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y-Election

검색결과 357건 처리시간 0.026초

선거예측조사의 신뢰성 증진방안 - 16대 총선을 중심으로 (A Plan of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Election Forecasting Survey - A Case of the 16th General Election)

  • 류제복
    • 한국조사연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사연구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 조사연구의 방법론적 쟁점
    • /
    • pp.15-34
    • /
    • 2000
  • 지난 4월 13일에 실시된 16대 총선에서 방송사와 조사기관들이 공동으로 조사하여 발표한 선거예측조사에서 많은 오류가 발생하여 선거예측에 대한 신뢰성에 큰 타격을 받았다. 이에 향후 선거예측조사의 신뢰성을 회복하고 보다 정확한 예측을 위해 기 발표된 예측조사내용을 다각도로 심층분석하여 조사의 오류가 발생한 원인을 살펴보고 이들 오류를 줄이는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이번에 처음으로 실시된 출구조사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안도 함께 살펴보았다.

  • PDF

Fuzzy Logic Approach to Zone-Based Stable Cluster Head Election Protocol-Enhanced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 Mary, S.A. Sahaaya Arul;Gnanadurai, Jasmine Beulah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0권4호
    • /
    • pp.1692-1711
    • /
    • 2016
  • Energy is a scarce resource in wireless sensor networks (WSNs). A variety of clustering protocols for WSNs, such as the zone-based stable election protocol-enhanced (ZSEP-E), have been developed for energy optimization. The ZSEP-E is a heterogeneous zone-based clustering protocol that focuses on unbalanced energy consumption with parallel formation of clusters in zones and election of cluster heads (CHs). Most ZSEP-E research has assumed probabilistic election of CHs in the zones by considering the maximum residual energy of nodes. However, studies of the diverse CH election parameters are lacking. We investigated the performance of the ZSEP-E in such scenarios using a fuzzy logic approach based on three descriptors, i.e., energy, density, and the distance from the node to the base station. We proposed an efficient ZSEP-E scheme to adapt and elect CHs in zones using fuzzy variables and evaluated its performance for different energy levels in the zones.

선거예측조사의 신뢰성 증진방안 - 16대 총선을 중심으로 (A Plan of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Election Forecasting Survey - A Case of the 16th General Election)

  • 류제복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1권2호
    • /
    • pp.15-34
    • /
    • 2000
  • 지난 4월 13일에 실시된 16대 총선에서 방송사와 조사기관들이 공동으로 조사하여 발표한 선거예측조사에서 많은 오류가 발생하여 선거예측조사에 대한 신뢰성에 큰 타격을 받았다. 이에 향후 선거예측조사의 신뢰성을 회복하고 보다 정확한 예측을 위해 기 발표된 예측조사내용을 다각도로 심층분석하여 조사의 오류가 발생한 원인을 살펴보고 이들 오류를 줄이는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이번에 처음으로 실시된 출구조사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안도 함께 살펴보았다.

  • PDF

말레이시아 선거권위주의체제의 변화 가능성: 13대 총선을 중심으로 (The Possible Change of the Electoral Authoritarianism in Malaysia: By Focusing on the 13th General Election)

  • 황인원
    • 동남아시아연구
    • /
    • 제24권1호
    • /
    • pp.45-87
    • /
    • 2014
  • This study traces the possibility of political change in the Malaysian electoral history, especially by focusing on the 13th general election held in May 2013. The results of the 13th general election was another turning point in the history of Malaysia's electoral politics. Following after the 12th general election held in 2008, opposition coalition(PR) achieves a remarkable electoral result by obtaining over 50% of the total votes. Opposition parties also successfully collapsed the ruling coalition(BN)'s two-third majority in parliamentary. It was de-facto defeat of the ruling coalition and victory of the opposition coalition. More precisely, the 2013 election results show that the reformasi movement, which was active in 1998-99 period, are still alive and its impact on Malaysian electoral politics get stronger. Malaysia has long been considered as a typical electoral authoritarian regime since its independence in 1957. It is because that there has been negative relations between electoral politics and political change through out its electoral history. As shown in the most recent two general elections held in 2008 and 2013, however, Malaysia's hegemonic political system can be possibly changed through electoral politics. This article examines the detailed results of the series of post-reformarsi general elections(1999, 2004, 2008, 2013) and its political implications towards the nexus of electoral politics and political change under the electoral authoritarian regime in Malaysia.

사전 태도 및 투표 의향과 실제 투표행동간 상관성 연구 (A Study on Correlation of Voting Behavior and Attitude and Vote Intention in the Poll Survey)

  • 이계오;장덕현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12권1호
    • /
    • pp.1-30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선거여론조사에서 유권자의 사전 태도 및 투표 의향과 실제 투표 행동간의 상관성을 분석함으로써 투표결과에 대한 선거여론조사의 예측력을 높이는 방법을 탐색하는 것이다. 지지 후보, 정치적 자기 신뢰와 효능감 및 현재의 이슈에 대한 입장을 통해 사전 태도를 측정하고 투표 참여와 관련하여 투표 의향, 과거 선거에서 투표 참여 및 선거에 대한 관심 정도를 측정했다. 실제 투표행동은 개표 후 사후조사에서 투표 참여 여부와 투표 후보를 질문했고 사전조사와 투표 행동 간의 상관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동일인을 대상으로 사전, 사후조사를 실시했다. 사전조사의 투표 의향, 선거 관심도와 과거 투표 참여 등이 실제 투표 참여와 상관성이 컸으며 사전조사의 지지 후보와 실제 투표후보 간에는 변동이 거의 없었다. 또한 인구 특성과 현안에 대한 태도를 통해 지지 후보 무응답자의 투표행동을 예측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 PDF

선거정보의 페이크뉴스에 대한 유권자 인식 분석 연구 -제19대 대통령선거 정보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n Voters' Awareness on Fake News related to Elections - Focused on the 19th Presidential ElectionData -)

  • 이종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113-130
    • /
    • 2017
  • 본 연구는 제19대 대통령선거를 중심으로 선거정보의 페이크뉴스에 대한 유권자 인식을 분석하여 문제를 파악, 개선방안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전체 응답자 128명(남자53명, 여자75명)을 대상으로 분석결과, 첫째 응답자의 99.2(127명)가 선거 정보를 접해본 경험이 있었으며, 주로 방송(77.2%)과 스마트폰(70.9%), 인터넷(63.8%), 신문 32.3%(41명) 등의 순으로 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응답자의 87.4%가 선거정보가 투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이들 모두가 보통 이상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셋째 19대 대통령선거에서 후보자들이 주장했던 선거정보를 표집하여 제시한 후 팩트 인식을 분석한 결과, 연령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Scheffe 사후검증결과 30-40대가 20대에 비해 팩트 인식 평균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을 토대로 선거정보의 사전 등록제도 및 검증제도를 법제화, 시스템화 할 것,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각 선거조직별로 선거정보 조사분석위원회를 설치하여, 상시적으로 선거정보를 조사 분석하여 팩트성을 유권자인 국민에게 알릴 것 등을 제언하였다.

선거여론조사의 역사와 의의 (The History and Meaning of The Election Polls in Korea)

  • 박무익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3권1호
    • /
    • pp.91-118
    • /
    • 2002
  • 선거여론조사의 역사가 150년을 넘어서는 미국이나 영국 등 선진국에 비하면 한국의 선거여론조사 15년은 일천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한국의 몇몇 조사기관들은 다양하고 대범한 시도를 통해 선거여론조사 방법과 이론을 한국적 특성에 맞게 혁신시키면서 선거 예측률을 높여왔다. 선진국에 비해 짧은 역사임에도 불구하고 한국갤럽조사연구소를 포함한 일련의 조사기관들이 시도한 선거여론조사와 예측은 한국 선거문화에 과학성과 합리성을 불어넣으면서 선거문화의 질적 향상을 유도해 냈다는 평가를 받는다. 본고에서는 지난 15년간 7차례에 걸쳐 시행된 선거여론조사의 경과를 살펴보고, 선거여론조사의 의의를 정리해 보도록 하겠다.

  • PDF

The Biometric based Mobile ID and Its Application to Electronic Voting

  • Yun, Sung-Hyun;Lim, Heui-Seok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7권1호
    • /
    • pp.166-183
    • /
    • 2013
  • It requires a lot of costs and manpower to manage an election. The electronic voting scheme can make the election system economic and trustful. The widespread use of smart phones causes mobile voting to be a major issue. The smart phone can be used as a mobile voting platform since it can carry out many services in addition to basic telephone service. To make mobile voting practical and trustful, we analyzed two subjects of study. Firstly, the way to make a biometric based mobile ID, which has legal binding forces. In mobile voting, user identification is accomplished on line since the voter should be able to vote wherever they go. The digital ID conducts a similar role to the need for a resident card. The user's identity is bound to the resident card legally. To bind the user's identity to the smart phone, we use USIM. Biometric recognition is also needed to authenticate the user, since the user cannot prove him or her on line face-to-face. The proposed mobile ID can be reissued by means of introducing a random secret value. Secondly, the mobile voting scheme is proposed where candidates can accept election results without doubt. The goal of an election is to select a leader among two or more candidates. Existing electronic voting schemes mainly focus on the study of ballot verification accomplished by voters. These approaches are not safe against collusion attacks where candidates and the election administration center are able to collude to fabricate election results. Therefore, a new type of voting and counting method is needed where candidates can directly take part in voting and counting stages. The biometric based multi-signature scheme is used to make the undeniable multi-signed ballot. The ballot cannot be verified without the help of all candidates. If candidates accept election results without a doubt, the fairness of the election is satisfied.

트위터 메시지 분석을 통한 선거 결과 예측 고찰: 18대 대선을 중심으로 (A Study on Predicting Presidential Election Results by Analyzing Twitter Message Contents: A Focus on the 18th Presidential Election in Korea)

  • 이서영;권상집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174-186
    • /
    • 2019
  • 트위터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원하는 사용자들이 가장 많이 활용하는 온라인 SNS 플랫폼이다. 기존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에 비해 다른 이와 훨씬 효과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 트위터는 학문적 관점에서도 현재 매우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이를 감안하여 트위터 사용자들이 표출하는 트위터 메시지의 총량, 긍정적 메시지, 부정적 메시지 등을 활용하여 이들 메시지가 대통령 선거 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데 효과적인지 분석하였다. 소셜 매트릭스 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특정 후보에 관한 트위터 메시지의 총량은 지난 18대 대통령 선거에서 실제 선거 승리를 예측하는데 매우 유용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트위터 공간에서 특정 후보에 관한 긍정적인 메시지가 많을수록 그리고 부정적인 메시지가 적을수록 해당 후보의 선거 승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트위터에서 전달되고 공유되는 메시지 총량, 긍정적 메시지, 부정적 메시지가 유권자의 투표 의사결정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준다는 점을 입증했다. 후속 연구에서는 다른 SNS 플랫폼까지 포함하여 포괄적으로 연구를 진행, 가장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콘텐츠 전략을 도출해야 할 것이다.

2021년 독일 연방의회 선거의 주요 이슈와 공약 및 지지표 분포와 향후 정치 전망 (The Main Issues, Election Promises and Distribution of Votes in the 2021 German Federal Election and the Political Perspective after the Election)

  • 정병기
    • 의정연구
    • /
    • 제27권3호
    • /
    • pp.35-68
    • /
    • 2021
  • 2021년 독일 총선에서 사민당이 신승해 제1당으로 복귀하고 녹색당이 최대 승자로 떠올랐다. 두 정당은 기후·환경, 팬데믹 대처와 보건, 노동·사회 정책에서 국민의 기대에 부응하는 정책을 제시함으로써 승기를 잡았다. 메르켈 효과는 선거에서 크게 작용하지 않았으며, 연정 구성 후 정부 정책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투표 행태에서 계급 균열이 약해진 반면, 세대 균열이 상대적으로 커졌다. 노년층은 양대 정당에 더 많은 지지를 보냈고, 청년층은 녹색당과 자민당에 더 높은 지지율을 보였다. 세대 갈등이 계속된다면 녹색당과 자민당 등의 성장과 양대 정당의 지속적 약화 및 기타 새로운 정당의 등장으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구 동·서독 간 지역 갈등이 여전히 남아 있어 대안당과 좌파당의 향배에 영향을 미쳐 다른 균열들과 결합할 것이다. 2021년 총선은 정당 체제 재편을 예고하는 선거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