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PINUS LAXIFLORA

검색결과 235건 처리시간 0.021초

내장산 삼림식생의 환경경도분석 (Environmental Gradient Analysis of Forest Vegetation of Mt. Naejang, Southwestern Korea)

  • 김정언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1권1호
    • /
    • pp.33-39
    • /
    • 1988
  • The environmental gradient analyses were aplied for the ordination of forest vegetation in Mt. Naejang national park area in Korea. The species population sequence along soil moisture gradient, mesic to xeric, was shown in following order: Zelkova serrata, Celtis sinensis, Lindera erythrocarpa, Cornus controversa, Acer mono, Carpinus tschonoskii, Quercus aliena, Daphniphyllum macropodum, Torreya mucifera, Carpinus laxiflora, Quercus serrata, Quercus variabilis, Quercus mongolica and Pinus densiflora in tree species and Acer pseudo-siebolidianum var. koreanum, Lindera obtusiloba, Styrax obassia, Styrax japonica, Acer pseudo-sieboldianum and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in shrub species. Ten ecological groups of tree were grouped and coincided with the vegetational units in phytosociological classification by Z-M method, associations. Four vegetation types, cove forest with Zelkova serrata and Lindera erythrocarpa, hornbeam forest with Carpinum laxiflora and Carpinum tschonoskii, oak forest with Quercus variabilis and Quercus mongolica and pine forest with Pinus densiflora as the dominant species were separated in mosaic chart by the two dimensional analyses of elevation and soil moisture gradient.

  • PDF

내장산국립공원 굴거리나무군락의 생태적 특성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Daphniphyllum macropodum Miq. Community in Naejangsan National Park)

  • 최송현;오구균;조현서;강현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75-188
    • /
    • 2011
  • 내장산국립공원 금선계곡을 중심으로 식생구조를 파악하여 굴거리나무의 생태적 특성을 밝히고자 37개의 조사구(단위면적 $100m^2$)를 설치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Classification분석 중 TWINSPAN기법을 이용하여 군락분리를 시도한 결과, 군락 I과 군락 II는 서어나무군락, 군락 III은 낙엽활엽수군락, 군락 IV는 느티나무군락으로 최종 분리되었다. 식생구조 분석결과 내장산국립공원 내의 금선계곡지역의 굴거리나무는 교목층에서는 출현하지 않은 반면 아교목층과 관목층에서 주로 관찰되었으며, 추후에는 굴거리나무가 점차 세력을 확장하여 아교목층 및 관목층에서 주요종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임령분석결과 금선계곡부에서 서어나무와 느티나무가 우점종인 산림은 약 50여년 내외인 것으로 밝혀졌으며, 굴거리나무는 20여년의 수령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림의 분포와 군집구조 분석 (Analysis of Distribution and Association Structure on the Sawtooth Oak (Quercus acutissima) Forest in Korea)

  • 김인택;송민섭;정승훈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56-361
    • /
    • 2009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분포하고 있는 상수리나무림을 대상으로 식물사회학적 조사를 통하여 상수리나무림의 군집을 분류하고 각 군집간의 상관관계, 잠재자연식생, 입지에 따른 상수리나무의 분포 양상 등을 분석하여 한국 상수리나무림의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1. 한국 상수리나무림의 군집구분은 1군단, 3군집, 3아군집, 3전형아군집으로 유형화되었다. I. 상수리나무군단(Quercion acutissimae) A. 상수리나무-졸참나무군집(Quercetum serrato-acutissimae ass. nov.) A-1. 갈참나무아군집(Quercetum serrato-acutissimae quercetosum subass. nov.) A-2. 전형아군집(Quercetum serrato-acutissimae typicum subass. nov.) B. 상수리나무-신갈나무군집(Quercetum mongolico-acutissimae asso. nov.) B-1. 갈참나무아군집(Quercetum mongolico-acutissimae quercetosum subass. nov.) B-2. 전형아군집(Quercetum mongolico-acutissimae typicum subass. nov.) C. 상수리나무-서어나무군집(Carpino-Quercetum acutissimae asso. nov.) C-1. 갈참나무아군집(Carpino-Quercetum quercetosum subass. nov.) C-2. 전형아군집(Carpino-Quercetum typicum subass. nov.) 2. DECORANA에 의한 요인분석 결과 상수리나무-졸참나무군집은 저지대 산지, 상수리나무-신갈나무군집은 상대적으로 해발이 높은 지역의 산지대, 상수리나무-서어나무군집은 주로 계곡부에 형성되어 있음을 입증하고 있다. 그러나 각 군집들이 서로 혼재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그다지 명료하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상수리나무림의 대부분이 저지대 및 농경지 주변의 교란요인이 심한 지역에 분포하고 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3. 상수리나무림의 잠재자연식생을 추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Quercetum serrato-acutissimae asso. nov.$\rightarrow$Quercus serrata-Quercus aliena Community$\rightarrow$Quercus serrata Community 2) Quercetum mongolico-acutissimae ass. nov.$\rightarrow$Quercus mongolica-Quercus aliena Community$\rightarrow$Quercus mongolica Community 3) Carpino-Quercetum acutissimae asso. nov.$\rightarrow$Carpinus laxiflora-Quercus aliena Community$\rightarrow$Carpinus laxiflora Community

MaxEnt 모델링을 이용한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서어나무 (Carpinus laxiflora)와 개서어나무 (C. tschonoskii)의 분포변화 예측 (Prediction of Distribution Changes of Carpinus laxiflora and C. tschonoskii Based on Climate Change Scenarios Using MaxEnt Model)

  • 이민기;천정화;이창배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55-67
    • /
    • 2021
  • 서어나무속 수종은 우리나라 온대중부지방 극상림을 이루는 주요 수종으로 인식되어 왔으며, 국내에서 넓은 분포역을 보인다. 기존 많은 연구들은 서어나무(C. laxiflora) 군락의 군집구조, 식생천이, 분포 현황 등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을 이루었다. 그러나, 개서어나무(C. tschonoskii)의 경우, 개체종 수준에서의 집중연구보다는 임분 내 구성목으로서 다른 수목종들과의 군집구조 분석에 초점을 맞춰 아직까지 연구가 미흡실정이다. 또한, 두 수종에 대한 서식환경, 서식지 선호도, 기후 및 환경변화 등의 교란에 따른 서식지 변화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최대 엔트로피 모델링(MaxEnt; Maximum Entropy Modeling)기법을 사용해 서어나무와 개서어나무의 서식지 분포에 영향을 끼치는 환경인자를 분석하고 두 가지 기후 예측 시나리오인 RCP4.5 및 RCP8.5를 적용하여 각각 2050년대와 2090년대의 분포변화를 예측하였다. 연구결과 각 수종의 서식지 분포에 영향을 끼치는 주요인자로 서어나무는 고도, 온도 계절성, 연평균 강수량인 것으로 나타났고, 개서어나무는 온도 계절성, 연평균 강수량, 주간 일교차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식지 면적의 경우 서어나무는 RCP4.5, RCP8.5의 기후변화가 진행됐을 때, 현재 서식지 면적에 비해 각각 약 1.05배, 약 1.11배로 면적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개서어나무는 RCP4.5, RCP8.5의 기후변화가 진행됐을 때, 현재 서식지 면적에 비해 각각 약 1.24배, 약 1.33배의 증가가 보일 것으로 예측되었다. 본 연구는 분류학적으로 유사계통에 속하는 서어나무와 개서어나무의 기후변화에 따른 국내 분포확산과 분포지역 간 차이에 대한 미래예측 그리고 두 종의 서식지 및 개체군 관리에 있어서 잠재적 관리 대상지 및 고려사항에 대한 유의미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용문사 계곡 소나무림의 식물군집구조 및 22년간(1988~2010년) 변화 분석 (Plant Community Structure and Change of Pinus densiflora S. et Z. Forest for Twenty-two Years (1988~2010) in Yongmun-sa (Temple) Valley, Yangpyeong-gun, South Korea)

  • 장재훈;한봉호;최태영;이경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69-380
    • /
    • 2013
  • 본 연구는 용문사 계곡의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식물군집구조를 규명하고 22년간의 식생구조 변화를 비교 분석하여 천이경향 예측과 효율적인 소나무림의 보전관리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현존식생 분석결과 능선과 사면에 소나무군락(51.3%)이 넓게 분포하였고, 계곡부에 졸참나무-굴참나무군락(15.5%), 졸참나무군락(7.1%), 용문사 동측 사면에 졸참나무-소나무군락(7.2%)이 분포하였다. 19개 조사구(단위면적: $400m^2$)를 설정하여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 분석을 실시한 결과, 아교목층에서 졸참나무와 당단풍나무가 우점하는 소나무-졸참나무군집(I), 아교목층에서 서어나무와 까치박달이 우점하는 소나무군집(II), 아교목층에서 졸참나무와 서어나무가 우점하고 있는 소나무-졸참나무군집(III), 아교목층에서 서어나무와 당단풍나무가 우점하고 있는 소나무군집(IV)의 4개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Shannon의 종다양도지수(H')는 0.5110~1.3101, 소나무 수령 48~89년생, 졸참나무 31~63년생, 서어나무 26~61년생이었다. 22년간 변화를 분석한 결과 소나무는 세력 유지 또는 약화되었고, 경쟁관계에 있는 졸참나무, 서어나무, 까치박달의 세력이 증가하였다. 용문사 계곡 소나무림의 천이 경향은 소나무림${\rightarrow}$졸참나무${\rightarrow}$까치박달, 서어나무로 예측되었으며, 지속적인 소나무림 유지관리를 통한 소나무 보존이 필요하였다.

광릉 자연림에서의 교란체제와 수목의 재생 (Disturbance regime and tree regeneration in kwangnung natural forest)

  • Cho, Do-Soo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5권4호
    • /
    • pp.395-410
    • /
    • 1992
  • Disturbance regime and tree regeneration were studied in kwangnung natural forest, an old-growth deciduous hardwood forest located in central korea. This forest is dominated by carpinus laxiflora, c.erosa, and quercus species. The area occupied by canopy gaps was 4.6% of the total forested area, and the mean size of canopy gaps was 92 $m^2$ with the maximum being 524 $m^2$. More than half of the gaps were less than four years old, and 3/4 of the gaps were created by death of only or two canopy trees, indicating the dominance of small-sized gaps in kwangnung forest. about half of the gap-makers were c. laxiflora, and another one third were quercus species. In contrast, the most frequent relacers were c. laxiflora while quercus species filled only 5% of the gaps, suggesting a future shift in tree species composition under the current disturbance regime. tree regeration was more conspicuous even in small gaps than non-gaps regardless of shade-tolerance of tree species, indicating the importance of gaps in tree regeneration.

  • PDF

Classification 및 Ordination 방법에 의한 융문산 삼림의 식물군집 구조분석 (Analysis on the Structure of Plant Community in Mt. Yongmun by Classification and Ordination Techniques)

  • 이경재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3권3호
    • /
    • pp.173-182
    • /
    • 1990
  • To investigate the structure of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Mt. Yongmun in Kyonggi-do, fifty-four plots were set up by the clumped sampling method. The classification by TWINSPAN and DCA ordination were applied to the study area in order to classify them into several groups based on woody plant and environmental variables. By both techniques, the plant communit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y the aspect. the dominant species of south aspect were Pinus densiflora, Quercus aliena, Q. mongolica, Carpinus laxiflora and of north aspect were Q. ongolica, Fraxinus rhynchophylla. The successional trends of tree species in south aspect seem to be from P. densiflora through Q. serrata, Q. aliena, A. mongolica to C. laxiflor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nd scores of DCA and environmental variables, they had a tendency to increase significantly from the P. densiflora and Q. mongolica community to C. laxiflora and F. rhynchophylla community that was the soil moisture, the amount of soil humus and soil pH.

  • PDF

선운산도립공원의 능선부 식생 특성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Ridge in the Seonunsan Provincial Park)

  • 강현미;박석곤;김지석;이상철;최송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75-85
    • /
    • 2019
  • 본 연구는 선운산도립공원의 능선부(경수산~선운산~개이빨산) 식생 특성을 파악하여 향후 도립공원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고자 수행하였다. 식생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100m^2$ 크기의 조사구 62개소를 설치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TWINSPAN에 의한 군락분류 결과, 떡갈나무-낙엽활엽수혼효군락, 굴참나무-곰솔-졸참나무군락, 소나무군락, 낙엽활엽수혼효군락-I, 개서어나무-밤나무-갈참나무군락, 낙엽활엽수혼효군락-II, 개서어나무-서어나무군락 총7개 군락으로 분리되었다. 선운산도립공원의 식생은 곰솔과 소나무 등의 침엽수는 점점 세력을 잃어가고 있는 반면, 굴참나무, 졸참나무, 갈참나무 등의 낙엽성 참나무류와 개서어나무와 서어나무의 세력이 왕성해지고 있어 낙엽활엽수군락으로의 생태적 천이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다. 또한 서해와 접하고 있는 지리적 특성을 반영한 식생으로 소사나무, 예덕나무 등이 확인되었다. 본 조사지역의 임령은 30~60년으로 추정되었으며, 추정연령이 가장 오래된 나무는 소나무로 약 63년생으로 조사되었다. 종다양도지수($100m^2$)는 0.7942(개서어나무-서어나무군락) ${\rightarrow}$ 0.8406(개서어나무-밤나무-갈참나무군락) ${\rightarrow}$ 0.8543(떡갈나무-낙엽활엽수혼효군락) ${\rightarrow}$ 0.9434(굴참나무-곰솔-졸참나무군락) ${\rightarrow}$ 0.9520(낙엽활엽수혼효군락-I) 0.9633(소나무군락) ${\rightarrow}$ 1.0340(낙엽활엽수혼효군락-II) 순으로 높았다.

선운산지역 삼림군집의 경도분석 (A Gradient Analsis of the Mixed Forest of Seonusan Area in Southwestern Korea)

  • Kim, Jeong-Un;Yim, Yang-Jai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9권4호
    • /
    • pp.225-230
    • /
    • 1986
  • The environmental gradient analyses and the continum analyses were applied for the ordinationa of forest vegetation in Seonunsan area. In the soil moisture gradient, mesic to xeric, Zelkova serrata, Carpinus tschonoskii, Quercus aliena, Carpinus laxiflora, Quercus serrata, Quercus variabilis and Pinus densiflora type were arranged as a series of sequence along the gradient. In two dimensional analyses of soil moisture and organic matter gradients seven vegetation types mentioned above were also separated one another. Especially Carpinus tschonoskii in mesic-fertile sites adn Pinus densiflora in xeric-sterile were noticeable. The results of continum analyses were corresponded to those of environmental gradient analses for the forest vegetation.

  • PDF

민주지산의 산림군집구조분석 (The Analysis of the Forest Community Structure of Mt. Minjuji)

  • 최송현;조현서;이경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11-125
    • /
    • 1997
  • 민주지산지역의 극상림 산림군집구조를 분석하고 생태계 기초자료를 구축하여 이 지역의 개발압력에 대응하는 생태고나광, 자연학습 등 친환경적 개발에 응용하고자 49개 조사구를 선정하고 군집구조조사를 실시하였다. TWINSPAN분석 결과 각 군집은 소나무-서어나무-졸참나무군집(군집 I), 신갈나무-졸참나무-굴피나무군집(군집 II), 신갈나무군집(군집 III), 들메나무-고로쇠나무군집(군집IV), 층층나무-들메나무군집(군집V), 들메나무-까치박달나무군집(군집 VI) 그리고 들메나무-서어나무군집(군집 VII)으로 분류되었다. 산림의 종조성, 유사도지수, 종다양성분석, 흉고직경분석을 실시한 결과 군집 I~III을 제외하고는 활엽수혼효극상림으로 밝혀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