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C비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초

양안시가 정상인 20대 초반 성인의 CA/C비 (CA/C Ratio of Adults in Their Early Twenties with Normal Binocular Vision)

  • 이무혁;유동식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53-158
    • /
    • 2012
  •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양안시가 정상인 20대 초반 성인의 폭주성조절(CA/C, convergence accommodation/convergence ratio)비를 평가하고 나이, 조절력 및 동공간거리(PD, interpupillary distance)와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건강한 눈을 가진 44명(평균나이 $21.75{\pm}1.16$세)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CA/C비는 가우시안의 차(DOG, difference of Gaussian) 시표를 이용하여 검영법으로 측정하였다. 결과: 측정결과 CA/C비는 평균 $0.052{\pm}0.017$ D/$\Delta$이었다. CA/C비와 나이는 중간 정도의 음의 상관관계(r = -0.50, p = 0.0005)를, CA/C비와 조절력은 강한 양의 상관관계(r = 0.79, p<0.0001)를 보였으며, PD와 CA/C비의 상관관계는 없었다. 결론: 제시된 CA/C비는 19세에서 25세의 건안상태의 20대 초반 성인을 기준으로 측정한 평균값이다. 조절력과 CA/C비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이 자료는 외국의 자료와 연령별, 성별, 양안시이상별 비교에 기본 정보로 활용될 것으로 본다.

가입렌즈 도수와 프리즘 굴절력 변화에 따른 반응 AC/A비와 CA/C비 비교 (Comparison between Response AC/A and CA/C Ratio according to Additional Spherical Powers and Prism Powers)

  • 노병호;유동식;손정식;곽호원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41-347
    • /
    • 2015
  • 목적: 가입렌즈 도수 변화에 따른 반응 AC/A비와 프리즘 굴절력 변화에 따른 CA/C비를 측정하고, 이 두 변수와 PD 및 상대조절력과의 상관관계, 반응 AC/A비의 역수와 CA/C비 사이의 평균차이를 비교하여 임상에서 굴절력 및 프리즘 처방의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방법: 20대 대학생(평균 $22.62{\pm}2.84$세) 62명(남 50명, 여12명)을 대상으로 주시거리 40 cm에서 하웰시표(Howell card)와 개방형굴절력계(Nvision-K 5001, Shin nippon)를 이용하여 가입렌즈 도수 변화에 따른 반응 AC/A비를 측정하였고, CA/C비는 Wesson fixation card(WFC Bernell, USA) 이면의 DOG시표와 개방형굴절력계를 사용하여 프리즘 굴절력 변화에 따른 CA/C비를 측정하였다. 결과: 가입렌즈 도수 변화에 따른 조절반응량이 프리즘 굴절력 변화에 따른 조절반응량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동공간 거리와 반응 AC/A비의 설명변량 $R^2=0.025$으로 나타났으며, PD와 CA/C비는 설명변량 $R^2=0.009$으로 나타났다. 상대조절력과 반응 AC/A비의 설명변량 $R^2=0.064$으로 나타났으며 상대조절력과 CA/C비의 설명변량 $R^2=0.321$로 상대조절력과의 예측가능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응 AC/A비와 CA/C비의 설명변량 $R^2=0.126$으로 낮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0). 반응 AC/A비의 역수와 CA/C비 사이의 평균차이는 $0.12{\pm}0.06D/{\Delta}$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0). 결론: 상대조절력과 CA/C비의 상관관계는 상대조절력이 높은 사람일수록 폭주자극에 대한 폭주성 조절반응량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응 AC/A비의 역수와 CA/C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므로 독립적인 변수로 임상에서 낮은 AC/A비를 가진 환자라도 높은 CA/C비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양안시 이상에서 프리즘을 처방 할 경우 AC/A비가 정상범위라 하더라도 CA/C비는 다를 수 있어 반드시 조절반응량을 고려한 처방이 되어야 한다.

3D 영상 시청 시 시각반응의 평가 (Evaluation of Visual Responses in Viewing a 3D Image)

  • 이무혁;손정식;김재도;유동식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65-170
    • /
    • 2012
  • 목적: 2D와 3D 영상 시청에서 나타나는 시각반응의 변화를 측정하고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시기능이 정상인만 19세 이상 25세 이하의 대학생 4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CA/C비(convergence accommodation/convergence ratio), 폭주로 유도되는 PD(interpupillary distance)변화와 조절반응, 3D 영상 시청 시 자각적 인지거리를 측정하였다. 결과: 폭주와 조절은 2D 영상 시청보다 3D 영상 시청에서 더 컸으며(p<0.05), CA/C비와 조절반응은 양적 상관관계(r = 0.477, p = 0.001)를 보였다. PD가 작을수록 심도지각의 깊이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3D 영상에서 폭주는 인지하고 있는 거리에서의 폭주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CA/C비가 클수록, PD가 작을수록 3D 영상 시청에서 시각적 불편함은 더 심할 것으로 예상된다.

광물질 혼화재료를 첨가한 수중불분리성 콘크리트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teristics of Antiwashout Underwater Concrete with Mineral Admixture)

  • 백동일;김명식;장희석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6권6호
    • /
    • pp.777-783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고로슬래그미분말과 플라이애쉬의 치환율 변화에 따른 굳지 않은 수중불분리성 콘크리트와 경화한 수중불분리성 콘크리트의 특성에 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실험변수는 W/C비는 50%로, S/a는 40%로 고정하고, 고로슬래그는 0, 10, n, 30, 40, 50, 60%로 치환하였으며, 플라이애쉬는 0, 10, 15, 20, 25, 30, 35%로 치환하여 고로슬래그미분말과 플라이애쉬의 치환율 변화에 따른 수중불분리성 콘크리트의 특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굳지 않은 수중불분리성 콘크리트의 pH 현탁물질량 그리고 슬럼프플로우를 측정하였으며, 경화한 수중불분리성 콘크리트의 재령 7일, 28일, 56일의 압축강도를 측정하였다. 굳지 않은 수중불분리성 콘크리트의 pH 현탁물질량, 그리고 슬럼프플로우를 측정한 결과, 모두 대한토목학회에서 제시한 기준값과 배합설계기준값을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령에 따른 경화한 수중불분리성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전체적으로 해수에서 제작?양생한 것이 해수에 포함된 염류 중에 황산마그네슘($MgSO_4$)이 콘크리트의 수화시 발생되는 수산화칼슘($Ca(OH)_2$)과 반응하여 생성된 에트링자이트(ettringite)로 인하여 콘크리트의 부피를 팽창시켜 열화를 일으켜 담수에서 제작 양생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보다 낮게 발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검토해 본 결과, 수중공사의 특성상 수질오염, 다짐의 어려움이 큰 시공상의 특성 및 압축강도특성 등을 고려할때 고로슬래그미분말 및 플라이애쉬의 최적 치환율은 30%인 것으로 판단된다.

Candida lipolytica 변이주에 의한 구연산발효 (Citric acid Fermentation by Mutant Strain of Candida lipolytica)

  • 전효곤;성낙기;박석규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45-250
    • /
    • 1985
  • 효모의 구연산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구연산 생성이 향상된 변이균주를 분리.사용하여 비교적 높은 당농도에서의 구연산발효 및 균체 순환식 반연속배양에 의한 구연산발효 실험을 실시하였다. 친균주인 Candida lipolytica S-109를 NTG처리하여 친주균에 비하여 구연산생성능이 30%정도 향상되고 fumarate, malate, isocitrate 생성이 억제된 변이균주 J-24를 분리하였다. 친균주 S-109와 변이균주 J-24를 10% glucose 함유 배지에서 6일간 배양하여 각각 56g/l, 72g/l의 구연산을 생성하였다. 배양액내의 구연산축적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비교적 높은 glucose농도는 16%였으며 85g/l의 구연산을 생성하여 53% 수율을 보였다. P/C비, urea 및 yeast extract 농도를 각각 0.8-1.0 $\times$ $10^{-3}$, 0.15%, 0.25%로 할 때 93g/l의 구연산을 축적하여 58% 수율로 향상되었다. 효율적인 생산기를 연장하고 생산물 저해를 억제하며 유도기를 단축하기 위하여 균체순환식 반연속배양을 실시한 결과 그 생산성이 0.79g/l.h로서 회분식의 053g/l.h에 비하여 1.5배 높았다.

  • PDF

혼화제인 염화칼슘이 콘크리트 강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Calcium Chloride Admixture on strengths of Concrete)

  • 전현우;임종국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419-2425
    • /
    • 1971
  • 한중(寒中)콘크리트 시공(施工)에 염화(鹽化)칼슘사용(使用)은 콘크리트의 초기강도(初期强度)를 최대한(最大限)으로 높여 동해(凍害)를 방지(防止)함과 경제적(經濟的인 구조물(構造物)을 만들고자 하는데 목적(目的)이 있으며 시험결과(試驗結果)로서 그의 범위(範圍)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염화(鹽化)칼슘을 시멘트중량비(重量比) 1.5%를 TYPE I TYPE II에 혼합(混合)하면 초기강도(初期强度)를 최대한(最大限)으로 증진(增進)할 수 있고 구조물(構造物)의 안전(安全)을 위(爲)해서 1.5%내외(內外)가 적합(適合)하겠다. 2. 염화(鹽化)칼슘을 혼합(混合)하여 동결(凍結)의 위험(危險)을 방지(防止)하기 위한 콘크리트를 만들자면 w/c비(比)를 50% 내외(內外)로 정(定)해야 만이 한중(寒中)에 안전(安全)하겠다. 3. 포조란 초기강도(初期强度)는 떨어지나 후기강도(後期强度)가 점차(漸次)로 상승(上昇)한다. 4. 콘크리트의 초기강도(初期强度)의 증진(增進)으로 양생기간(養生期間)을 최대한(最大限)으로 단축(短縮)시킬 수 있으므로 콘크리트 구조물(構造物)의 끝손질을 조기(早期)에 실시(實施)해야 한다. 염화(鹽化)칼슘의 혼입(混入)은 시멘트응결(凝結)을 촉진(促進)시킬 수 있어 한중(寒中)에 있어서 동해(凍害)를 방지(防止)하고 공기(工期)를 최대한(最大限)으로 단축(短縮)시킬 목적(目的)으로 공사시공(工事施工) 현장(現場)에서는 유효히 사용(使用)될것으로 사료(思料)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