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2 Small Current Meter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23초

유량측정 기기별 측정성과에 대한 실험적 비교분석 (Experimental Comparison and Analysis of Measurement Results Using Various Flow Meters)

  • 이재혁;이석호;정성원;김태웅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95-103
    • /
    • 2010
  • 유량자료는 물의 순환과정을 규명하고 효율적인 수자원 개발 및 이수 치수 계획 등에 매우 귀중하게 이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유량자료를 확보하는데 많은 시간과 경비 등이 요구되기 때문에 주요 수위에서 유량자료는 수위-유량관계곡선식(Stage-Discharge Curve)을 개발하여 유량을 산정하고 있다. 따라서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의 신뢰도는 유량자료의 품질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된다. 수문학을 전공하고 연구하는 많은 학자들은 고품질의 유량자료를 생산하여 신뢰성 있는 곡선식을 개발하고자 유량측정 방법과 기준, 장비개발 및 개량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다양한 유량측정기기를 사용하여 유량자료를 생산하고 활용하고 있으나, 측정기기별 정확도 및 실험적 측정성과에 대한 연구자료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규격화된 콘크리트 수로에 일정한 유량을 흘려보내는 조건에서 다양한 측정기기를 이용하여 유속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이 측정성과를 이용하여 유량을 산정하고 비교분석하였다. 실험을 위해서 국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측정기기로 프라이스 유속계(USGS Type AA Current Meter), 휴대용 유량계(Flow Meter), 초음파식 디지털 유속계(ADC), C2 유속계(C2 Small Current Meter), 플로우 트렉커(Flow Tracker), 마그네틱 유속계(Electromagnetic Current Meter) 등의 장비를 사용하여 유량을 산정하였으며, 각 기기별 산정된 유량을 비교 분석 하였다. 비교검토에 적용하고자 측정한 수심으로는 0.30 m, 0.35 m, 0.40 m, 0.45 m, 0.50 m, 0.55 m의 왕복측정 6-Case로 진행이 되었으며, 신뢰성과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도섭법으로 수면에서 0.6d 지점의 유량측정방법(1점법)을 적용하였다. USGS Type AA Current Meter, Flow Meter, ADC, C2 Small Current Meter는 유속측정기기의 검교정을 받았으므로 다른 실험유량측정치의 비교를 위한 기준값으로 사용하였다. 따라서 국내에서 널리 사용되는 측정기기(USGS Type AA Current Meter, Flow Meter, ADC, C2 Small Current Meter, Flow Tracker, Electromagnetic Current meter)별 검토 결과 평균유량 및 평균유속에 있어 프라이스 유속계를 기준으로 마그네틱 유속계 $\pm$ 10 % 이상, 플로우 트렉커 $\pm$ 10 % 미만, 휴대용 유량계, 초음파식 디지털 유속계 및 C2 유속계는 $\pm$ 5 % 미만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구전류모드 운전을 위한 coated conductor의 가공 및 자석 제조 (Fabrication method of persistent mode superconducting coils using tailored coated conductor)

  • 이희균;김재근;이선왕;김우석;이승욱;최경달;홍계원;고태국
    • Progress in Superconductivity
    • /
    • 제7권2호
    • /
    • pp.167-173
    • /
    • 2006
  • Coated conductors suitable for the fabrication of persistent mode high $T_c$ magnets are suggested and the fabrication method of persistent mode magnets using coated conductor are demonstrated. Persistent current was observed in a small piece of coated conductor. Closed loop of coated conductor with a diameter of around 1 em was successfully prepared and was cooled with a magnetic field of about 500 Gauss in order to induce supercurrent. Coated conductor with a $I_c$ of 100 A/cm-width was used for the preparation of closed loop of coated conductor. Persistent current was confirmed by measuring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from closed loop of coated conductor by using Gauss meter. Magnetic field of 4.4 Gauss was detected from the supercurrent of closed loop of coated conductor. It shows that superconducting joint of coated conductor is not a prerequisite for the construction of persistent mode magnets. It is thought that this work opens the possibility to use coated conductor for the construction of persistent mode high $T_c$ magnets for MRI, NMR and magnetic separation applicati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