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18

검색결과 14,951건 처리시간 0.037초

잣기름의 Triglyceride조성(組成) (Triglyceride Composition of Pine Nut Oil)

  • 천석조;박영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79-181
    • /
    • 1984
  • 잣기름을 TLC에 의하여 트리 - 글리세리드를 분리하고, HPLC에 의하여 PN별(別)로 트리 - 글러세리드를 분획(分劃)하여 분취(分取)하였다. 분취(分取)한 각획분(各劃分)을 GLC 에 의하여 아실탄소수별(炭素數別)로 재분획(再分劃)하는 한편, 각획분(各劃分)의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을 분석(分析)하였다. 주요(主要) 트리 - 글리세리드를 들면 다음과 같다. $(C_{18:2},\;C_{18:2},\;C_{18:3},\;34.9%)$, $(C_{18:1},\;C_{18:2},\;C_{18:3}\;;\;10.8%)$, $(C_{18:1},\;C_{18:1},\;C_{18:2}\;;\;9.9%)$, $(C_{18:1},\;C_{18:1},\;C_{18:1}\;;\;6.5%)$, $(C_{18:1},\;C_{18:1},\;C_{18:2}\;;\;6.3%)$, $(C_{18:1},\;C_{18:1},\;C_{18:3}\;;\;4.8%)$, $(C_{16:0},\;C_{18:2},\;C_{18:3}\;;\;3.3%)$, $(C_{18:0},\;C_{18:1},\;C_{18:2}\;;\;2.7%)$, $(C_{16:0},\;C_{18:1},\;C_{18:2}\;;\;2.6%)$, $(C_{16:0},\;C_{18:2},\;C_{18:2}\;;\;2.2%)$, $(C_{16:0},\;C_{18:1},\;C_{18:3}\;;\;1.9%)$, $(C_{16:0},\;C_{18:2},\;C_{18:2}\;;\;1.7%)$, $(C_{16:0},\;C_{18:1},\;C_{18:1}\;;\;1.7%)$, $(C_{18:1},\;C_{18:3},\;C_{18:3}\;;\;1.5%)$.

  • PDF

식물유(植物油)의 Triglyceride 조성(組成)에 관한 연구(硏究) -제(第) 2 보(報) : 옥수수유(油)의 triglyceride 조성(組成)- (Studies on the Triglyceride Composition of Some Vegetable Oils -II. Triglyceride Composition of Corn Oil-)

  • 최수안;박영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26-231
    • /
    • 1982
  • 주요 식물유(植物油)의 트리-글리세리드 조성(組成)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옥수수유(油)를 시료로 하여 TLC로서 트리-글리세리드를 분리하고 HPLC에 의하여 PN별(別)로 분획(分劃)하였으며, 각 획분(劃分)을 분취(分取)하여 GLC로 acyl탄소수별(炭素水別)로 분획(分劃) 하였다. 또 PN별(別) 획분(劃分)을 GLC로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였다. 위의 3가지 방법으로부터 트리-글리세리드 조성(組成)을 산정한 종류는 36종류이었다. 시료유(試料油)의 주요 트리-글리세리드를 들면 다음과 같다. 21.5%$(C_{18:2},\;C_{18:2},\;C_{18:1})$, 17.4%$(C_{18:1},\;C_{18:2},\;C_{18:1})$, 15.4%$(C_{18:1},\;C_{18:2},\;C_{16:0})$, 11.1%$(C_{16:0},\;C_{18:2},\;C_{18:2})$, 9.0%$(C_{18:1},\;C_{18:1},\;C_{18:1})$, 8.0%$(C_{18:2},\;C_{18:2},\;C_{18:2})$, 5.7%$(C_{18:1},\;C_{18:1},\;C_{16:0})$, 2.2%$(C_{16:0},\;C_{16:0},\;C_{18:2})$, 1.6%$(C_{18:2},\;C_{18:2},\;C_{18:2})$, 1.1%$(C_{18:2},\;C_{18:0},\;C_{16:0})$, 1.1%$(C_{16:0},\;C_{16:0},\;C_{18:1})$이었다.

  • PDF

들깨기름의 Triglyceride 조성(組成)에 관한 연구 (Triglyceride Composition of Perilla Oil)

  • 박영호;김동수;천석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64-169
    • /
    • 1983
  • 들깨기름의 트리-글리세리드조성(組成)을 밝히기 위하여 TLC에 의하여 시료유(試料油)로부터 트리-글리세리드를 분리하고, 이것을 ${\mu}-Bondapak\;C_{18}$ column을 사용한 HPLC에 걸어 PN별(別)로 트리-글리세리드를 분획(分劃)하였으며, 각획분(各劃分)을 분취(分取)하여 GLC로 아실 탄소수별(炭素數別)로 분획(分劃)하였다. 또한 PN별(別) 획분(劃分)의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을 GLC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이들 분석 결과로부터 들깨기름을 구성하는 트리-글리세리드조성(組成)을 산정(算定)하였는데 그 수(數)는 15종류이며, 그 중 주요(主要)한 트리-글리세리드 및 그 비율은 다음과 같다. 즉, $(C_{18:3},\;C_{18:3},\;C_{18:3},\;68.0%)$, $(C_{18:2},\;C_{18:3},\;C_{18:3},\;6.7%)$, $(C_{18:1},\;C_{18:2},\;C_{18:3},\;5.9%)$, $(C_{16:0},\;C_{18:3},\;C_{18:3},\;4.3%)$, $(C_{18:1},\;C_{18:2},\;C_{18:3},\;3.8%)$, $(C_{18:1},\;C_{18:1},\;C_{18:3},\;3.2%)$, ($C_{16:0},\;C_{18:2},\;C_{18:3},\;2.0%)$, $(C_{18:2},\;C_{18:2},\;C_{18:3},\;1.5%)$$(C_{16:0},\;C_{18:1},\;C_{18:3},\;1.0%)$ 등이다.

  • PDF

수박씨 기름의 triglyceride 분자종에 관한 연구 (Molecular Species of Triglycerides in Watermelon Seed Oil)

  • 천석조;박영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77-381
    • /
    • 1987
  • 수박씨기름의 triglyceride에서 산정(算定)가능한 분자종(分子種)은 26종류였으며 주요분자종(主要分子種)은 $C_{18:1}{\cdot}C_{18:2}{\cdot}C_{18:1}$ OLO 6.4%, $C_{18:0}{\cdot}C_{18:2}{\cdot}C_{18:2}$ SLL 7.1%, $C_{18:1}{\cdot}C_{18:2}{\cdot}C_{18:2}$ OLL 16.6%, $C_{16:0}{\cdot}C_{18:2}{\cdot}C_{18:2}$ PLL 19.6% 및 $C_{18:2}{\cdot}C_{18:2}{\cdot}C_{18:2}$ LLL 27.6%의 5종류였으며, 77.3%를 차지하였다.

  • PDF

식물유(植物油)의 Triglyceride 조성(組成)에 관한 연구(硏究) -제(第) 1 보(報) : 면실유(棉實油)의 Triglyceride 조성(組成)- (Studies on the Triglyceride Composition of Some Vegetable Oils -I. Triglyceride Composition of Cotton Seed Oil-)

  • 최수안;박영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19-225
    • /
    • 1982
  • 식물유(植物油)의 트리-글리세리드의 조성(組成)을 밝히기 위하여 목화씨기름을 시료(試料)로 하여 TLC로써 트리-글리세리드를 분리하고 HPLC에 의하여 PN별(別)로 분획(分劃)하였으며, 각 획분(劃分)을 분취(分取)하여 GLC로 acyl탄소수별(別)로 분획(分劃) 하였다. 또한 PN별(別) 분획(分劃)을 GLC로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였다. 이들 결과(結果)로부터 트리-글리세리드 조성을 산정하였는데, 목화씨기름에 있어서는 37종류이었다. 시료유(試料油)의 주요(主要) 트리-글리세리드를 들면 목화씨기름에 있어서는 25.8%$(C_{16:0},\;C_{18:2},\;C_{18:2})$, 15.5%$(C_{18:2},\;C_{18:2},\;C_{18:2})$, 13.8%$(C_{16:0},\;C_{18:2},\;C_{16:0})$, 8.3%$(C_{18:2},\;C_{18:1},\;C_{18:2}$), 6.2%($C_{18:2},\;C_{18:1},\;C_{18:1})$, 4.1%$(C_{18:1},\;C_{18:1},\;C_{14:0})$, 3.4%$(C_{16:0},\;C_{18:1},\;C_{16:0})$), 2.3%$(C_{18:1},\;C_{18:2},\;C_{16:0}$), 2.2%($C_{18:1},\;C_{18:1},\;C_{18:1})$, 1.0%$(C_{14:0},\;C_{18:2},\;C_{18:1})$이었다.

  • PDF

완두의 트리아실글리세롤 조성 (Triacylglycerol composition of dry peas (Pisum sativum L.))

  • 권용주;유재수;황영태;김충기;송근섭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4권2호
    • /
    • pp.81-85
    • /
    • 1991
  • 완두의 트리아실글리세롤의 조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TLC로 트리아실글리세롤을 분리 한 후 HPLC를 이용하여 PN별로 분획하고 GLC로 분석 하였다. 이들 결과를 종합하여 트리아실글리세롤의 조성을 추정한 결과 건조된 완두의 트리아실글리세롤은 33종류였으며 주요 트리아실글리세롤은 $C_{16:0}C_{18:2}C_{18:2}(13.4%),\;C_{18:1}C_{18:2}C_{18:3}(9.3%),\;C_{18:1}C_{18:2}C_{18:2}(9.2%),\;C_{18:2}C_{18:2}C_{18:2}(8.1%),\;C_{18:2}C_{18:2}C_{18:3}(6.4%)$$C_{18:0}C_{18:1}C_{18:2}(5.4%)$이었다.

  • PDF

중수소화(重水素化), Pentafluorobenzyl화(化)와 GLC-Mass Spectrometry에 의한 Conjugate Trienoic Acid함유(含有) Triacylglycerol 분자종(分子種)의 입체특이적 분석(分析) (Stereospecific Analysis of the Molecular Species of the Triacylglycerols Containing Conjugate Trienoic Acids by GLC-Mass Spectrometry in Combination with Deuteration and Pentafluorobenzyl Derivatization Techniques)

  • 우효경;김성진;조용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14-232
    • /
    • 2001
  • CTA ester bonds in TG molecules were not attacked by pancreatic lipase and lipases produced by microbes such as Candida cylindracea, Chromobacterium viscosum, Geotricum candidium, Pseudomonas fluorescens, Rhizophus delemar, R. arrhizus and Mucor miehei. An aliquot of total TG of all the seed oils and each TG fraction of the oils collected from HPLC runs were deuterated prior to partial hydrolysis with Grignard reagent, because CTA molecule was destroyed with treatment of Grignard reagent. Deuterated TG (dTG) was hydrolyzed partially to a mixture of deuterated diacylglycerols (dDG), which were subsequently reacted with (S)-(+)-1-(1-naphthyl)ethyl isocyanate to derivatize into dDG-NEUs. Purified dDG-NEUs were resolved into 1, 3-, 1, 2- and 2, 3-dDG-NEU on silica columns in tandem of HPLC using a solvent of 0.4% propan-1-o1 (containing 2% water)-hexane. An aliquot of each dDG-NEU fraction was hydrolyzed and (fatty acid-PFB ester). These derivatives showed a diagnostic carboxylate ion, $(M-1)^{-}$, as parent peak and a minor peak at m/z 196 $(PFB-CH_{3})^{-}$ on NICI mass spectra. In the mass spectra of the fatty acid-PFB esters of dTGs derived from the seed oils of T. kilirowii and M. charantia, peaks at m/z 285, 287, 289 and 317 were observed, which corresponded to $(M-1)^{-}$ of deuterized oleic acid ($d_{2}-C_{18:0}$), linoleic acid ($d_{4}-C_{18:0}$), punicic acid ($d_{6}-C_{18:0}$) and eicosamonoenoic acid ($d_{2}-C_{20:0}$), respectively. Fatty acid compositions of deuterized total TG of each oil measured by relative intensities of $(M-1)^-$ ion peaks were similar with those of intact TG of the oils by GLC. The composition of fatty acid-PFB esters of total dTG derived from the seed oils of T. kilirowii are as follows; $C_{16:0}$, 4.6 mole % (4.8 mole %, intact TG by GLC), $C_{18:0}$, 3.0 mole % (3.1 mole %), $d_{2}C_{18:0}$, 11.9 mole % (12.5 mole %, sum of $C_{18:1{\omega}9}$ and $C_{18:1{\omega}7}$), $d_{4}-C_{18:0}$, 39.3 mole % (38.9 mole %, sum of $C_{18:2{\omega}6}$ and its isomer), $d_{6}-C_{18:0}$, 41.1 mole % (40.5 mole %, sum of $C_{18:3\;9c,11t,13c}$, $C_{18:3\;9c,11t,13r}$ and $C_{18:3\;9t,11t,13c}$), $d_{2}-C_{20:0}$, 0.1 mole % (0.2 mole % of $C_{20:1{\omega}9}$). In total dTG derived from the seed oils of M. charantia, the fatty acid components are $C_{16:0}$, 1.5 mole % (1.8 mole %, intact TG by GLC), $C_{18:0}$, 12.0 mole % (12.3 mole %), $d_{2}-C_{18:0}$, 16.9 mole % (17.4 mole %, sum of $C_{18:1{\omega}9}$), $d_{4}-C_{18:0}$, 11.0 mole % (10.6 mole %, sum of $C_{18:2{\omega}6}$), $d_{6}-C_{18:0}$, 58.6 mole % (57.5 mole %, sum of $C_{18:3\;9c,11t,13t}$ and $C_{18:3\;9c,11t,13c}$). In the case of Aleurites fordii, $C_{16:0}$; 2.2 mole % (2.4 mole %, intact TG by GLC), $C_{18:0}$; 1.7 mole % (1.7 mole %), $d_{2}-C_{18:0}$; 5.5 mole % (5.4 mole %, sum of $C_{18:1{\omega}9}$), $d_{4}-C_{18:0}$ ; 8.3 mole % (8.5 mole %, sum of $C_{18:2{\omega}6}$), $d_{6}-C_{18:0}$; 82.0 mole % (81.2 mole %, sum of $C_{18:3\;9c,11t,13t}$ and $C_{18:3 9c,11t,13c})$. In the stereospecific analysis of fatty acid distribution in the TG species of the seed oils of T. kilirowii, $C_{18:3\;9c,11t,13r}$ and $C_{18:2{\omega}6}$ were mainly located at sn-2 and sn-3 position, while saturated acids were usually present at sn-1 position. And the major molecular species of $(C_{18:2{\omega}6})(C_{18:3\;9c,11t,13c})_{2}$ and $(C_{18:1{\omega}9})(C_{18:2{\omega}6})(C_{18:3\;9c,11t,13c})$ were predominantly composed of the stereoisomer of $sn-1-C_{18:2{\omega}6}$, $sn-2-C_{18:3\;9c,11t,13c}$, $sn-3-C_{18:3\;9c,11t,13c}$, and $sn-1-C_{18:1{\omega}9}$, $sn-2-C_{18:2{\omega}6}$, $sn-3-C_{18:3\;9c,11t,13c}$, respectively, and the minor TG species of $(C_{18:2{\omega}6})_{2}(C_{18:3\;9c,11t,13c})$ and $ (C_{16:0})(C_{18:3\;9c,11t,13c})_{2}$ mainly comprised the stereoisomer of $sn-1-C_{18:2{\omega}6}$, $sn-2-C_{18:2{\omega}6}$, $sn-3-C_{18:3\;9c,11t,13c}$ and $sn-1-C_{16:0}$, $sn-2-C_{18:3\;9c,11t,13c}$, $sn-3-C_{18:3\;9c,11t,13c}$. The TG of the seed oils of Momordica charantia showed that most of CTA, $C_{18:3\;9c,11t,13r}$, occurred at sn-3 position, and $C_{18:2{\omega}6}$ was concentrated at sn-1 and sn-2 compared to sn-3. Main TG species of $(C_{18:1{\omega}9})(C_{18:3\;9c,11t,13t})_{2}$ and $(C_{18:0})(C_{18:3\;9c,11t,13t})_{2}$ were consisted of the stereoisomer of $sn-1-C_{18:1{\omega}9}$, $sn-2-C_{18:3\;9c,11t,13t}$, $sn-3-C_{18:3\;9c,11t,13t}$ and $sn-1-C_{18:0}$, $sn-2-C_{18:3\;9c,11t,13t}$, $sn-3-C_{18:3\;9c,11t,13t}$, respectively, and minor TG species of $(C_{18:2{\omega}6})(C_{18:3\;9c,11t,13c})_{2}$ and $(C_{18:1{\omega}9})(C_{18:2{\omega}6})(C_{18:3\;9c,11t,13c})$ contained mostly $sn-1-C_{18:2{\omega6}$, $sn-2-C_{18:3\;9c,11t,13t}$, $sn-3-C_{18:3\;9c,11t,13t}$ and $sn-1-C_{18:1{\omega}9}$, $sn-2-C_{18:2{\omega}6}$, $sn-3-C_{18:3\;9c,11t,13t}$. The TG fraction of the seed oils of Aleurites fordii was mostly occupied with simple TG species of $(C_{18:3\;9c,11t,13t})_{3}$, along with minor species of $(C_{18:2{\omega}6})(C_{18:3\;9c,11t,13t})_{2}$, $(C_{18:1{\omega}9})(C_{18:3\;9c,11t,13t})_{2}$ and $(C_{16:0})(C_{18:3\;9c,11t,13t})$. The sterospecific species of $sn-1-C_{18:2{\omega}6}$, $sn-2-C_{18:3\;9c,11t,13t}$, sn-3-C_{18:3\;9c,11t,13t}$, $sn-1-C_{18:1{\omega}9}$, $sn-2-C_{18:3\;9c,11t,13t}$, $sn-3-C_{18:3\;9c,11t,13t}$ and $sn-1-C_{16;0}$, $sn-2-C_{18:3\;9c,11t,13t}$, $sn-3-C_{18:3\;9c,11t,13t}$ are the main stereoisomers for the species of $(C_{18:2{\omega}6})(C_{18:3\;9c,11t,13t})_2$, $(C_{18:1{\omega}9})(C_{18:3\;9c,11t,13t})_{2}$ and $(C_{16:0})(C_{18:3\;9c,11t,13t})$, respectively.

호도기름의 Triglyceride 조성(組成)에 관한 연구(硏究) (Triglyceride Composition of Walnut Oil)

  • 천석조;박영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63-267
    • /
    • 1984
  • 호도(胡桃)기름의 triglyceride 조성(組成)을 밝히기 위하여 TLC로서, 호도(胡桃)기름의 triglyceride를 분리하고, 이것을 HPLC에 의하여 PN별(別)로 triglyceride를 분획(分劃)하였다. PN 별(別)로 분획(分劃)한 각(各) 획분(劃分)을 다시 GLC에 의하여 acyl 탄소수별(炭素數別)로 분획(分劃)하였으며, 또한 PN별(別) 각획분(各劃分)의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을 GLC로 분석(分析)하였다. 이들 세가지 chromatography의 분석결과(分析結果)로 부터 호도(胡桃)기름의 triglyceride 조성(組成)을 산정(算定)하였다. 산정(算定)한 호도(胡桃)기름의 triglyceride는 10종류였으며, 이들 중 1% 이상을 차지하는 triglyceride를 들면 다음과 같다. $(C_{18:2},\;C_{18:2},\;C_{18:2};\;53.3%)$, $(C_{18:1},\;C_{18:2},\;C_{18:2};\;10.1%)$, $(C_{18:1},\;C_{18:1},\;C_{18:2};\;5.4%)$, $(C_{18:1},\;C_{18:2},\;C_{18:3};\;4.3%)$, $(C_{18:0},\;C_{18:2},\;C_{18:2};\;3.9%)$, $(C_{18:0},\;C_{18:1},\;C_{18:2};\;2.0%)$, $(C_{18:0},\;C_{18:2},\;C_{18:2};\;1.8%)$.

  • PDF

복숭아씨 및 살구씨기름의 triglyceride조성(組成) (Triglyceride Compositions of Peach Kernel and Apricot Kernel Oil)

  • 박영호;박진우;김태수;최수안;천석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7권4호
    • /
    • pp.278-284
    • /
    • 1984
  • 복숭아씨기름 및 살구씨기름의 triglyceride 조성(組成)을 밝히기 위하여 시료유(試料油)로부터 TLC에 의하여 triglyceride를 분리하고, 이것을 HPLC에 의하여 PN 별(別)로 triglyceride를 분획(分劃)하여 분취(分取)하였다. 분취(分取)한 각분획(各劃分)을 GLC에 의하여 acyl 탄소수별(炭素數別)로 재분획(再分劃)하는 한편, 각획분(各劃分)의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을 분석(分析)하였다. 이들 결과로부터 시료유(試料油)의 triglyceride조성(組成)을 산정(算定)하였는데, 산정(算定)할 수 있었던 복숭아씨기름의 triglyceride는 15종류였으며, 이중(中) 주요(主要) triglyceride는 다음과 같다. $(3{\times}C_{18:1},\;30.9%)$, $(2{\times}C_{18:1},\;C_{18:2},\;21.2%)$, $(C_{18:1},\;2{\times}C_{18:2},\;10.6%)$, $(3{\times}C_{18:2},\;3.8%)$, $(C_{18:0},\;2{\times}C_{18:1},\;1.8%)$, $(C_{16:0},\;C_{18:1},\;C_{18:2},\;1.5%)$, $(C_{18:0},\;C_{18:1},\;C_{18:2},\;1.1%)$ 등이다. 또한 살구씨기름의 정우는 산정(算定)할 수 있었던 triglyceride 는 13종류였고, 주요(主要) triglyceride는 다음과 같다. $(3{\times}C_{18:1},\;39.5%)$, $(2{\times}C_{18:1},\;C_{18:2},\;24.5%)$, $(C_{18:1},\;2{\times}C_{18:2},\;14.2%)$, $(3{\times}C_{18:2},\;2.0%)$ 등이다.

  • PDF

반추위액의 미생물에 의한 In vitro 상에서의 리놀렌산과 리놀산의 Biohydrogenation (In vitro Biohydrogenation of Linolenic and Linoleic Acids by Microorganisms of Rumen Fluid)

  • 이수원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6호
    • /
    • pp.985-1000
    • /
    • 2005
  • 리놀렌산(C18:3)과 리놀산(C18:2)의 biohydrogenation 과 반추위 내에서의 이들 지방산의 bypass를 검토하기 위하여 3 구로 나누어 티모시 조사료를 반추위액과 함께 in vitro상에서 39℃, 0, 3, 6, 9, 24, 36 시간 동안 혐기 배양 시험을 하였다. 첫번째 시험의 목적은 C18:2과 C18:3의 in vitro biohydrogenation에 대한 조사료의 성장 단계(stem elongation, early heading, late heading, early flowering)와 질소 시비(0 and 120kg N ha-1)의 영향을 시험하는 것이었다. 수소첨가가능분획(hydrogenable fraction), C18:2과 C18:3의 효과적인 소실과 bypass는 stem elongation 시 수확된 티모시에서 높았고, 성숙함에 따라 일정하게 감소하였다. 질소시비구는 C18:3의 수소첨가가능분획, C18:2과 C18:3의 효과적인 소실과 bypass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C18:2과 C18:3의 소실율은 성숙과 질소시비(P≻0.1)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2번째 시험에서는 in vitro C18:2과 C18:3 biohydrogenation에 대한 티모시 보존 방법의 영향을 보았다. 사일리지는 C18:2과 C18:3를 가장 효과적으로 소실시켰으며, 건초는 가장 효과가 낮았다. C18:2과 C18:3의 biohydrogenation 된 양은 건초에서 보다 헤일리지와 사일리지에서 더 높았다. 티모시 헤일리지와 비교하였을 때 C18:3의 bypass는 신선 목초, 시든풀, 건초에서 더 높았다. C18:2의 bypass는 건초와 헤일리지에 비해 신선목초와 사일리지가 더 높았다. 3번째 시험에서는 C18:2과 C18:3의 소거와 bypass에 대한 티모시 헤일리지와 사일리지에 대한 개미산 첨가와 Lactobacillus plantarum 접종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개미산의 첨가는 헤일리지와 사일리지에 있어서 C18:3의 biohydrogenation 비율을 증가시켰으나 사일리지에 있어서 C18:2의 수소첨가 가능분획을 감소시켰다. 이러한 3가지 배양구의 결과는 티모시에 있어 C18:2과 C18:3의 수소첨가 가능분획과 bypass가 성숙도에 따라 감소하였고 질소시비에 따라 증가하였음을 보여 준다. 헤일리지와 사일리지에서 건초에서 보다 C18:2과 C18:3의 더 많은 양이 biohydrogenation 되었으며 C18:3의 반추위 소실은 헤일리지에서 보다 신선목초, 시든풀, 건초에서 더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