The PhPLEDs showed very short lifetime. The short lifetime was found to be originated from the instability of the doubly reduced $Ir(ppy)_{3^{-2}}$. The double reduction takes place because of the low electron mobility of PVK and large energy difference of LUMO level between PVK and $Ir(ppy)_{3}$.

  • PDF

Electrophosphorescent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with modified hole blocking layer

  • Shin, Y.C.;Baek, H.I.;Lee, C.H.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6년도 6th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1042-1045
    • /
    • 2006
  • The electrical and optical properties of electrophosphorescent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s) with modified hole blocking layer (HBL) were investigated. Well-known 2,9-dimethyl-4,7- diphenyl-1,10-phenanthroline (BCP) HBL is mixed with electrophosphorescent host material (4,4'-N,N'- dicarbazole-biphenyl: CBP) or electrophosphorescent dopant material (fac-tris(2-phenylpyridine) iridium: $Ir(ppy)_3$) or both. The highest external quantum efficiency was obtained in the device with $BCP-CBP-Ir(ppy)_3$ mixed HBL and we attribute this result to the additional charge recombination in mixed-HBL.

  • PDF

청색과 적색 인광 물질을 사용한 백색 적층 OLED의 발광 특성 (Emission Characteristics of White Tandem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Using Blue and Red Phosphorescent Materials)

  • 박찬석;주성후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96-201
    • /
    • 2016
  • We studied white tandem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using blue and red phosphorescent materials. Optimized white single phosphorescent OLED was fabricated using CBP : FIrpic (12 vol.%, 9 nm) / CBP : $Ir(mphmq)_2acac$ : $Ir(ppy)_3$ (1 vol.%, 1 vol.%, 1 nm) as emitting layer (EML). The single phosphorescent OLED showed maximum current efficiency of 22.5 cd/A, white emission with a Commission Internationale de l'Eclairage (CIE) coordinates of (0.342, 0.37) at $1,000cd/m^2$, and variation of CIE coordinates with ($0.339{\pm}0.008$, $0.371{\pm}0.001$) from 500 to $3,000cd/m^2$. Optimized white tandem phosphorescent OLED was fabricated using CBP : FIrpic (12 vol.%, 7 nm) / CBP : $Ir(mphmq)_2acac$ : $Ir(ppy)_3$ (1 vol.%, 1 vol.%, 3 nm) as EML. The tandem phosphorescent OLED showed maximum current efficiency of 49.2 cd/A, white emission with a CIE coordinates of (0.376, 0.366) at $1,000cd/m^2$, variation of CIE coordinates with ($0.375{\pm}0.004$, $0.367{\pm}0.002$) from 500 to $3,000cd/m^2$. Maximum current efficiency of tandem phosphorescent OLED was more twice as high as single phosphorescent OLED. Our results suggest that tandem phosphorescent OLED was possible to control CIE coordinates and produce excellent color stability.

Multi Quantum Well 구조를 이용한 Red에서 Green으로의 energy transfer mechanism의 이해

  • 김강훈;박원혁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5년도 제49회 하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145-145
    • /
    • 2015
  • 처음 유기물의 인광 발견 이후 Host-dopant 시스템을 이용하여 Emission layer(EML)을 Co-deopsition 하는 방법으로 주로 인광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제작 하였다. [1] co-deposition을 이용해 만든 유기 발광 다이오드에 많은 장점이 있지만, 반대로 소자를 제작하는데 있어서는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2-4]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co-deposition 대신 non-doped Multi Quantum Well(MQW) 구조를 사용하여 doping 하지 않는 방법을 이용하는 논문들이 보고 되고 있다. Hole, electron, exciton이 MQW 구조를 지나면서, dopant well 안에 갇히게 되고, 그 안에서 다른 layer 간에 energy transfer와, hole-electron leakage가 줄어 들어, 더 효율적인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만들 수 있게 된다. [5-7] 이 연구에서는 CBP를 Potential Barrier로 사용하고, Ir(ppy)3 (Green dopant), Ir(btp)2 (Red dopant) 를 각각 Potential Well로 사용하였고, 두께는 CBP 9nm, dopant 1nm로 하였다. 이러한 소자를 만들고 dopant를 3개의 well에 적당히 배치하여, 각 well에서의 실험적인 발광 량 과, EML 안에서의 발광 mechanism 그리고 각 potential barrier를 줄여가며 dexter, forster에 의한 energy transfer에 대하여 알 수 있었다.

  • PDF

New phosphorescent host material: Tetrameric Zinc(II) Cluster

  • Lee, Hyung-Sup;Jeon, Ae-Kyong;Lee, Kyu- Wang;Lee, Sung-Joo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3년도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903-906
    • /
    • 2003
  • Doping a small amount of a phosphorescent dye into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s(OLED) can lead to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device properties. The fluorescent host materials like TAZ, CBP have been used, but have a problem of rapid decay of efficiency at high current densities. To alleviate this problem, phosphorescent host was introduced. The whole configuration of OELD fabricated was ITO/a-NPD(50nm)/Zn $cluster:Ir(ppy)_{3}(30nm)/BCP{(10nm)/Alq_{3}(20nm)$ /Al:Li. The OLED showed high luminance (> 50,000 $cd/m^{2}$ ) and external efficiency(5.7%). At higher current densities, rapid decay of external quantum efficiency or host emission, which was frequently observed in the fluorescent host system, were not observ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