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26

검색결과 9,152건 처리시간 0.038초

DNA Shuffling을 이용한 Paenibacillus polymyxa GS01의 다기능 β-Glycosyl Hydrolase (Cel44C-Man26AP558) 효소 활성 증가 (Enhancing the Enzymatic Activity of the Multifunctional β-Glycosyl Hydrolase (Cel44C-Man26AP558) from Paenibacillus polymyxa GS01 Using DNA Shuffling)

  • 강영민;강태호;윤한대;조계만
    • 미생물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73-78
    • /
    • 2012
  • 본 연구자들은 이전에 cellulase, xyalnase 및 lichenase의 다기능 효소활성을 지니는 절단된 Cel44C-$Man26A_{P558}$${\beta}$-glycosyl hydrolase를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절단된 Cel44C-$Man26A_{P558}$ 효소의 다기능성 ${\beta}$-glycosyl hydrolase 활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DNA shuffling을 시도하였다. DNA shuffling에 의해 단일변이(P438A)를 가진 M2Cel44C-$Man26A_{P558}$와 이중변이(A273T 및 P438A)를 가진 M21Cel44C-$Man26A_{P558}$를 얻었다. 이중변이를 가진 M21Cel44C-$Man26A_{P558}$은 단일변이를 가진 M2Cel44C-$Man26A_{P558}$ 보다 효소활성이 낮게 나타났으나, M2Cel44C-$Man26A_{P558}$와 M21Cel44C-$Man26A_{P558}$은 대조구인 Cel44C-$Man26A_{P558}$ 보다 약 1.3에서 2.2배 정도 높은 효소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단일변이를 가진 M2Cel44C-$Man26A_{P558}$는 대조구인 Cel44C-$Man26A_{P558}$보다 cellulase, xylanase 및 lichenase 효소활성이 약 1.5에서 2.2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beta}$-Glycosyl hydrolase의 cellulase, linchenase 및 xylanase 최적 효소활성은 각각 pH 7.0, 7.0 및 6.0에서 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아미노산 잔기인 Ala438이 다기능성 ${\beta}$-glycosyl hydrolase 활성을 증가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추정할 수 있다.

잎도열병(稻熱病) 발생(發生)에 미치는 온도(溫度), 상대습도(相對濕度) 및 잎표면상(表面上)의 수분존재시간(水分存在時間)의 영향(影響) (Effects of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Leaf Wetness Period on the Development of Rice Leaf Blast)

  • 최우정;박은우;이은종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21-228
    • /
    • 1987
  • 도열병균(稻熱病菌)(Pyricularia oryzae)의 포자발아(胞子發芽)에 가장 적합한 온도는 $26{\sim}30^{\circ}C$였으며, 발아(發芽)에 필요한 최소한의 수분존재시간(水分存在時間)은 4시간으로 나타났고, $34^{\circ}C$에서는 발아율(發芽率)이 10% 이하로 낮게 나타났다. 포자발아(胞子發芽)에 대한 상대습도의 영향은 고온(高溫)인 $34^{\circ}C$에서만 차이가 있었고 나머지 처리에서는 유의적(有意的)인 차이가 없었다(P>0.05). 발병효율(發病效率)은 $26^{\circ}C$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8^{\circ}C$$22^{\circ}C,\;30^{\circ}C$에서는 $26^{\circ}C$에 비해 약 20% 정도였다. 주당(株當) 1개 이상의 병반(病斑)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평균수분존재시간(平均水分存在時間)은 $18^{\circ}C$에서 22시간, $22^{\circ}C$에서 16시간, $26^{\circ}C$에서 10시간, $30^{\circ}C$에서는 8시간이었으며, $34^{\circ}C$에서는 주당(株當) 1개 이상의 병반(病斑)을 형성하지 못하였다. 접종(接種)후 병반(病斑) 발현시(發現時)까지의 잠복기간(潛伏其間)은 $18^{\circ}C$에서 $7{\sim}8$일(日), $22{\sim}26^{\circ}C$에서는 약 $4{\sim}5$일(日), $30^{\circ}C$에서는 $3{\sim}4$일(日)이었다. 병반(病斑) 크기 증가율(增加率)은 온도 및 습도조건과 밀접한 관계를 보였다. 1일당(日當) 평균(平均) 병반(病斑) 크기 증분(增分)은 상대습도 90% 이상인 경우, $18^{\circ}C$$22^{\circ}C$에서 0.7mm, $26^{\circ}C$에서 1mm, $30^{\circ}C$에서는 0.8mm 였고, 상대습도 85% 이하에서는 $30^{\circ}C$를 제외한 온도 조건에서 90% 이상에서의 증분(增分)의 $50{\sim}60%$ 밖에 되지 않았다.

  • PDF

옥수수 유식물 신초에서 Brassinosteroids의 항상성 조절을 위반 C-26 탈메틸 반응의 중요성 (Importance of C-26 Demethylation for Homeostatic Regulation of Brassinosteroids in Seedling Shoots of Zea mays L)

  • 박현희;김영수;김성기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3권1호
    • /
    • pp.65-73
    • /
    • 2006
  • 옥수수 유식물 줄기에서 중요 BRs의 함량조절 기작을 옥수수 유식물 줄기로부터 얻어진 효소원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먼저 활성형 BR인 CS의 대사를 [$^2H_0$]-와[$^2H_6$]-CS를 기질로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 [$^2H_0$]- 와 [$^2H_6$]-CS는 각각 [$^2H_0$]-26-norCS와 [$^2H_3$]-28-norCS로 전환됨을 GC-MS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두 가지의 대사과정 중 C-26 탈메틸 반응에 의한 CS에서 26-norCS로의 전환만이 생체 내에서 일어나는 반응임을 확인하였다. 이와 함께 주요 생합성 전구물질인 6-deoxoTE와 6-deoxoTY에 대해서도 같은 효소원을 이용하여 C-26 탈메틸 반응에 의한 대사를 조사한 결과 6-deoxoTE는 6-deoxo-3-dehydroTE와 6-deoxoTY로, 6-deoxoTY는 6-deoxo-3-dehydroTE와 6-deoxoTE로 전환됨을 확인함과 동시에, 6-deoxoTE는 6-deoxo-26-norTE 로, 6-deoxo-3-DHT는 3-dehydro-6-deoxo-26-norTE, 6-deoxoTY는 6-deoxo-26-norTY로 전환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옥수수 유식물 줄기에서 중요 BRs가 모두 C-26 탈메틸 반응이 일어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결과로서 BRs의 C-26 탈메틸 반응이 활성형 BR뿐만 아니라 그 생합성 전구물질에도 중요한 함량조절 기작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온도조건이 등검은황록장님노린재(Cyrtorhinus lividipennis Reuter)의 발육과 성충의 멸구류 난포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mperature on the Development of Green Mirid Bug, Cyrtorhinus lividipennis Reuter(Hemiptera: Miridae) and Predation of Planthoppers Eggs by Its Adult)

  • 배순도;박경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11-316
    • /
    • 1997
  • 온도조건에 따른 등검은황록장님노린재의 발육과 벼멸구 및 애멸구의 알에 대한 성충의 포식량을 조사하였다. 등검은황록장님노린재의 난부화율은 $23^{\circ}C$, $26^{\circ}C$, $29^{\circ}C$$32^{\circ}C$에서 각각 약 96%, 88%, $75^{\circ}C$$64^{\circ}C$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낮아졌다. 난기간은 $23^{\circ}C$, $26^{\circ}C$, $29^{\circ}C$$32^{\circ}C$에서 각각 약 11.0일 10.0일 6.7일 및 5.6일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짧아졌다. 약충기간은 $23^{\circ}C$, $26^{\circ}C$, $29^{\circ}C$$32^{\circ}C$에서 각각 약 13.7일 12.7일, 10.2일 및 9.1일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약충기간이 짧았으며, 영기별 발육기간은 4령충에서 가장 짧았고, 1령충에서 가장 길었으나, 식이곤충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성충수명은 $23^{\circ}C$, $26^{\circ}C$, $29^{\circ}C$$32^{\circ}C$에서 각각 약 22-23.5일, 19-20일, 16-17일 및 11-12일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크게 짧았으나, 식이곤충 및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벼멸구 및 애멸구 알에 대한 암컷과 수컷성충의 포식량은 $23^{\circ}C$, $26^{\circ}C$, $29^{\circ}C$$32^{\circ}C$에서 각각 약 56-61개 및 26-57개, 56-60개 및 47-49개, 43-46개 및 40-42개 그리고 28-30개 및 26-27개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포식량이 적었으며, 성별간에는 대체로 수컷보다 암컷에서, 식이곤충간에는 애멸구보다 벼멸구의 알을 약간 많이 포식하는 경향이었다. 그리고 마리당 일간 포식량은 2.0-3.0개 였다.

  • PDF

5-Aminoisoquinolinone Reduces the Expression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C via the Nuclear Factor-kappa B Signaling Pathway in CT26 Cells

  • Wu, Wei-Qiang;Fauzee, Nilufer Jasmine Selimah;Wang, Ya-L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3호
    • /
    • pp.991-994
    • /
    • 2012
  • Objective: VEGF-C has recently been identified as a key molecule which is involved in tumor lymphangiogenesis.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role of PARP-1 inhibition in the regulation of VEGF-C expression in CT26 cells. Methods: CT26 cells were treated with or without the PARP-1 inhibitor 5-aminoisoquinolinone (5-AIQ). The expression of PARP-1, NF-kB, and VEGF-C proteins in CT26 cells was measured by Western blot analysis and the VEGF-C mRNA level was determined by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CT26-secreted VEGF-C was detect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Results: The results of Western blot analysis showed that the expression levels of PARP-1, NF-kB, and VEGF-C were reduced in 5-AIQ treated CT26 cells and the levels of VEGF-C mRNA in 5-AIQ treated CT26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 in 5-AIQ-untreated cells (P<0.05). The concentrations of CT26-secreted VEGF-C were also dramatically decreased (P<0.05). Conclusion: Here, we provide evidence for the first time that PARP-1 inhibition dramatically reduces VEGF-C expression via the nuclear factor NF-kB signaling pathway. We therefore propose that PARP-1 inhibition has an anti-lymphangiogenic effect and may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of metastatic dissemination via the lymphatic system.

리포좀 포집 PALA의 C-26암 유발 마우스에 대한 항암 효과 (Antitumor Efficacy of Liposomal N-(Phosphonacetyl)-L-Aspartic Acid in C-26 Tumor Bearing Balb/c Mice)

  • 김진석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0권1호
    • /
    • pp.39-45
    • /
    • 2000
  • We have investigated the efficacy of liposome encapsulated N-(phosphonacetyl)-L-aspartic acid (PALA) for the treatment of the C-26 murine colon tumor in Balb/c mice, and have compared it in this regard to free PALA. Healthy female Balb/c mice and C-26 tumor inoculated mice were randomized for the maximum tolerated dose (MTD) study and the in vivo therapy study, and the survival was measured after a single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the drug. The maximum tolerated dose for intraperitoneally administered drug was found to be 750 mg/Kg for free PALA, and was greater than the maximum dose possible (150 mg/Kg) for PALA encapsulated in both DSPC and DSPG liposomes. When drug was administered one day after tumor implantation, 150 mg/Kg of PALA in DSPG liposomes increased the percentage of tumor bearing mice surviving at day 36 from 8% (buffer control) to 88%. In contrast, 150 mg/Kg free PALA increased the day 36 surviving percentage to only 25%. A 150 mg/Kg dose of PALA in DSPC liposomes increased the surviving percentage to 50%, while a 75 mg/Kg dose of PALA in sterically stabilized liposomes increased the surviving percentage to 78%. These results show that PALA in negatively charged or sterically stabilized liposomes can exhibit considerably greater potency than free PALA in C-26 tumor bearing mice.

  • PDF

사육수온에 따른 흰다리새우 Litopenaeus vannamei 소화기관의 trypsin 활성과 배설률 (Trypsin Activity in the Digestive Organs and Gastric Evacuation Rate of Litopenaeus vannamei at the Different Rearing Water Temperatures)

  • 김수경;김봉래;김대현;김종식;장인권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84-189
    • /
    • 2008
  • 흰다리새우 Litopenaeus vannamei 적정 사육기법을 개발하고자 사육수온(20, 23과 $26^{\circ}C$)에 따른 간췌장, 전장과 중장에서의 trypsin 활성 및 먹이섭취량을 조사하였다. $26^{\circ}C$에서의 흰다리새우 간췌장내의 효소활성은 $23^{\circ}C$ 구간보다 2배, $20^{\circ}C$ 구간보다 3배의 활성을 보였다. 전장에서의 효소활성은 사육수온에 관계없이 300 nmol/mg/min 과 340 nmol/mg/min로 유사한 최대 활성을 보였으나 먹이섭취 후 최대 활성이 나타나는 시간은 수온이 높을수록 짧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장에서의 효소활성은 먹이섭취량과 관계없이 $26^{\circ}C$ 구간에서 가장 높게 기록되어 수온이 높을수록 중장에서의 효소활성 또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중에 대한 전장과 중장의 무게 비율의 변화, 즉 섭취된 먹이량에 의한 비율변화를 조사한 결과 전장에서의 최대 먹이섭취는 $23^{\circ}C$ 구간으로 체중의 0.6%를 섭취하였으며, $26^{\circ}C$는 0.5% 그리고 $20^{\circ}C$에서는 0.4%의 먹이를 섭취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최대먹이섭취는 $23^{\circ}C$에서 일어났지만 수온이 높은 구간인 $26^{\circ}C$에서 효소의 활성은 가장 높았고 배설률 또한 높아서 먹이의 잔류시간이 가장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20^{\circ}C$ 구간에서는 가장 적은 양의 먹이를 섭취하였고 효소활성 또한 가장 낮았으나 소화관내 먹이 잔류율이 실험기간 동안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 수온에서 먹이섭취량에 따른 소화효소의 활성변화와 배설률에 따른 먹이 잔류시간을 고려하여 먹이공급량과 시간을 조절한다면 최적의 성장을 유도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제시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근권온도와 양액중의 $\textrm{NO}_3$-N/$\textrm{NH}_4$-N 비율이 양액재배 고추의 생육ㆍ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oot-zone Temperature and Ratios of $\textrm{NO}_3$-N to $\textrm{NH}_4$-N in the Nutrient Solution on the Growth and Yield of Hydroponically Grown Pepper Plant)

  • 정현복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52-158
    • /
    • 1995
  • 고추의 양액재배에서 근권온도와 양액중 질소형태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3수준 (18$^{\circ}C$, 22$^{\circ}C$, 26$^{\circ}C$의 근권온도에서 양액중 질소형태의 비율을 달리하여 (NO$_3$-N/NH$_4$-N = 10:0, 8:2), 고추의 생육, 수량, 광합성속도, 엽록소 함유율 및 근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초장, 엽수, 경경과 엽, 근의 생체중 및 건물중은 근권온도에 의한 영향은 없었으나, NH$_4$-N의 첨가에 의하여 18$^{\circ}C$, 22$^{\circ}C$, $25^{\circ}C$의 모든 근권온도에서 초장, 엽수, 경경과 엽, 근의 생체중 및 건물중은 증가하였다. 고추의 과장은 18$^{\circ}C$와 26$^{\circ}C$의 근권온도에서 NH$_4$-N의 첨가에 의하여 약간 길어지는 경향이었고, 주당 과수 및 수량은 NH$_4$-N의 첨가에 의하여 모든 근권 온도에서 증가하였다. 광합성속도는 근권온도가 높아질수록 저하되었으나, NH$_4$-N의 첨가에 의하여 18$^{\circ}C$, 22$^{\circ}C$, 26$^{\circ}C$의 모든 근권온도에서 유의적으로 높아졌다. 엽록소 상대적함유량은 22$^{\circ}C$의 근권온도에서 높아졌으며, NH$_4$-N의 첨가에 의하여 18$^{\circ}C$, 22$^{\circ}C$, 26$^{\circ}C$의 모든 근권온도에서 높아졌다. 근의 활성은 26$^{\circ}C$의 근권온도에서 높아졌고, NH$_4$-N의 첨가에 의하여 18$^{\circ}C$, 22$^{\circ}C$, 26$^{\circ}C$의 모든 근권온도에서 높아졌다.

  • PDF

2001년 1월 15일 한반도 일최저기온 양상과 과수 동해지역 분포 (Cold Mesoclimate Mapping for Zoning Fruit Tree Freeze Damage Using Spatial Interpolation Technique)

  • 정해순;조명동;윤진일
    • 한국농림기상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림기상학회 2001년도 춘계 학술발표논문집
    • /
    • pp.159-162
    • /
    • 2001
  • 근년의 "따뜻한 겨울" 추세와는 달리 2001년 1월 중순은 일주일 이상 혹독한 한파가 지속되었다. 최저기온이 영하 $25^{\circ}C$ 이하를 기록한 지점만도 철원(-29.2$^{\circ}C$), 홍천(-26.7$^{\circ}C$), 동두천(-26.2$^{\circ}C$), 제천(-26.$0^{\circ}C$), 대관령(-25.6$^{\circ}C$) 등 다섯이며, 순천, 진주, 정읍 등 남부지방 여러 곳에서도 영하 15$^{\circ}C$ 이하의 최저기온이 관측되었다.(중략)관측되었다.(중략)

  • PDF

한국산 미꾸리에 관한 육종 번식학적 연구 III. 초기 난발생 (Breeding and Reproductive Studies on Korean Native Loach III. Early Embryonic Development)

  • 이종영;윤종만;이재현;신재구;박홍양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63-76
    • /
    • 199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ppearance time of the second polar body for producing Gynogenesis or Triploid which could be obtained by arresting the second polar body by cold shock, and then blastoderm was used to measure fertility that revealed the nature of oogenesis, the effects of water temperature on fertility, hatchability, abnormality, viability and growth rate, and the water temperature and the breeding methods to prevent early death of larvae in Korean loach(Misgurnus anguillicaudatus) ;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second polar body was observed ont he surface of plasma disc close to micropyle within 10~40 min after fertilization at 29$^{\circ}C$. Artificial inseminatin had to be done immediately after the egg spawning because the spermatozoa of loach their mobility within 2 minutes when they were exposed to water. The amount of time needed to reach at blastoderm stage was 12 hours if fertilized eggs were incubated at 16$^{\circ}C$, 8 hours at 19$^{\circ}C$, 6 hours at 21$^{\circ}C$, 5 hours at 23$^{\circ}C$, 4 hours at 26$^{\circ}C$ and 3 hours 30 min at 29$^{\circ}C$ showing the shorter time for development of eggs at higher temperature. Fertilization rates in water temperatures of 19$^{\circ}C$, 21$^{\circ}C$, 23$^{\circ}C$, and 26$^{\circ}C$ were higher than those of water temperatures, 16$^{\circ}C$ and 29$^{\circ}C$. Water temperatures at 19$^{\circ}C$, 21$^{\circ}C$, and 23$^{\circ}C$ showed higher hatching rates that those of 16$^{\circ}C$, 26$^{\circ}C$, and 29$^{\circ}C$, while abnormal rates in 16$^{\circ}C$, 19$^{\circ}C$, 21$^{\circ}C$ and 23$^{\circ}C$ were lower than that of 26$^{\circ}C$ and 29$^{\circ}C$. Water temperatures at 16$^{\circ}C$, 19$^{\circ}C$, 21$^{\circ}C$, 23$^{\circ}C$ and 26$^{\circ}C$ respectively, were more different than 29$^{\circ}C$ in survival rates. The embryos were hatched at 72 hours after fertilization in 16$^{\circ}C$ water temperature, 48 hours in 19$^{\circ}C$, 40 hours in 21$^{\circ}C$, 32 hours in 23$^{\circ}C$, 25 hours in 26$^{\circ}C$, and 16 hours in 29$^{\circ}C$. Within three days after hatched out, the larvage grew 3mm in total length, the yolk granules were entirely consumed and the head and the trunk became thicker. Within 45 days after hatched out, the larva grew 25mm at 29$^{\circ}C$, 21mm at 26$^{\circ}C$, 16mm at 23$^{\circ}C$, 15mm at 21$^{\circ}C$, 12mm at 16$^{\circ}C$ in a 30 litreglass aquariu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