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tton battery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7초

단추형 수은전지에 의한 식도이물 1례 (A Case of Esophageal Foreign Body by Mercury Button Battery)

  • 이진춘;김창수;박형진;노환중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73-77
    • /
    • 1999
  • The risk of foreign body by small button-disc battery in children has been increasing because the batteries are widely used in electronic device and plaything and easily contact with children. Foreign body of mercury type button-disc battery, when lodged in the esophagus, leak a caustic solution which causes a rapid necrosis of esophageal mucosa. So it should be removed immediately when the radiologic diagnosis is made. We experienced a case of esophageal foreign body by mercuric disc battery in a 14-month-old male. This case will be discussed with literature review.

  • PDF

Two Cases of Colonoscopic Retrieval of a Foreign Body in Children: A Button Battery and an Open Safety Pin

  • Lee, Eun Joo;Yang, Hye Ran;Cho, Jin Min;Ko, Jae Sung;Moon, Jin Soo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0권3호
    • /
    • pp.204-209
    • /
    • 2017
  • Ingestion of foreign body in children is a relatively common problem among paediatric population. The foreign bodies mostly pass spontaneously through the gastrointestinal tract. However, complications can occur according to its anatomical loc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eign body, and delays in management. Although the cases of ingested button batteries or sharp objects impacted at the gastrointestinal tract can be very serious, there have been very only a few cases have reported colonoscopic removal of these dangerous foreign bodies in adults, and there have been no case reports in children. We report one case of a button battery and one case of an open safety pin, both impacted in the terminal ileum that had moved from the stomach within a few hours of ingestion and were eventually managed by colonoscopy without any complications.

Foreign Body Ingestion in Children: Should Button Batteries in the Stomach Be Urgently Removed?

  • Lee, Jun Hee;Lee, Jee Hoo;Shim, Jung Ok;Lee, Jung Hwa;Eun, Baik-Lin;Yoo, Kee Hwan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9권1호
    • /
    • pp.20-28
    • /
    • 2016
  • Purpose: Foreign body (FB) ingestion is common in children, and button battery (BB) ingestion has been increasing in recent years.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related to outcomes of FB ingestion, particularly BBs in the stomach. We evaluated whether the current recommendations are appropriate and aimed to suggest indications for endoscopic removal of BB in the stomach in young children. Methods: We investigated patient age, shape, size, location of FBs, spontaneous passage time and resulting complications among 76 children. We observed types, size, location of BB and outcomes, and analyzed their associations with complications. Results: Coins and BB were the two most common FBs. Their shapes and sizes were not associated with the spontaneous passage time. Size, spontaneous passage time, and age were also not associated with any specific complications. For BB ingestion, all 5 cases with lithium batteries (${\geq}1.5cm$, 3 V) presented moderate to major complications in the esophagus and stomach without any symptoms, even when the batteries were in the stomach and beyond the duodenum, while no complications were noted in 7 cases with alkaline batteries (<1.5 cm, 1.5 V) (p=0.001). All endoscopies were conducted within 24 hours after ingestion. Conclusion: The type and voltage of the battery should be considered when determining whether endoscopy is required to remove a BB in the stomach. For lithium battery ingestion in young children, urgent endoscopic removal might be important in order to prevent complications, even if the child is asymptomatic and the battery is smaller than 2 cm.

모바일 원-버튼 게임의 구현 (Implementation of a Mobile One-Button Game)

  • 오선진;최세영;이영대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71-75
    • /
    • 2008
  • 최근 무선 인터넷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가장 큰 이슈는 모바일 컴퓨팅 환경에서의 온라인 게임의 설계이다. 현재 이동 단말용 게임들은 낮은 성능의 프로세서, 작은 메모리 공간과 짧은 배터리 파워의 제한 등으로 온라인 게임 구현에 많은 제약이 따른다. 따라서 최근 모바일 게임은 단순하면서 조작하기 쉬운 원-버튼게임이 큰 인기를 얻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경향에 맞춰 무선 모바일 컴퓨팅 환경에서의 휴대전화를 이용한 모바일 온라인 게임으로 우리나라 전통 놀이인 제기차기 원-버튼 게임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 PDF

의료용 우물형 섬광계수기를 이용한 환경 방사선 측정 (Measurement of Environmental Radiation Using Medical Scintillation Detector in Well Counter System)

  • 유광열;박연준;김민정;함은혜;윤지열;김현진;민정환;박훈희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8권4호
    • /
    • pp.337-345
    • /
    • 2015
  • 2011년 발생한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국민의 방사선에 대한 관심이 급속히 증가하였으며 그에 따른 방사선의 위험성에 대한 우려 또한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상생활 속에서 접할 수 있는 물질의 방사선 및 환경방사선을 측정하여 그 실태를 알아봄으로써, 국민의 방사선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돕고 더불어 방사선 피폭에 대한 우려를 경감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Captus - 3000 갑상샘 섭취율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17가지 시료들을 대상으로 방사능을 측정하였으며, 측정에는 우물형 계수기를 이용하였다. 측정한 시료로는 연탄, 표고버섯, 명태, 전지분유, 알카라인 건전지, 단추형 건전지, 표토, 아스팔트, 휘발유, 솔잎, 현무암, 흑연(석탄), 고추냉이, 천일염, 담배, 맥주, 참치(캔)으로 선정하였고 각각의 시료에 대하여 토양자원, 수자원, 식품, 기타자원으로 분류하였다. 수자원으로 선정한 맥주는 식품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우물형 계수기의 감도측정을 위하여 기준선원으로 선 선원 형태의 137Cs을 이용하였다. 우물형 계수기로 137Cs 선선원의 계수값(cpm)을 측정한 후, 각각의 시료에서 얻은 계수값과 스펙트럼을 분석하였고, 식품의 경우에는 식약처의 방사능 허용기준단위인 Bq/Kg으로 환산하여 그 안전성을 판단하였다. 실험 결과, 측정한 시료들 중 유의할 만한 시료들을 집단 A로 분류하였고, 그 외에 배후 방사능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은 시료들을 집단 B로 분류하였다. 집단 A의 경우 배후 방사능에 비해 알카라인 건전지가 7.67 %, 단추형 건전지가 4.65 %, 아스팔트가 8.03 %, 표토가 3.76 %, 연탄이 7.46% 높은 값을 보였다. 사용된 시료들 모두에서 측정된 방사능이 생활용품의 일부와, 식품의 경우에는 식약처에서 제시한 방사능 허용기준치 이내에 들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USN을 이용한 스키장 사각 지역 감시 시스템 (Monitoring System of Blind Areas in a Skiing Resort using a USN)

  • 이형봉;정의민;박래정;문정호;정태윤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6D권2호
    • /
    • pp.249-256
    • /
    • 2009
  • 이 논문은 강원도의 u-Sports 시범 사업 일환으로 진행된 강원도 용평 스키장의 사각 지역 감시 시스템을 위한 효율적인 USN을 제안한다. 스키장의 사각 지역은 사람의 왕래가 뜸한 슬로프 외곽이나 관제의 시각 영역에서 벗어난 급경사 지역 등을 말하는데, 이런 지역에서 사고를 당하여 거동이 어려워지면 관제 센터에서는 이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어렵다. 이 논문의 사각 지역 감시 시스템은 다섯 개의 이미지 센서 노드가 설치된 사각 지역의 현재 모습을 제안된 USN을 통하여 중앙 관제 센터에서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고 당사자가 주변에 설치된 긴급 버튼을 누를 경우에는 긴급 이미지 및 경보가 관제 센터로 즉시 전송되어 신속한 구조를 가능하게 한다.

단추형 폐수은 전지로부터 수은 분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paration of Mercury from Spent Mercury Batteries)

  • 손정수;박경호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3권1호
    • /
    • pp.32-37
    • /
    • 1994
  • 폐전지로부터 중금속 및 유가금속을 효과적으로 분리, 회수하기 위한 물리적, 화학적 처리기술을 개발함으로써 환경오염문제를 극소화하고 폐자원을 재활용하여 자원의 지속적인 확보와 공급에 기여하고자 이에 대한 기초연구로서 폐수은 전지의 수은제거를 위한 증류실험을 행하였다. 감압 증류실험시 폐전지내 수은은 노 내부온도 $150^{\circ}C$에서 증발되기 시작하여 이를 폐전지로부터 분리, 회수할 수 있었으며 $400^{\circ}C$ 이상에서는 유기물으 열분해가 진행되어 전지내 개스킷 등이 제거되었다. 폐전지의 증류시 내부압력, 반응온도 및 반응시간 등을 변화시키면서 그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내부압력 20torr, $250^{\circ}C$에서 8시간 이상 증류실험한 결과 용출액의 수은 함량이 5ppb이하로 환경기준을 만족시켰고, 폐전지내 수은의 99.9%를 회수 할 수 있었다. 또한 전지의 사전 폐쇄없이 온도 증가속도를 $15^{\circ}C$/mm 이상으로, 가열하는 경우 내부 압력의 급격한 증가로 인하여 전지의 파열이 발생하였다.

  • PDF

휴대용 심전도 이벤트 기록기 개발 (Development of a Portable Cardiac Event Recorder)

  • 천홍구;김희찬;이종연;김인영
    • 대한의용생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9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87-188
    • /
    • 1998
  • A low cost, low power, portable cardiac event recorder as a tether-free biological signal processor was developed. Dual channel ECG signals are sampled at 128Hz in 12 bits resolution. Sampled data are continuously recorded in a circular buffer. If event button is pressed, 2 minutes data before and after the event are recorded in 512 Kbyte SRAM. Total 11 events can be recorded. Data can be transferred to PC through RS-232 protocol. It operates for two months by a half AA size 3.6V Lithium battery. The system size is $55\times55\times13[mm^3]$.

  • PDF

전자기유도방식의 에너지 하베스팅을 이용한 자가발전 무선 비상호출기 구현 연구 (Feasibility study for the self powered wireless emergency call button using electromagnetic energy harvesting mechanism)

  • 김일중;최연석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11-119
    • /
    • 2014
  • This paper describes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electromagnetic energy harvesting mechanism and electronic circuit for autonomous emergency call system. This analysis results show the power output of the proposed harvesting mechanism and circuit up to max power output 5V and it can hold up to 65 msec of the power generation and 10msec of the RF transmission. Based on the these testing results, the implementation of autonomous emergency call device without battery power or any external power source is feasi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