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BP transcription factor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7초

Roles of Transcription Factor Binding Sites in the D-raf Promoter Region

  • Kwon, Eun-Jeong;Kim, Hyeong-In;Kim, In-Ju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2권1호
    • /
    • pp.117-122
    • /
    • 1998
  • D-raf, a Drosophila homolog of the human c-raf-1, is known as a signal transducer in cell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A previous study found that the D-raf gene expression is regulated by the DNA replication-related element (DRE)/DRE-binding factor (DREF) system. In this study, we found the sequences homologous to transcription factor C/EBP, MyoD, STAT and Myc recognition sites in the D-raf promoter. We have generated various base substitutional mutations in these recognition sites and subsequently examined their effects on D-raf promoter activity through transient CAT assays in Kc cells with reporter plasmids p5'-878DrafCAT carrying the mutations in these binding sites. Through gel mobility shift assay using nuclear extracts of Kc cells, we detected factors binding to these recognition sites. Our results show that transcription factor C/EBP, STAT and Myc binding sites in D-raf promoter region play a positive role in 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the D-raf gene and the Myo D binding site plays a negative role.

  • PDF

한우(Bos taurus coreanae) 유래 myoblast에서 전사인자 과발현에 의한 지방세포로의 교차 분화 유도 (Effects of Ectopic Expression of Transcription Factors on Adipogenic Transdifferentiation in Bovine Myoblasts)

  • 문양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0호
    • /
    • pp.1316-1323
    • /
    • 2012
  • 본 연구는 한우유래 myoblast에서 지방세포분화 유도 전사인자들을 과발현시켜 지방세포로의 교차분화를 유도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한우 유래 satellite cell을 배양한 후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인 $PPAR{\gamma}$, C/$EBP{\alpha}$, SREBP1c, KLF5등을 단독 또는 co-transfection을 실시하여 세포에 과발현을 유도하였다. 이들 세포들은 adipogenic differentiation medium에서 2일간 배양한 후growth medium에서 8일간 추가로 배양하였다. 지방세포로의 교차분화 유무는 Oil-red O염색과 지방세포 마커 유전자들의 발현으로 확인하였다. $PPAR{\gamma}$과 C/$EBP{\alpha}$를 각각 단독으로 과발현을 유도한 경우myoblast에서 지방세포로의 교차분화를 유도하기에는 충분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PPAR{\gamma}$와 C/$EBP{\alpha}$을 co-transfection을 실시한 경우 지방세포로의 교차분화가 유도되었고, 세포내지방구형성, 지방세포 마커유전자의 발현, 근세포 마커유전자의 발현 감소 등이 확인되었다. KLF5 와 $PPAR{\gamma}$를 동시에 과발현할 경우 지방세포로의 교차분화를 볼 수 있었지만 KLF단독의 경우는 교차분화를 유도하지 못하였다. 할성형SREBP1c (tSREBP1c)의 경우, 단독으로 myoblast에 과발현을 처리한 경우만으로 지방세포로의 교차분화를 유도할 수 있었다. 이들 결과는 한우유래 satellite cell을 이용하여 지방세포분화 전사인자를 단독 혹은 조합하여 이들 세포에 과발현 시킬 경우 지방세포로의 교차분화를 유도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beta (C/EBPβ) is an important mediator of 1,25 dihydroxyvitamin D3 (1,25D3)-induced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 kappa-B ligand (RANKL) expression in osteoblasts

  • Jo, Sungsin;Lee, Yun Young;Han, Jinil;Lee, Young Lim;Yoon, Subin;Lee, Jaehyun;Oh, Younseo;Han, Joong-Soo;Sung, Il-Hoon;Park, Ye-Soo;Kim, Tae-Hwan
    • BMB Reports
    • /
    • 제52권6호
    • /
    • pp.391-396
    • /
    • 2019
  •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 kappa B ligand (RANKL) expression in osteoblasts is regulated by 1,25-dihydroxyvitamin D3 (1,25D3).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beta ($C/EBP{\beta}$) has been proposed to function as a transcription factor and upregulate RANKL expression, but it is still uncertain how $C/EBP{\beta}$ is involved in 1,25D3-induced RANKL expression of osteoblasts. 1,25D3 stimulation increased the expression of RANKL and $C/EBP{\beta}$ genes in osteoblasts and enhanced phosphorylation and stability of these proteins. Moreover, induction of RANKL expression by 1,25D3 in osteoblasts was downregulated upon knockdown of $C/EBP{\beta}$. In contrast, $C/EBP{\beta}$ overexpression directly upregulated RANKL promoter activity and exhibited a synergistic effect on 1,25D3-induced RANKL expression. In particular, 1,25D3 treatment of osteoblasts increased $C/EBP{\beta}$ protein binding to the RANKL promoter. In conclusion, $C/EBP{\beta}$ is required for induction of RANKL by 1,25D3.

괭생이모자반 에탄올 추출물이 3T3-L1 지방전구세포의 분화 및 adipogenesis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thanol Extract of Sargassum horneri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Adipogenesis in 3T3-L1 Preadipocytes)

  • 권다혜;최영현;김병우;황혜진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09-214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괭생이모자반 에탄올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3T3-L1 preadipocyte에서 Oil Red O staining과 triglyceride content, adipogenesis의 발현에 대해 조사하였다. MTT assay를 통해 괭생이모자반 에탄올 추출물의 세포 독성을 확인 해 본 결과 $200{\sim}1,000{\mu}g/ml$ 농도에서 90% 이상의 세포 생존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insulin, dexamethasone과 IBMX 복합물을 처리하여 분화를 유도하였을 때는 분화유도제를 처리하지 않은 군에 비해 활발하게 지방구를 형성하였으나, 괭생이모자반 에탄올 추출물을 250, 500, $1,000{\mu}g/ml$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는 농도 의존적으로 지방구 형성을 억제하였다. 이를 정량하여 triglyceride content (%)로 나타낸 결과 농도별로 13%, 16%, 23%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Western blot assay를 통해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의 발현양상을 비교해 본 결과, 분화유도제 처리에 의해 $C/EBP{\alpha}$, $C/EBP{\beta}$$PPAR{\gamma}$의 발현이 증가하였으나, 괭생이모자반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는 이러한 전사인자들의 발현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괭생이모자반 에탄올 추출물은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의 발현을 조절하여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하였으며, 지방구와 triglyceride 생성을 감소시켜 최종적으로 비만억제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Insights into the signal transduction pathways of mouse lung type II cells revealed by transcription factor profiling in the transcriptome

  • Ramana, Chilakamarti V.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17권1호
    • /
    • pp.8.1-8.10
    • /
    • 2019
  • Alveolar type II cells constitute a small fraction of the total lung cell mass. However, they play an important role in many cellular processes including trans-differentiation into type I cells as well as repair of lung injury in response to toxic chemicals and respiratory pathogens. Transcription factors are the regulatory proteins dynamically modulating DNA structure and gene expression. Transcription factor profiling in microarray datasets revealed that several members of AP1, ATF, $NF-{\kappa}B$, and C/EBP families involved in diverse responses were expressed in mouse lung type II cells. A transcriptional factor signature consisting of Cebpa, Srebf1, Stat3, Klf5, and Elf3 was identified in lung type II cells, Sox9+ pluripotent lung stem cells as well as in mouse lung development. Identification of the transcription factor profile in mouse lung type II cells will serve as a useful resource and facilitate the integrated analysis of signal transduction pathways and specific gene targets in a variety of physiological conditions.

항비만소재의 lipoprotein lipase 억제 작용 연구 (Study of Lipoprotein Lipase Inhibitory Activity of Anti-obesity Herb Extracts)

  • 이성미;강윤환;김경곤;김태우;최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246-253
    • /
    • 2015
  • 본 연구에는 항비만소재로 연구되어진 11종의 소재를 대상으로 lipoprotein lipase (LPL)의 억제효능을 확인하고자 배양배지내 LPL의 함량과 LPL 효소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3T3-L1 adipocyte에서 LPL의 분비를 억제하는 소재로 능이추출물(NE)을 선택할 수 있었다. 선택된 NE의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 $16.61{\pm}0.44mg/g$$6.58{\pm}0.01mg/g$이 각각 확인되었다. NE의 LPL 분비억제기작을 확인하기위해 먼저 세포내 LPL단백질의 함량과 mRNA 발현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함량이 감소했던 배양배지와는 다르게 NE를 처리한 3T3-L1 adipocyte의 세포내 LPL은 유의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mRNA의 발현에는 영향이 없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생성된 LPL 단백질의 exocytosis에 문제가 발생했을 것으로 유추하고 다양한 단백질 이동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LPL의 이동과 분해에 관여하여 세포내 LPL의 활성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진 SorLA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고 이를 조절하는 transcription factor의 발현과 nuclear로의 이동에 NE가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NE를 처리함으로써 SorLA promoter에 작용하는 $C/EBP{\beta}$의 단백질 발현이 nuclear에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NE가 SorLA 유전자의 transcription factor인 $C/EBP{\beta}$의 단백질 발현을 nuclear에서 증가시킴으로서 결과적으로 LPL의 분비억제가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NE의 항비만 효과기전을 설명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라 사료된다.

톳 분획물이 3T3-L1 지방전구세포의 분화 및 지방생성의 억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izikia fusiforme Extracts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Adipogenesis in 3T3-L1 Preadipocytes)

  • 최은옥;김향숙;한민호;최영현;김병우;황진아;황혜진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0호
    • /
    • pp.1399-140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톳 분획물의 항비만 효과 및 그에 따른 생화학적 기전의 해석을 위하여 톳 분획물이 비만유도인자에 의하여 인위적으로 유발된 adipogenesis 과정에 있어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조사하였고, 이때 $PPAR{\gamma}$, C/$EBP{\alpha}$ 및 C/$EBP{\beta}$ 등과 같은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들의 발현에 어떠한 변화가 유발되었는지를 조사하였다. 각각의 톳 분획물들이 성숙한 지방세포에서 나타나는 lipid droplet 및 TG 생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확인한 결과, 모든 분획물에서 lipid droplet 및 TG 생성억제가 나타났지만 특히 WFHF 처리군에서 이러한 현상이 가장 강하게 나타났다. 또한 lipid droplet 및 TG 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들의발현에각각의분획물들이 어떠한영향을미치는지를확인한결과,WFHF 처리군에서 $PPAR{\gamma}$, C/$EBP{\alpha}$ 및 C/$EBP{\beta}$의 발현이 현저하게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섯 종류의 톳 분획물 모두 비만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WFHF의 비만억제 효과가 강하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톳의 비만억제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으로서 항비만 기전에 대한 생화학적 해석 및 이를 활용한 향후 지속적인 연구를 위한 자료로서 그 가치가 매우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지방세포 분화중인 3T3-L1 세포에서 영지추출물에 의한 지방관련 유전자와 전사인자의 발현 조절 (Adipocyte-Related Genes and Transcription Factors were affected by Ganoderma lucidum during 3T3-L1 Differentiation)

  • 이채우;윤현민;강경화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3-20
    • /
    • 2009
  •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Ganoderma lucidum (GL) on fat metabolism were performed in 3T3-L1 adipocytes. The effects of GL on 3T3-L1 preadipocytes differentiation were also examined. Our results showed that GL decreased the TG content by ORO staining. To elucidate the mechanism of the effects of GL on lowering TG content in 3T3-L1 adipocytes, we examined whether GL modulate the expressions of transcription factors and adipokines related to control of energy expenditure process because adipokines regulate adipocyte mass and increased expenditure may consume much TG in adipocytes. As a result, the expression of C/$EBP{\beta}$, C/$EBP{\delta}$, C/$EBP{\alpha}$, and $PPAR{\gamma}$, genes, which induce the adipose differentiation and adipose-specific FAS, aP2, and adipsin genes, which compose fat formation were decreased. In addition, GL increased the expression of leptin, UCP2, adiponectin in 3T3-L1 adipocytes, resulting in energy homeostasis. In conclusion, GL could regulate transcript factor related to induction of adipose differentiation and control TG content by up-regulation of adipokines related to fat burn.

탱자 (Poncirus trifoliata)의 lipoprotein lipase 억제메커니즘 (A study of the lipoprotein lipase inhibitory mechanism of Poncirus trifoliata water extracts)

  • 이성미;강윤환;김경곤;김태우;최면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8권1호
    • /
    • pp.9-18
    • /
    • 2015
  • 본 연구에는 최근 항비만 소재로 연구되고 있는 건조, 미숙탱자의 물 추출물 (PF-W) 소재를 대상으로 폴리페놀 ($52.15{\pm}4.02mg/g$)과 플라보노이드 ($6.56{\pm}0.47mg/g$) 함량을 측정하고 항산화 활성과 세포독성을 시험한 후, 지방 흡수 제어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lipoprotein lipase (LPL)의 억제효능을 배양배지와 세포 내의 LPL 함량, LPL mRNA 발현 그리고 LPL 효소활성측정을 통해 검토하였다. 그 결과 PF-W은 3T3-L1 adipocyte에서 LPL mRNA의 발현과 활성에는 영향이 없었으며, LPL의 분비를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PF-W의 LPL 분비억제기작을 확인하기 위해 다양한 단백질 이동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 LPL의 이동과 분해에 관여하여 세포내 LPL의 활성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진 SorLA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조절하는 transcription factor의 발현과 세포핵으로의 이동에 PF-W가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 PF-W를 처리함으로써 SorLA promoter 에 작용하는 $C/EBP{\beta}$의 단백질양이 세포핵에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PF-W가 SorLA 유전자의 transcription factor인 $C/EBP{\beta}$의 단백질 발현을 세포핵에서 증가시킴으로써 SorLA의 발현이 증가되어 LPL의 분비억제가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PF-W의 항비만 효과기전을 설명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라 사료된다.

HCBP6 upregulates human SREBP1c expression by binding to C/EBPβ-binding site in the SREBP1c promoter

  • Yang, Xueliang;Han, Ming;Liu, Shunai;Yuan, Xiaoxue;Liu, Xiaojing;Feng, Shenghu;Zhou, Li;Li, Yaru;Lu, Hongping;Cheng, Jun;Lin, Shumei
    • BMB Reports
    • /
    • 제51권1호
    • /
    • pp.33-38
    • /
    • 2018
  •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1c (SREBP1c) plays an important role in triglyceride (TG) homeostasis. Although our previous study showed that hepatitis C virus core-binding protein 6 (HCBP6) regulates SREBP1c expression to maintain intracellular TG homeostasis, the mechanism underlying this regulation is unclear. In the present study, we found that HCBP6 increased intracellular TG levels by upregulating SREBP1c expression. HCBP6 increased SREBP1c transcription by directly binding to the SREBP1c promoter (at the -139- to +359-bp region). Moreover, we observed that HCBP6 interacted with $C/EBP{\beta}-binding$ site in the SREBP1c promoter both in vitro and in vivo. These results indicate that HCBP6 upregulates human SREBP1c expression by binding to the $C/EBP{\beta}-binding$ site in the SREBP1c promo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