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yblis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8초

샘에서 채집한 Attheyella 속의 하르팍티쿠스류 2신종 (Two New Species of Genus Attheyella (Harpacticoida, Canthocamptidae) from Springs of Korea)

  • 장천영;김훈수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nspc3호
    • /
    • pp.67-76
    • /
    • 1992
  • 경상남도 창녕군 영산면 소재 함박산과 제주도 한라산의 샘에서 채집한 하르팍티쿠스류 2종이 Attheyella 속에 속하는 신종으로 밝혀서 각각 A. paucisetosa와 A. byblis로 명명하여 기재한다.

  • PDF

Amphipod (Crustacea: Malacostraca) fauna of the continental shelf region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 Kyung-Won Kim;Jae-Hong Choi;So-Yeon Shin;June Kim;Young-Hyo Kim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13권2호
    • /
    • pp.159-177
    • /
    • 2024
  • A faunal study on the marine amphipods at eight sites of the continental shelf region in the Southern Sea, Korea was conducted from 16-17 August 2022. In this study, 26 amphipod species in 19 genera and 14 families were found. Among these 14 families, the family Ampeliscidae with six species showed the highest abundance, followed by the family Caprellidae with five species. Amphipods were collected using conical nets, MOCNESS nets, SM grabs, and trawls. When using the SM Grab for collecting benthic sediment, 15 out of a total of 26 amphipod species were surveyed, indicating the highest diversity of amphipod species. Out of the total 26 species, four identified species (Ampelisca pygmaea Schellenberg, 1938; Byblis longiflagelis Ren, 1998; Caprella iniquilibra Mayer, 1903; Primno latreillei Stebbing, 1888) and five unidentified species(Themisto sp., Liljeborgia sp., Dulichiella sp., Cranocephalus sp., Primno sp.) are newly recorded in Korean fauna. These newly recorded species are fully illustrated and compared with related species. We provide a list amphipod fauna in Southern Sea of Korea including figures and tables.

진도의 담수산 물벼룩류와 요각류의 출현특성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 윤성명;장천영;김원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1권1호
    • /
    • pp.39-64
    • /
    • 1995
  • 진도의 담수산 물벼룩류 및 요각류의 종류상, 서식처별 종조성, 물벼룩류와 요각류의 출현특성 및 상관출현성 등을 조사하기 위해 , 1994년 7월 23-25일과 11월 1-3의 두차례에 걸쳐 저수지, 하천, 습지, 논 , 농수로 , 연못 , 샘 등 다양한 담수 서식처 35개 지소에서 물벼룩류와 요각류을 채집하였다. 조사결과 5종의 미동정종을 포함한 2목 6과 17속 27종의 물벼룩류와 3종의 미동정종을 포함한 3목 6과 21 속 28종의 요각류가 본 조사기간 동안 출현하였는데 , 이 가운데 물벼룩류 Daphnia obtusa Kurz 와 요각류 Elaphoidella bidens (Schmeil)는 한국미기록종이다. 정수역의 저수지에서는 7월에 물벼룩류 Diaphanosoma sp. 와 요각류인 온난검물벼룩(Thermocyclops taihokuensis)이 , 11월에는 긴뿔물벼룩(Bosmina longirostris)과 참검물벼룩(Cyclops vicinus vicinus)이 각각 우점하였고 , 저수지의 가장자리 부식질이 많은 곳과 웅덩이에서는 긴눈시모물벼룩(Simocephalus vetulus)과 사각배큰씨물벼룩(Alona rectangula), 둥근씨물벼룩(Chydorus sphaericus)등의 물벼룩류와 톱니꼬리검물벼룩(Eucyclops serrulatus)을 비롯한 꼬마검물벼룩(Microcyclops varicans), 갈고리보통검물벼룩(Mescocylops pepheiensis)등의 요각류가 출현하였다. 7월에서 11월로 가면서 Diaphanosoma sp. 와 온난검물벼룩(T.taihokuensis)의 개체수는 격감하였고 대신 긴뿔물벼룩과 유리온난검물벼룩(T.crassus)의 개체수와 출현비도는 증가하였다. 연못에서는 7월에 온난검물벼룩, 11월에는 시궁모이나물벼룩(Miina weismanni)이 우점하였다. 논에서는 모이나물벼룩(Moina macrocopa) 과 온난검물벼룩(T.taihokuensis)이 우점하였다. 유수역의 계류 및 샘에서는 물벼룩류 Alona sp.와 하르팍티쿠스류 두마디털보장수노벌레(Attehyella byblis) , 네가시털보장수노벌레(A.tetraspinosa) 등이 출현하였다. 하천에서는 물벼룩류의 출현빈도가 낮았으며, 7월에 비해 11월에 물벼룩 출현종들이 다양한 편이었는데, 부유성 종에서는 긴뿔물벼룩과 저서성 종에서는 둥근씨물벼룩이 가장 흔한 종이었다. 욕가류는 하부의 하구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하천의 조사지점에서 거의 같은 종조성을 나타냈는데 , 톱니꼬리검물벼룩(e.serrulatus)과 갈고리보통검물벼룩(M.phieiensis)이 가장 흔하고 개체수가 많은 종이었다. 물벼룩류와 요각류의 상관출현성에서는 , 정수역의 경우 물벼룩류 Diaphanosoma sp. 와 온난검물벼룩의 2 종, 긴뿔물벼룩, 둥근씨물벼룩, 사각배튼씨물벼룩 및 톱니꼬리검물벼룩의 4종, 짧은배씨물벼욱(Disparalona rostrata)과 유리온난 검물벼룩, 꼬마검물벼욱, 갈고리보통검물벼룩의 4종, 시모긴눈물벼욱, 시궁모이나 물벼룩, 긴뿔물벼룩붙이(Bosminopsis detersi) , 줄무늬큰씨물벼욱 (Alona costata)과 마루딱정장수노벌레(Canthocamptus carinatus) 및 참검물벼욱의 6종등이 각각 종의 출현에서 다른 종들에 비해 서로 깊은 상관성이 잇는 것으로 드러났다. 유수역에서는 긴눈시모물벼룩과 갈고리보통검물벼룩의 2종, 시궁모이나물벼룩과 긴뿔물벼룩, 긴뿔물벼룩붙이와 마루딱정장수노벌레의 4종등이 각각 시기나 장소에 따른 종의 출현성에서 다른 종들에 비해 서로 밀접한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