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yong-dong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6초

조선조 토지제도와 인식을 통해 본 보길도 윤선도 원림 조영 배경 연구 (A Study on the Yun Seon-Do's Garden on Bogildo Island based on the Recognition of the Land Systems in the Joseon Dynasty)

  • 이태겸;김한배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10
    • /
    • 2019
  • 본 연구는 조선시대 토지제도 및 그 시대 사람들의 토지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고산 윤선도의 보길도 입도 배경 및 부용동 원림의 조성 특징 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부용동 원림의 조영의도를 사회경제적 측면에서 해석하였다. 조선시대 토지제도와 인식을 살펴보면, 산림천택(山林川澤)의 토지는 공유지였다. 그러나 금산(禁山)을 제외한 지역은 입안(立案)과 분묘의 금양 등을 통해 공유지를 사점하려는 행위가 활발했다. 조선시대 보길도는 소나무를 보호하기 위한 금산으로 지정되어 있었기 때문에 민가정원을 조성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상황이었다. 윤선도는 병자호란 직후, 산림을 보호한다는 명분으로 금산이었던 보길도에 입도하고 부용동 원림을 조성하였다. 보길도는 가문의 전장 관리를 위해 주변지역으로의 이동이 용이한 지역이며, 산림 자원이 풍부하고, 어염 등 경제적 가치가 있는 자원도 확보할 수 있는 섬이다. 이처럼 윤선도는 금산 보호라는 공적인 명분으로 보길도에 입도하였으나 산림 및 어염자원을 획득할 수 있고 가문의 전장 확대 및 관리가 용이하다는 경제적 이점도 고려하였을 것이라 추정된다.

한국전통정원에 구현된 풍수미학 연구 - 고산 윤선도의 원림을 중심으로 - (Pungsu Aesthetics of Korean Traditional Garden - Focused on Kosan Yoon Sun-Do's Gardens in Mountain-)

  • 성종상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70-80
    • /
    • 2012
  • 한국정원을 풍수적 시각으로 바라본 연구는 그다지 많지 않다. 엄밀히 말하자면 풍수 이론이 적용된 정원을 열거하기도 쉽지 않다. 그러나 한국정원, 특히 산수간에 조영된 전통원림을 풍수와 관련시켜 고찰해 볼 필요성은 분명히 있다. 그 까닭은 첫째, 풍수나 정원 모두 자연에 대한 인간 대응 방식 내지 태도의 산물이라는 점과 둘째, 입지와 차경상 주변 산수와의 어울림을 중시하게 되는 전통원림에서는 풍수적 안목이 유용하게 작용하였을 것이고 셋째, 보다 구체적인 증거로서 풍수의 비보적 처방에 정원 또는 정원적 요소가 직접적으로 다루어졌음에 기인한다. 이 글에서는 풍수와 한국정원과의 상관성을 풍수미학이라는 새로운 개념으로 고찰해 봄으로써 한국정원은 물론 풍수의 동시대적 의미와 효용을 풍부히 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고산 윤선도의 부용동과 금쇄동 원림에 구현된 풍수미학으로 풍수 형국에 입각한 공간 구도상의 틀과, 각 요처들 간의 시각구도에서 발견되는 감상 차원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전자는 보길도 섬 전체의 형국을 읽으면서 핵심 요처를 찾아내어 풍수적 의미를 부여한 것으로서 심적 이미지로서의 풍수형국이고, 후자는 각 요처에서 주변을 보다 편안한 시선으로 감상하도록 해주는 차경과 관련된 시각구도이다. 그렇게 탁월한 안목으로 풍수적 의미망과 미학 가득한 정원 부용동을 조영하면서 고산 윤선도는 아름다운 자연 속 체험을 예술로 승화시켰다고 할 수가 있다.

창덕궁 후원부의 공간경계요소(담장)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Walls as Space boudary elements of Changdeok-gung Garden)

  • 조정식;조진동
    • 건축역사연구
    • /
    • 제24권1호
    • /
    • pp.41-50
    • /
    • 2015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architectural ornaments of the walls (DamJang) and their bordering area that defines the Rear Garden of Changdeok-gung, one of the Royal Palaces in Seoul. This area, centered on Buyong-ji(부용지) and Aeryeon-ji(애련지), features the morphological diversity of buildings, walls, gates and stone bases in the palace.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DamJang, as a basic architectural element for the space organization, takes a set of various forms featuring different construction materials while responding positively to the physiographic nature of the surroundings; Second, DamJang along with their gates, also features different types of ornamental expressions which also suggest the hierarchy of its building and space; Third, typical of the traditional garden design in Korea are a group of DamJang standing as independent structures mostly around Buyong-ji and Aeryeon-ji whose finishing conditions also differ based on the nature of the space; Fourth, among commonly observed examples of DamJang in the Rear Garden and Changdeok-gung palace-wide, is a 'T' shaped wall whose heights and materials function as a design element for the garden.

보길도 부용동 세연정정원의 공간구성 원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inciples of Spatial Organization of the Seyeon-jong Garden, Buyong-dong Bogil-do)

  • 최은정;홍광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35-148
    • /
    • 1994
  • When we put a construction on the space organization form of Seyeon-jong garden through a consequence of drawing analysis, we were able to certify that a certain space construction principle was applied as following. First, the arrangement and organization of space construction element embodied systematic order y clearing the character of space, and heightening the degree of cognizance with the means of functionability, scale, height, decorationability, an inclination of artificiality and nature, systemetic approchability. Second, the space construction element of Seyeon-jong garden pursued a harmony of human work and nature for creating a various atmosphere and visual quality. Third, Seyeon-jong garden constructed the space by establishing the measurement of human scale that introduced a conception of near, middle, distant view on the visual angle. Forth, Yun go san introduced the natural shape of 'The song of five friends' as a construction element, and represented the symbolism that he had seeked for throught he arrangement method, christening, composing technique of the space construction element for expressing ideal space which is described in 'The four season song of fishermen' spatially at Seyeon-jong garden.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at Yun go san created his own ideal space that he longed for at Seyeon-jong garden with applying fixed design system, and he realized his will that he strived to form a complete whole in perfect harmon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