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BG

검색결과 229건 처리시간 0.02초

허혈성 심근 기능장애에서 술전 관류결손의 가역성에 따른 재관류 시술 이후 심근 기능회복 양상의 시간적 차이 (Difference of Time Course of Functional Recovery after Revascularization According to Preoperative Reversibility of Perfusion Impairment in Ischemic Myocardial Dysfunction)

  • 팽진철;이동수;김기봉;김유경;여정석;정준기;이명철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364-370
    • /
    • 2001
  • 목적: 허혈성 심질환에서 재관류 이후 기절심근이 동면심근보다 빠른 기능회복을 보임과, 심근 SPECT 상의 관류결손 가역성에 따라 기절심근과 동면심근이 구별 가능함을 시사하는 최근의 보고들을 바탕으로, 수술 전 관류결손 가역성에 따라 CABG 이후 심근 기능회복의 시간경과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92명의 허혈성 심질환 환자에서 CABG 이전, 3개월 후, 17개월 후에 Tl-201 휴식기/디피리다몰 부하 Tc-99m-MIBI 게이트 SPECT를 실시하고, 각 영상에서 심근을 20분절로 나누어 각 분절의 관류와 수축기 두꺼워짐을 자동정량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관류결손과 두꺼워짐 이상을 보인 심근을 관류결손 가역성 있음(REV)과 없음(IRREV)의 두 군으로 나누고, 각각의 군에서 CABG 후 10% 이상의 두꺼워짐 호전을 기능회복으로 정의하여 3개월과 17개월째 심근의 기능회복 양상을 비교해 보았다. 결과: 129분절이 분석대상에 포함되어 76분절이 REV, 53분절이 IRREV 군으로 분류되었다. 이중 3개월째 기능회복심근은 REV군이 61개(80%), IRREV 군은 28개 (53%)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그러나 17개월째에는 REV 군이 60개 (79%), IRREV의 군이 37개 (70%)로 두 군간 차이가 없었다(p=n.s.). 한편 각 군 내에서 3개월과 17개월의 기능회복 분절을 비교하였을 때, REV 군은 차이가 없었으나(p=n.s.) IRREV 군은 17개월째 기능회복 심근이 3개월보다 유의하게 많았다(p<0.05). 결론: 생존능이 있는 허혈성 기능장애 심근에서, 관류결손의 가역성이 없는 심근은 가역성이 있는 심근보다 재관류 이후 기능회복이 지연되어 있다.

  • PDF

Minimally Invasive Direct CABG

  • 이영탁
    •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흉부외과학회 1997년도 제13차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35-37
    • /
    • 1997
  • PDF

Minimally Invasive CABG

  • 이영탁;나찬영
    •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흉부외과학회 1996년도 제 28차 추계학술대회 및 총회 대한흉부외과학회
    • /
    • pp.52-52
    • /
    • 1996
  • PDF

체외순환을 사용하지 않은 관상동맥우회술-1례보고-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 ng without Extracorporeal Ci rculation One Case Report)

  • 임창영;이헌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3호
    • /
    • pp.326-329
    • /
    • 1997
  • 관상동맥 우회수술은 일반적으로 저체온하에 인공심폐기를 사용하여 체외순환을 하면서 심정지상태에서 시행하는 것이 일반적 인 방법이다. 그러나 선택적 인 병변에 한 하여는 체 외순환을 하지 않고 정상적인 심박동 상태에서 관상동맥 우회 술을 사용하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저자들은 우관상동맥에 100%협착을 보이고 경미한 운동시 심한 흉통을 호소한 환자에서 체외순환 없이 관상동맥 우회 술을 성공적으로 시행하였기 에 문헌고찰과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가와사키병에 의한 관상동맥류의 관상동맥우회로술 -치험 1례- (CABG in Coronary Aneurysm Due to Kawasaki Disease)

  • 김종욱;이재원;송명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8권4호
    • /
    • pp.398-400
    • /
    • 1995
  • Kawasaki s disease is a multisystemic disorder that is an important cause of cardiovascular disease in children. We experienced a case of coronary artery aneurysm secondary to Kawasaki s disease. The patient was 12-year-old female presented as exertional dyspnea & chest pain[NYHA classII . Her coronary angiogram showed saccular aneurysms at proximal right coronary artery and proximal 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 CABG was performed by use of double internal mammary artery.Postoperative E.K.G. showed a normal pattern.She discharged at postoperative 10th day without problem. 4 months after discharge, she had no dyspnea & chest pain in exertion[NYHA class I .

  • PDF

Post-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Myocardial Ischemia Caused by an Overgrown Left Internal Thoracic Artery Side Branch

  • Kim, Eung Re;Oh, Se Jin;Kang, Hyun-Jae;Kim, Ki-Bong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7권5호
    • /
    • pp.465-467
    • /
    • 2014
  • We present a patient who developed recurrent angina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CABG). Myocardial single-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SPECT) demonstrated deterioration in the myocardial perfusion, and coronary angiography revealed an overgrown side branch of the grafted left internal thoracic artery (ITA); otherwise,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compared with previous imaging studies obtained after the CABG. After percutaneous embolization of the grafted left ITA side branch, the angina was resolved and myocardial SPECT showed improved perfusion.

Redo-Coronary Artery Bypass due to Progression of the Celiac Axis Stenosis

  • Yeom, Sang-Yoon;Hwang, Ho-Young;Kim, Ki-Bong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5권4호
    • /
    • pp.251-253
    • /
    • 2012
  • We report a redo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CABG) in a 55-year-old man. Angina recurred 7 years after the initial surgery. Coronary angiography showed all patent grafts except a faint visualization of the in situ right gastroepiploic artery (RGEA) graft, which was anastomosed to the posterior descending coronary artery, associated with celiac axis stenosis. Redo-CABG was performed at postoperative 10 years because of aggravated angina and decreased perfusion of the inferior wall in the myocardial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The saphenous vein graft was interposed between the 2 in situ grafts used previously; the right internal thoracic artery and RGEA grafts. Angina was relieved and myocardial perfusion was improved.

Intractable Coronary Spasm Requiring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in a Patient with Moyamoya Disease

  • Kim, Hyeon A;Kim, Young Su;Kim, Wook Sung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4권2호
    • /
    • pp.150-153
    • /
    • 2021
  • Moyamoya disease (MMD) is characterized by progressive steno-occlusive lesions of the distal or proximal branch of the internal carotid arteries, and cerebrovascular symptoms are its major complications. Extracranial vascular involvement including the coronary artery has been reported, and some case reports have described variant angina or myocardial infarction. However, no report has yet described a case of myocardial infarction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CABG). Here, we present a patient with MMD who suffered cardiac arrest caused by myocardial infarction due to a coronary spasm after offpump CABG and who was discharged successfully after treatment with a veno-arterial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or and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관상동맥 우회로 수술 환자에서 심근의 탄성도 변화 (Improvement in Regional Contractility of Myocardium after CABG)

  • 이병일;팽진철;이동수;이재성;정준기;이명철;최흥국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24-230
    • /
    • 2005
  • 목적: 심근의 최대탄성도는 전부하 후부하에 독립적인 지표로서 SPECT를 이용하여 좌심실의 국소탄성도($rE_{max}$)를 비침습적으로 측정하였다. 게이트 심근 SPECT 영상에서 국소부피변화를 얻고, 요골동맥 긴장도를 측정하여 중심동맥의 압력 곡선을 얻어 측정한 최대탄성도를 관상동맥우회로 수술 전후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전후 관류 및 기능지표와 비교하여보았다. 대상 및 방법: 관상동맥우회로 수술이 결정되어 시행한 환자 21명(남:여=17:4, $58{\pm}12$세)을 대상으로 $^{201}TI$ 휴식기 영상과 디피리다몰 부하 $^{99m}Tc$-sestamibi 게이트 SPECT를 수술전과 수술 후 3개월째 시행하였다. 동시에 요골동맥으로부터 압력곡선을 얻었다. 기능과의 관계를 보기 위해서 관류와 심벽두꺼워짐을 탄성도와 비교하였으며, 심벽두꺼워짐이 20%미만일 때 수술 후 10%이상 호전되지 않는 기능이상 분절에 대해 수술 전후의 탄성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수술 전 탄성도가 $2.41{\pm}1.64$ mmHg/mL에서 $2.78{\pm}1.83$ mmHg/mL 으로 수술 후에 증가하였으나, 관류와 심벽두꺼워짐과는 낮은 상관성을 보였다. (r=0.35, p<0.001). 관류 60% 이상의 분절에서는 $2.65{\pm}1.67$ mmHg/mL 이었으나, 관류나 낮은 분절의 탄성도는 $1.30{\pm}1.24$ mmHg/mL 였다. 심벽두꺼워짐이 40% 이상 되는 분절의 수술 전 탄성도는 $3.01{\pm}1.92$ mmHg/mL 였고, 기능이 조금 약한 부분인 40%에서 20% 사이의 심벽두꺼워짐 값을 가진 분절에서는 $2.40{\pm}1.19$ mmHg/mL로 심각한 기능이상을 반영하는 20%미만 분절의 탄성도는 $1.13{\pm}0.89$ mmHg/mL의 분포를 보였다. 수술 전 심벽두꺼워짐이 20% 미만일 때 수술 후 10%이상 회복을 보인 생존심근와 그렇지 않은 비생존심근사이의 수술 전후 탄성도는 $1.27{\pm}1.07$ mmHg/mL에서 $1.79{\pm}1.48$ mmHg/mL, $0.97{\pm}0.59$ mmHg/mL에서 $1.22{\pm}0.71$ mmHg/mL로 생존심근의 수술 후 값의 향상이 조금 더 높았다. 그러나, 심벽두꺼워짐의 정도가 탄성도 높아짐의 정도 사이에는 상관성이 없었다(r=0.007). 결론: 수술 전 $rE_{max}$는 관류와 심벽두꺼워짐과 상관성이 약하게 있었다. 기능이상이면서 생존능이 있는 심근의 탄성도는 수술 후 증가하였지만 심벽두꺼워짐의 향상과는 상관성이 없었다. 심근기능의 전부하 후부하에 독립적인 지표인 탄성도는 실제 부피의 증가와 연관되지 않으면서도 생존능이 있는 심근의 기준과 일치하는 양상을 보였으므로 독립적인 매개변수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다혈관 관상동맥질환에서의 심폐바이패스를 사용하지 않은 관상동맥우회술과 약물용출 스텐트시술 (Off-pump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Versus Drug Eluting Stent for Multi-vessel Coronary Artery Disease)

  • 이재항;김기봉;조광리;박진식;강현재;구본권;김효수;손대원;오병희;박영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2호
    • /
    • pp.202-209
    • /
    • 2008
  • 배경: 약물용출 스텐트의 출현으로 관상동맥우회술은 급격하게 위축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관상동맥우회술이 일차적 치료법인 다혈관 관상동맥질환에도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약물용출 스텐트의 출현이 관상동맥우회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1단계), 다혈관 관상동맥질환 환자에서 관상동맥우회술과 약물용출 스텐트시술 후 1년 추적 임상 결과를 비교하였다(2단계). 대상 및 방법: 약물용출 스텐트의 출현이 관상동맥우회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본 병원에 약물용출 스텐트가 도입되기 전인 2001년 3월부터 2003년 2월까지 2년간 심폐바이패스를 사용하지 않고 관상동맥 우회술을 시행한 환자(n=298)와, 약물용출 스텐트의 사용이 활발해진 2003년 7월부터 2005년 6월까지 2년간 심폐바이패스를 사용하지 않고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한 환자(n=298)를 비교하였다(1단계). 관상동맥우회술과 약물용출 스텐트시술의 단기 임상 성적을 비교하기 위해, 2003년 3월부터 2004년 6월 사이에 약물용출 스텐트를 시행받은 환자(n=220)와, 약물용출 스텐트 도업 전후 2002년 3월부터 2004년 3월 사이에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받은 환자(n=255)를 대상으로 각각 1년 추적 관찰 후, 심근 경색의 발생, 심장 관련 사망의 빈도, 표적혈관 재관류율 등에 대하여 비교하였다(2단계). 결과: 약물용출 스텐트의 도입 이후, 경피적 관상동맥중재술 대비 관상동맥우회술의 비율이 감소하였으며, 관상동맥우회술군에서 대상 환자들의 고령화(62세 vs. 64세, p=0.023), 만성신부전 (4% vs 9%, p=0.021), 상행대동맥의 석회화 (9% vs. 15%, p=0.043) 등을 동반한 고위험군의 환자 빈도의 증가, 그리고 준응급 및 응급수술의 빈도(12% vs. 22%, p=0.002)가 증가 등이 관찰되었다. 하지만 이전과 비교하였을 때 수술 관련 사망 및 문합부위의 개존률에는 변화가 없었다(1단계). 1년 추적 기간 중 표적혈관 재관류율은 약물용출 스텐트시술 후가 관상동맥우회술보다 높았으며(12.3% vs. 2.4%, p<0.001), 이로 인하여 주요 심장사건(사망, 심근경색, 표적혈관 재관류율) 역시 약물용출 스텐트시술 후가 관상동맥우회술보다 증가하였다(13.6% vs. 4.3%, p<0.001). 하지만 표적혈관 재관류율을 제외 한 심장 관련 사망 및 섬근 경색의 빈도는 각각 1달과 1년 추적 결과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 지 않았다(2단계). 결론: 약물용출 스텐트의 출현 이후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받는 환자들의 동반질환 빈도가 증가하였다. 단기 추적 관찰 결과, 약물용출 스텐트의 시술 후 표적혈관 재관류율이 증가하였으며, 주요 심장사건의 발생이 증가하였으나, 심근 경색의 발생 및 사망률은 관상동맥우회술과 비슷한 조기 임상결과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