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 15-3

검색결과 2,015건 처리시간 0.046초

유방암 환자에서 근치적 유방 절제술 후 재발 발견에 대한 CA 15-3의 역할 (The Role Of Tumor Marker CA 15-3 in Detection of Breast Cancer Relapse After Curative Mastectomy)

  • 현인영;김인호;이문희;김철수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11-317
    • /
    • 2004
  • 목적 : 유방암 환자에서 근치적 유방 절제술 후 재발의 발견에 대한 CA 15-3의 역할을 평가하고 재발된 환자에서 전이 부위에 따른 CA 15-3의 관계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 CA 15-3 값이 측정된 환자 중 원발성 유방암으로 근치적 유방 절제술을 시행 받았으며 분석하고자 하는 모든 임상적, 병리학적 인자에 대한 정보가 의무 기록에 기재되고 최소한 3개월간 외래 추적이 가능하였던 202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CA 15-3은 IRMA 15-3 키트(CIS BIO INTERNATIONAL, France)로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정상 상한값을 30 U/ml으로 정하였다. 결과: 근치적 유방 절제술 후 재발을 진단하는 CA 15-3의 진단 성적은 예민도 31%(5/16), 특이도 100%(186/186), 양성 예측도 100%(5/5), 음성 예측도 94%(186/197)이었다. 재발 환자에서 전이 부위에 따른 CA 15-3의 진단 성적을 비교하면 간전이가 관찰된 환자의 CA 15-3값은 모두 상승하여 간전이의 진단에 대한 CA 15-3의 예민도는 100%로 매우 좋았다. 그러나 골전이 또는 국소지역전이만 관찰된 환자의 CA 15-3 값은 정상으로 골전이 또는 국소지역전이의 진단에 대한 CA 15-3 검사는 유용하지 않았다. 결론: 유방암 환자에서 근치적 유방 절제술 후 재발의 발견에 대한 CA 15-3의 진단 성적은 매우 좋은 특이도를 보였으나 예민도는 낮았다. 그러나 비교적 예후가 불량하다고 알려진 간전이로 첫 재발한 환자의 CA 15-3 값은 모두 증가되어 유방암 환자에서 CA 15-3의 측정은 간전이 발견에 매우 유용하였다.

Clinical Significance of Combined Detection of Serum Tumor Markers in Diagnosis of Patients with Ovarian Cancer

  • Bian, Jing;Li, Bo;Kou, Xian-Juan;Liu, Tian-Zhou;Ming, Lia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1호
    • /
    • pp.6241-6243
    • /
    • 2013
  • Objective: To explore the predictive value of tumor markers, including cancer antigen 72-4 (CA72-4), cancer antigen 15-3 (CA15-3) and cancer antigen 125 (CA125), in single or combined detection, for the diagnosis of ovarian cancer. Methods: 120 patients diagnosed with ovarian cancer from August 2011 to March 2013 and 80 patients diagnosed with benign ovarian tumors were enrolled in this test, along with 50 health examination women randomly selected from the database as controls. Serum levels of CA72-4, CA15-3 and CA125 in this study were determined by electrochemiluminescence (ECL). Results: Serum levels of CA72-4, CA15-3 and CA125 in ovarian cancer were higher than those in healthy group and benign group (P<0.01).The sensitivity of combined detection of those three tumor markers for diagnosis of ovarian cancer was obviously higher than with single detection with each marker (P<0.01). Conclusions: CA72-4, CA15-3 and CA125 could be a good combination in the diagnosis of ovarian cancer. Patients whose tumor markers continue to increase should be highly suspected of malignanc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alivary and Serum Ca 15-3 in Healthy Women and Breast Cancer Patients

  • Laidi, Fatna;Bouziane, Amal;Lakhdar, Amina;Khabouze, Samira;Amrani, Mariam;Rhrab, Brahim;Zaoui, Fatim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1호
    • /
    • pp.4659-4662
    • /
    • 2014
  • The tumor marker CA 15-3 is one of the most import reliable for metastatic breast cancer monitoring. While it is generally assessed in serum of patients, blood sampling is an invasive method compared to saliva sampling which is simple and could be an alternative to blood according to many studies. The aim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serum and salivary concentrations of the protein CA 15-3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and healthy asymptomatic volunteers. A case-control study was conducted with 60 women: 29 breast cancer patients from the Maternity Hospital Souissi Rabat (Morocco) and 31 healthy asymptomatic women. The CA 15-3 concentrations in saliva and serum samples were assessed using an enzyme immune assay (EIA kits) and comparison between cases and controls was made by the Mann-Whitney test. The correlation between serum and saliva CA 15-3 concentration was tested using Pearson correlation. The comparison result of CA15-3 concentration in saliva and serum level in cases and control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However, the correlation between salivary and serum CA 15-3 concentration was positiv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r=0.27, p=0.03). In conclusion,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alivary and serum expression found in our study suggests that saliva could be an alternative to blood sampling to help breast cancer monitoring.

밀리미터파 대역에서 지향성 CSMA/CA의 성능 향상을 위한 알고리즘 (Performance Enhancement Directional CSMA/CA Algorithm in mmWave Bands)

  • 김미정;이우용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권1B호
    • /
    • pp.15-20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밀리미터파 대역을 사용하는 개인영역 무선통신 네트워크 표준의 하나인 IEEE 802.15.3c에서 지향성 CSMA/CA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saturation 환경에서 No-ACK 모드를 고려하여 마코프 체인으로 모델링하여 분석하였다. 마코프 체인 모델에서는 공간을 재활용하는 지향성 안테나의 특성과 IEEE 802.15.3c의 특성이 고려되었다. 분석실험을 통하여 경쟁윈도우 크기의 최적값을 얻었다. 제안한 성능향상 지향성 CSMA/CA 알고리즘이 기존의 지향성 CSMA/CA에 비해 훨씬 좋은 성능을 보여주는 결과를 얻었으며 이는 시뮬레이션으로 검증되었다. 얻은 결과는 밀리미터파 대역 개인영역 무선통신 네트워크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모수의 선택과 MAC 프로토콜의 개발에 지침을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Relationships among Serum CA15-3 Tumor Marker, TNM Staging, and Estrogen and Progesterone Receptor Expression in Benign and Malignant Breast Lesions

  • Atoum, Manar;Nimer, Nisreen;Abdeldayem, Sawsan;Nasr, Hamzah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3호
    • /
    • pp.857-860
    • /
    • 2012
  • Serum tumor marker CA15-3 is widely used in follow-up for assessment of breast cancer prognosi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levels among healthy females and patients, to assess differences with tumor stage and grade, an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with estrogen and progesterone receptor expression. One hundred and thirty six Jordanian female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Forty-five were healthy females; seventy-two were diagnosed with breast cancer and nineteen diagnosed with benign breast lesions. Elevated serum CA15-3 level was significantly observed among breast cancer patients ($37.95{\pm}6.65$) compared to both healthy ($14.97{\pm}0.8$) and benign females ($12.30{\pm}1.55$), but no significant association was detected between serum CA15-3 level and age of cancer onset, menarche age, menopause age, parity and BMI. Decreased CA15-3 level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ormone therapy and oral contraceptive consumption among breast cancer patients. Significantly elevated CA15-3 serum levels were found among grade II, III and stage II and III breast cancer females compared to normal healthy females. Elevated CA15-3 serum levels were also found among ER+/PR+($54.242{\pm}7.89$) and ER+/PR-($37.08{\pm}8.22$) compared to healthy control females.

생활쓰레기 소각(燒却)비산재로부터 $CaCO_3$ 제조(製造)에 관한 연구(硏究) (Study on $CaCO_3$ Preparation from MSWI Fly Ash)

  • 최우진;박은규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5권5호
    • /
    • pp.47-51
    • /
    • 2006
  • 국내 생활쓰레기 소각시설에서 발생되는 소각재의 양은 2005년 경우 약 420,000톤에 달하고 있으며, 그중 비산재 발생량은 약 68,000톤에 달하고 있다. 비산재는 지정폐기물로 분류되어 일반적으로 고형화 및 안정화 처리 후 매립되고 있으며, 단지 발생량의 약 20%만이 재활용되고 있다. 비산재의 경우 CaO의 함량이 50%까지 이르고 있으며, 그 이유는 배가스 처리시 CaO를 기본으로 하는 물질을 다량으로 사용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비산재에 함유되어 있는 CaO를 회수하여 $CaCO_3$ 분말을 제조하기 위한 기초실험을 수행하였다. CaO를 선택적으로 용해하기 위하여 설탕용액을 사용하였으며, 기초 실험결과에 의하면 CaO용해를 위한 최적조건은 비산재 농도 10%, 반응시간 15분, 설탕농도 $10{\sim}15%$ 및 적정 pH는 $10.5{\sim}11$로 나타났다. $CaCO_3$ 분말은 회수된 CaO 용해액에 $CO_2$가스를 주입시켜 제조하였으며 회수된 $CaCO_3$ 백색도는 매우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CA저장조건에 따른 '여봉' 딸기의 품질변화 (Quality Changes of 'Yeobong' Strawberry with CA Storage Conditions)

  • 김지강;홍성식;정석태;김영배;장현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871-876
    • /
    • 1998
  • "여봉" 딸기에 적합한 CA조건을 구명하기 위하여 $O_2$ (3,8%)와 $CO_2$ (10, 15, 20%)를 각각 조합한 CA저장 및 대조구인 저온저장중의 딸기 품질변화를 비교하였다. 호흡량은 증가하다가 감소하였으며 $O_2$ 3, 8% 모두 $CO_2$ 15%인 조건에서 적게 나타났고 에틸렌은 저온 저장에서는 계속 증가하였으며 CA저장은 $CO_2$ 20%에서 높게 나타났다. 부패과율은 저온저장 12일에 11.7%가 발생하였으나, $O_2{\;}3%+{\;}CO_2{\;}15%$의 CA저장에서는 28일에 11.7%로 가장 억제되었으며, 경도는 CA저장시 $CO_2$ 10% 및 15%에서는 24일, 20%에서는 16일 까지 비교적 유지되었다. 비타민 C는 저장중에 계속 감소하였으며 $O_2$ 3,8% 모두 $CO_2$ 15%인 조건에서는 저장 24일 까지 약 80% 유지하여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안토시아닌은 $O_2$ 3, 8%모두 $CO_2$ 20%인 조건에서 빠르게 증가한 다음 감소하였으나 $CO_2$ 10% 및 15%인 조건에서는 완만하게 변화하였다. 저장중 Hunter color의 a값은 전체적으로 높아지다가 감소하였으며 저온저장에서 가장 빨리 높은 값에 이르렀고 CA저장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또한 딸기의 이취발생 정도는 $CO_2$농도 20%에서 가장 심하여 저장 16일 후 관능적 수용이 어려웠고, $CO_2$10% 및 15%간에는 관능적으로 이취를 느끼는 차이가 없었으나 $O_2{\;}8%+{\;}CO_2{\;}15%$조건에서 가장 적은 이취발생을 나타내어 저장 24일까지는 품질이 유지되었다. 그리고 이때의 에탄올 함량은 $CO_2$ 농도가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나 $O_2$ 8%에서는 $CO_2$ 10%와 15%간에 차이가 적었다. 이상의 결과로 이취발생 및 에탄올 함량을 제외하고는 $O_2{\;}3%+{\;}CO_2{\;}15%$인 CA조건이 딸기의 선도유지에 가장 뛰어났지만 생식용 딸기에 있어서 이취가 품질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큰 점을 고려할 때 $O_2{\;}8%+{\;}CO_2{\;}15%$ 조건이 보다 적합하였다.

  • PDF

Prognostic Value of Preoperative Serum CA 242 in 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 Cases

  • Feng, Ji-Feng;Huang, Ying;Chen, Qi-Xu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3호
    • /
    • pp.1803-1806
    • /
    • 2013
  • Purpose: Carbohydrate antigen (CA) 242 is inversely related to prognosis in many cancers. However, few data regarding CA 242 in esophageal cancer (EC) are availabl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rognostic value of CA 242 and propose an optimum cut-off point in predicting survival difference in patients with 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 (ESCC).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conducted of 192 cases. A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 for survival prediction was plotted to verify the optimum cuf-off point.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es were performed to evaluate prognostic parameters for survival. Results: The positive rate for CA 242 was 7.3% (14/192). The ROC curve for survival prediction gave an optimum cut-off of 2.15 (U/ml). Patients with CA 242 ${\leq}$ 2.15 U/ml had significantly better 5-year survival than patients with CA 242 >2.15 U/ml (45.4% versus 22.6%; P=0.003).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differentiation (P=0.033), CA 242 (P=0.017), T grade (P=0.004) and N staging (P<0.001) were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Conclusions: Preoperative CA 242 is a predictive factor for long-term survival in ESCC, especially in nodal-negative patients. We conclude that 2.15 U/ml may be the optimum cuf-off point for CA 242 in predicting survival in ESCC.

도시영세지역(都市零細地域) 주민(住民)의 상병(傷病)및 의료이용(醫療利用) 양상(樣相) -대구직할시를 중심으로- (Morbidity Patterns and Health Care Behavior of Residents in Urban Low Income Area)

  • 우극현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18권1호
    • /
    • pp.25-39
    • /
    • 1985
  • 도시 영세지역 주민의 이환 및 의료이용 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1984년 7월 한 달 동안에 대구시 중구 남산 4동 영세지역 468가구의 가구원 2,002명과 대조지역 374가구의 가구원 1,709명을 대상으로 가구원의 일반적 특성, 질병이환 및 의료이용 양상 등을 면담조사 하였다. 영세지역과 대조지역의 성별, 연령별 분포는 비슷하였으나, 경제수준, 교육수준, 주거밀집도, 의료보장 종류별 분포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15일간의 상병 이환율은 영세지역이 1,000명당 131로 대조지역의 71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이환율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65세이상의 노인층에서는 오히려 감소하였다. 년간 만성병 이환율도 영세지역이 1,000명당 134로 대조지역의 89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이환율이 증가하였다. 15일간의 상병은 영세지역과 대조지역 모두 호흡기계 질환이 각각 24.0%, 29.8%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소화기계 질환으로 21.0%, 20.6%였으며 손상 및 중독은 영세지역이 10.3%인데 비해 대조지역은 3.3%였다. 만성병은 영세지역과 대조지역 모두 소화기계질환이 22.1%, 21.7%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영세지역은 근골격계 질환으로 12.3%, 대조지역은 신경통으로 14.5%였으며, 순환기계 질환은 대조지역이 11.8%로 영세지역의 5.6% 보다 더 많은데 비해 손상 및 중독은 영세지역이 10.8%로 대조지역의 4.6%보다 더 많았다. 15일간의 상병으로 활동제한을 받은 일수는 영세지역이 평균 4.0일로 대조지역의 평균 2.2일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15일간의 상병이나 만성병을 치료받기 위해 영세지역은 약국을 더 많이 이용하고 대조지역은 병의원 외래를 더 많이 이용하였으며, 특히 의료보장 종류별로는 의료보험 가입자는 병의원 외래를, 그리고 일반환자는 약국을 더 많이 이용하였으며, 미치료율은 의료보장 종류에 관계없이 15일 이환의 경우 영세지역이 17.9%, 대조지역은 11.6%, 그리고 만성병은 영세지역이 15.2%, 대조지역은 9.2%로 영세지역의 미치료율이 대조지역보다 더 높았다. 15일간의 상병이나 만성병 모두 경제적인 이유로 치료받지 않은 경우가 가장 많았다. 영세지역의 이환율이 대조지역보다 높은 것은 경제수준, 교육정도, 주거밀집도 등 여러가지 사회 경제적인 요소가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영세민을 위한 보건사업 계획에는 이러한 사회 경제적인 요소들을 개선하는 노력을 병행해야 효과적인 보건사업이 추진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Expression and Significance of ER, PR, VEGF, CA15-3, CA125 and CEA in Judging the Prognosis of Breast Cancer

  • Zhang, Su-Jie;Hu, Yi;Qian, Hai-Li;Jiao, Shun-Chang;Liu, Zhe-Feng;Tao, Hai-Tao;Han, Lu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6호
    • /
    • pp.3937-3940
    • /
    • 2013
  • Objective: To explore the expression and significance of estrogen receptor (ER), progestrone receptor (PR),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CA15-3, CA125 and carcinoma embryonic antigen (CEA) expression in judging the prognosis of breast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Sixty-five patients with breast cancer undergoing operations in the general surgery department were considered as the observation group, and 50 healthy outpatients of our hospital as the control group. Cubital venous blood was drawn in the morning from fasting patients in the two groups and chemiluminescence immunoassays were used to detect the levels of CA15-3, CA125 and CEA in serum. The follow-up duration was from 4 months to 2 years, and change in levels of the indicators was detected by dynamically drawing blood. After surgery, cancer tissue samples of patients in observation group remained on file (the non-recurrent patients were biopsied). Immunohistochemistry was applied to determine the expression of ER, PR and VEGF in tissue. Results: The effective rate of 12 patients with negative ER and PR expression was 33.3% in the observation group, being associated with prognosis to varying extents. Serum CA15-3, CA125 and CEA in the observation group were all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control group (p<0.01). With increase in pathological staging, levels of serum CA15-3, CA125 and CEA gradually increased (p<0.01). Levels in patients with lymph node metastasis were markedly higher than in those without (p<0.01). In addition, values with distal lymph node metastasis were notably higher than with adjacent lymph node metastasis (p<0.01). The postoperative follow-up results revealed that positive VEGF and levels of serum VEGF, CA15-3, CA125 and CEA in recurrence group were obviously higher than in non-recurrence group (p<0.01). Conclusions: Joint detection of ER and PR expression as well as levels of serum VEGF, CA15-3, CA125 and CEA is meaningful and can guide the diagnosis and treatment for breast canc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