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X

검색결과 348건 처리시간 0.023초

한국 미기록 식물: 주름청사초(사초과) (A new record of Carex rugata Ohwi (Cyperaceae) in Korea)

  • 지성진;정수영;최경;김종환;양종철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81-83
    • /
    • 2014
  • 미기록종인 주름청사초(Carex rugata Ohwi)를 전라북도와 전라남도에서 발견하였다. 이 종은 수과 표면이 오목하게 들어가는 특징으로 인해 근연종인 청사초(C. breviculmis R. Br.), 겨사초(C. mitrata Franch.), 가지청사초(C. polyschoena H. Lev. & Vaniot), 목포사초(C. genkaiensis Ohwi), 긴목포사초(C. formosensis H. Lev. & Vaniot) 및 좀목포사초(C. kamagariensis K. Okamoto)와 쉽게 구별된다. 국명은 종소명을 고려하여 '주름청사초'로 신칭하였고, 이에 대한 기재, 도해 및 사진을 제시하였다.

사초속 청사초절(사초과)의 한국 미기록종: 큰청사초(Carex chungii Z. P. Wang), 바늘청사초(Carex tsushimensis (Ohwi) Ohwi), 흰밀사초(Carex multifolia Ohwi) (First record of Carex sect. Mitratae (Cyperaceae) from Korea : Carex chungii Z. P. Wang, Carex tsushimensis (Ohwi) Ohwi and Carex multifolia Ohwi)

  • 남기흠;김종환;김중현;김선유;장진;정규영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33-38
    • /
    • 2014
  • 한국 미기록종인 큰청사초(Carex chungii Z. P. Wang), 바늘청사초(C. tsushimensis (Ohwi) Ohwi), 흰밀사초(C. multifolia Ohwi)의 사초속 청사초절 3분류군이 발견되었다. 큰청사초(C. chungii Z. P. Wang)는 전라남도 완도, 거금도와 경상남도 남해에서 발견하였다. 청사초(C. leuchoclora Bunge)와 유사하나 수과의 중륵이 수축하여 뚜렷이 구분된다. 바늘청사초(C. tsushimensis (Ohwi) Ohwi)는 전라남도 신안군 가거도에서 발견되었으며, 애기사초(C. conica Boott)와 유사하나 암꽃인편에 현저하게 긴 까락으로 구분된다. 흰밀사초(C. multifolia Ohwi)는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땅끝마을에서 발견되었으며, 녹빛실사초(C. sachalinensis var. sikokiana (Franch. & Sav.) Ohwi)와 유사하나 총생하며 잎이 분백색인 특징으로 구분된다. 미기록 3분류군에 대한 기재, 도해, 사진 및 근연종과의 차이점을 검색표로 제시하였다.

벽면 및 옥상에 식재된 여러 사초류의 생육반응 (Growth Characteristics of Several Carex L. Plants Planted on a Green Wall and Roof)

  • 심명선;김영재;이동석;권영한;김성식;강우창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62-16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벽면녹화시스템에 식재된 사초류의 방위(광도)에 따른 생육반응 및 옥상녹화시스템에 식재된 사초류의 토양깊이에 따른 생육차이 등을 조사하고자 하였으며, 사초류가 다양한 형태로 활용될 수 있도록 기초적인 자료들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벽면녹화 및 일반컨테이너의 온도변화를 비교한 결과, 벽면녹화의 경우 온도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주로 화창한 날씨가 유지된 8~9월 동안에 차이가 뚜렷하였다. 테스타시아사초, 에버골드 및 털대사초 등은 높은 광도에서 생육이 우수하고($0{\sim}1799{\mu}M{\cdot}m^{-2}{\cdot}s^{-1}$), 상록갈사초, 줄무늬사초, 대사초 및 흰줄무늬실사초는 낮은 광도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0{\sim}786{\mu}M{\cdot}m^{-2}{\cdot}s^{-1}$). 광도가 낮을수록 식물의 색이 선명해져 관상가치가 증가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무늬의 변화에 대한 고려가 이루어지지 않아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토양깊이별 수분함량은 10cm의 경우 배수층 없이 혼합용토로만 이루어져 높게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부분의 사초류들도 10cm 깊이에서 생육이 좋았다. 에버골드, 대사초 및 테사타시아사초등은 토양깊이 20cm에서 생육이 우수하였다. 흰줄무늬실사초와 털대사초 노란무늬종은 토양깊이 40cm에서 생육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사초류가 10~20cm의 낮은 토심에서도 생육이 우수하여 옥상녹화 소재로 충분히 도입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삭사초 지상부의 Tetrastilbene 성분 (Tetrastilbenes from the Aerial Parts of Carex dimorpholepis Steudel)

  • 김대근
    • 생약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07-311
    • /
    • 2016
  • Three tetrastilbene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the aerial parts of Carex dimorpholepis Steudel (Cyperaceae) through repeated column chromatography. Their chemical structures were elucidated as kobophenol A (1), cis-miyabenol A (2), and kobophenol B (3), respectively, by spectroscopic analysis. These compounds were isolated for the first time from this plant.

A new record of Carex foraminata (Cyperaceae) in Korean flora

  • Jung-Hyun KIM;Jin-Seok KIM;Chang Woo HYUN;Bongsu CHOI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246-250
    • /
    • 2022
  • We report a new distribution of Carex foraminata C. B. Clarke on the Korean Peninsula. This species was first reported in China and is distributed in Jiangxi and Zhejiang Provinces. We found this species on Hongdo Island in Heuksan-myeon, Shinan-gun, Jeollanam-do in Korea. Carex foraminata is similar to the related taxa C. brevispicula G. H. Nam & G. Y. Chung, C. chungii Z. P. Wang, and C. genkaiensis Ohwi in that its achenes are constricted in the middle part. However, C. foraminata is distinguished from C. brevispicula and C. chungii by its pistillate scale apexes, which are acute or shortly awned and by its achene apexes, which are shortly cylindrical; C. foraminata is distinguished from C. genkaiensis by its pistillate scale and achene shape. A precise description, illustration, photographs, and a key to related taxa are provided.

장군대사초(사초과)와 그 분포 (Carex poculisquama Kük. (Cyperaceae) and its distribution in Korea)

  • 홍정기;김선유;김진석;남기흠;김중현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24-127
    • /
    • 2016
  • 국내에서 문헌에만 기록되어 있던 장군대사초(Carex poculisquama $K{\ddot{u}}k$.)가 우리나라 석회암지대에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장군대사초는 과포가 마름모상 타원형이고, 맥 위에만 단모가 있다는 형태적인 특징으로 같은 절내 근연종인 갈사초(Carex ligulata Nees)와 구분된다. 본 연구에서 장군대사초의 실체를 확인하고, 기재, 도해, 화상자료를 통하여 근연종과의 차이점을 검색표로 작성하였다.

Meiotic chromosome numbers of five Carex taxa in Korea (Cyperaceae)

  • CHUNG, Kyong-Sook;IM, Hyoung-Tak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01-205
    • /
    • 2018
  • Carex L. (Cyperaceae) is the largest angiosperm genus in the temperate zones with more than 2,000 species worldwide. Unusual chromosome structures, called holocentric chromosomes, have been postulated to contribute to species diversity in the genus. In Korea, this genus has the greatest number of species, but chromosome information as it pertains to the taxa is mostly unknown. Here, we report meiotic chromosome numbers of five Carex taxa in Korea. The following observations are made: Carex jaluensis Kom. ($n=27_{II}$, $28_{II}$, $29_{II}$, $30_{II}$), C. japonica Thunb. ($n=28_{II}$, $29_{II}$), C. planiculmis Kom. ($n=30_{II}$), C. miyabei Franch. ($n=33_{II}$, $36_{II}$), C. neurocarpa Maxim. ($n=51_{II}$, $53_{II}$, $54_{II}$). Except for C. planiculmis, all of the species exhibit variations in chromosome numbers within individuals and/or taxa. The findings with regard to chromosome number diversity in Carex suggest that chromosome number variation (aneuploidy, agmatoploidy and/or symploidy)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richness of the species in the genus. Further cytological investigations are needed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sedge diversity in Korean flora.

여러 자생식물의 내염성 정도 구명 (Salt Tolerance of Various Native Plants under Salt Stress)

  • 심명선;김영재;이정희;신창호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78-484
    • /
    • 2012
  • 본 실험에서는 염토지대에 조경용 식재로 사용이 가능한지 알아보기 위해 여러 과에 속하는 자생식물의 염 스트레스에 대한 내염성 정도를 조사하였다. NaCl의 처리에 따른 식물의 생육반응과 이온흡수 특성도 파악하여, 여러 식물에 대한 내성 정도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실험재료로 노랑꽃창포, 밀사초, 여우꼬리사초, 줄사초, 홍노줄사초, 애기부들, 바위 및 땅채송화 등을 이용하였다. 염농도는 0, 100, 200, 300mM로 처리해 주었다. 처리 4주 후 지상부 및 뿌리의 생체중 건물중, 엽내 무기이온 함량 등을 조사하였다. 줄사초, 왕밀사초, 여우꼬리사초, 노랑꽃창포 등은 NaCl 200mM의 고농도에서도 잘 견디는 초종으로 판단되었다. 홍노줄사초, 애기부들 등은 지하부 생육이 NaCl 100mM의 농도에서 저하되어, 지상부다 뿌리가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홍노줄사초는 K의 흡수량이 감소되었고, Na/K의 비율은 300mM의 농도에서 3으로 다른 종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애기부들은 NaCl의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K, Ca, Mg의 흡수량이 일시 증가하다가 200mM의 농도부터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Na/K의 비율은 300mM의 농도에서 0.8로 조사되었다. 땅채송화 및 바위채송화 등도 NaCl 100~200mM의 범위에서 지상부 및 지하부의 생육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위채송화는 NaCl의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K, Ca, Mg의 흡수량이 일시 증가하다가 200mM의 농도부터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땅채송화는 염농도에 따라 흡수량이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Na/K의 비율은 300mM의 농도에서 모두 1로 조사되었다. 그러므로, 여우꼬리사초, 왕밀사초, 줄사초, 노랑꽃창포 등은 식물의 생육 및 이온흡수 특성을 고려할 때 NaCl 200mM의 고농도에서도 잘 견디는 초종으로 판단되었고, 특히 사초과 식물들의 내염성이 검증되어 앞으로 많이 활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되었다. 홍노줄사초, 애기부들, 바위채송화, 땅채송화 등은 NaCl 100mM의 농도에서도 뿌리의 생육이 저하되었으며, 염처리에 따른 잎의 이온흡수특성은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한국산 사초속 사초아속 (Carex subgen. Carex) 6절 식물의 분류학적 연구 (A taxonomic study on six sections Ischnostachyae, Anomalae, Capitellatae, Debiles, Capillares and Molliculae of Carex L. in Korea (Cyperaceae))

  • 오용자;이창숙;윤자영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97-319
    • /
    • 2004
  • 한국산 사초속 사초아속 (Carex subgen. Carex)의 염주사초절 (sect. Ischnostachyae), 참삿갓 사초절 (sect. Anomalae), 바늘사초절 (sect. Capitellatae), 길뚝사초절 (sect. Debiles), 묏풀사초절 (sect. Capillares), 애기흰사초절 (sect. Molliculae) 등 총 6절 14분류군을 대상으로 외부형태학적 형질을 재검토하고,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과낭, 수과, 잎의 표피형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정량적 형질(줄기, 잎, 이삭, 비늘조각, 포, 과낭, 수과의 길이와 너비, 잎의 기공복합체의 크기와 빈도, 기본세포줄, 기공줄의 수)과 정성적 형질[암/수꽃이삭, 비늘조각, 과낭, 수과, 과낭, 수과의 표피세포, 잎의 표피 구성요소(기본표피세포의 모양, 세포벽의 굴곡, 규소체의 모양, 부세포의 모양), 잎의 앞 뒷면의 유두돌기, 가시돌기 및 털의 유무] 등이 종을 동정하고 식별하는데 유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이삭의 수, 암/수꽃이삭의 배열, 포의 유무로 바늘사초절과 나머지절로 2개의 그룹으로 크게 나눌 수 있었다.

Phylogenetic position of Carex splendentissima, a Korean endemic sedge (Cyperaceae)

  • CHUNG, Kyong-Sook;YANG, Sungyu;NAM, Bo-Mi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53-261
    • /
    • 2020
  • Carex splendentissima U. Kang & J. M. Chung, endemic to the Korean peninsula, is characterized by staminate terminal spikes and glabrous elliptic perigynia. Based on its broad leaves, androgynous spikes, and tri-stigmatic features, the species has been placed in Carex sect. Siderostictae Franch. ex Ohwi, an East Asian section and a basal group in the genus. To clarify the monophyly and phylogenetic position of the species, a molecular study using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egion of nuclear ribosomal DNA and chloroplast DNA (trnL-F) data was conducted. The DNA sequence data of ten taxa in sect. Siderostictae and closely related taxa (two taxa in sect. Surculosae) with outgroups were analyzed based on maximum parsimony and maximum likelihood (ML) criteria. In the analyses, C. splendentissima was monophyletic and placed within the Siderostictae clade (sect. Siderostictae + two species of sect. Surculosae), forming a clade with C. ciliatomarginata and C. pachygyna (endemic to Japan). The clade (C. splendentissima + C. ciliatomarginata + C. pachygyna) shows evidence of diploidy. Furthermore, C. splendentissima is a sister to C. ciliatomarginata in the ML tree, and the two taxa have staminate terminal spikes. This study also updates the distribution of C. splendentissima and provides keys to the four Korean taxa in sect. Siderostictae. To conserve the endemic species C. splendentissima, further research on its genetic and ecological features should be conducted at the population 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