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tanol

검색결과 1,834건 처리시간 0.023초

백작약으로부터 식품부패 미생물에 대한 항균성 물질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Compound from Jakyak(Paeonia japonica var. pilosa N$_{AKAI}$)

  • 황재선;전희정;한영실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445-452
    • /
    • 2000
  • 우리나라 야산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구황식물인 백작약을 건조시켜 분쇄한 후 methanol과 여러용매로 추출하여 식품 부패 미생물의 증식 억제 효과를 검색하고 그 향균물질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백작약의 methanol 추출물은 1500$\mu\textrm{g}$/ml 농도에서 B. subtilis, S. aureus, V parahaemolyticus의 증식을 100% 억제하였으며 L. monocytogenes와 E. coli도 같은 농도에서 각각 65.93%와 83.27%의 억제 효과를 보였다. 백작약의 ethylacetate 분획 추출물은 낮은 농도인 1000$\mu\textrm{g}$/disc의 농도에서 식품 부패 미생물 5종 모두에 대하여 clear zone을 형성하여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특히 S. aureus, B. subtilis, V. parahaemolyticus, E. coli균에 대해서는 낮은 농도인 500$\mu\textrm{g}$/disc에서 clear zone을 나타내었으며 또한 2,000$\mu\textrm{g}$/disc 농도에서 L. monocytogenes, E. coli 및 V. parahaemolyticus는 각각 13, 15, 13m의 clear zone을 형성하였다. 백작약의 Ethylacetate 추출물을 silica gel colum chromatograhpy (7cm$\times$1.2cm한 후 thin layer chromatography(TLC)를 실시하여 항균성 실험을 한 결과 B. subtilis의 경우 1000$\mu\textrm{g}$/disc 농도에서 2nd fra. 3이 17mm, L. monocytogenes는 250$\mu\textrm{g}$/disc 농도에서 21mm를, S. aureus는 13mm의 clear zone을 형성하여 백작약의 methanol 추출물로부터 간 용매별로 계통 분획하여 분리한 ethylacetate 분획으로부터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y와 TLC를 하여 항균성을 보인 2rd fra. 3의 성분을 알아보기 위히여 HPLC로 단일분리하여 얻은 peak III에 대한 compound를 GC-MS로 분석한 결과 peak III에서는 Cetyl alcohol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현미의 항돌연변이 활성물질의 구성성분 (Constituents of Antimutagenic Factor from Brown Rice)

  • 전향숙;문태화;김인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5호
    • /
    • pp.478-483
    • /
    • 1995
  • 한국산 쌀(일반계 일품벼)로부터 돌연변이 억제물질의 구성성분을 확인할 목적으로 methanol 추출물을 용매분획 및 column chromatography하여 활성 spot을 분리하고 정성 분석과 기기분석을 수행하였다. Ether, ethylacetate, butanol 및 수용성 용매 획분 가운데 ether 획분의 억제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를 시행하여 성분을 분리하였을 경우 methanol추출물의 억제활성이 80% 이상으로 나타났던 결과와 비교하여 분리가 진행됨에 따라 억제활성은 $0{\sim}30%$로 감소하였다. 활성 물질을 정성분석한 결과 ferric chloride, 2,7-dichlorofluorescein, antimony pentachloride, phosphomolybdic acid, bromothymol blue, rhodamin 6G등의 시약에서는 양성을, ninhydrin, Bial's orcinol 시약에서는 음성을 나타내어 억제활성 물질은 페놀성 화합물과 지질성분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분리된 활성획분을 GC/Mass로 확인한 결과 o-hydroxy benzyl alcohol (saligenin), octanoic acid(caprylic acid), 9,12-cis-octadecadienoic acid(linoleic acid), 11-cis-octadecenoic acid(oleic acid), hexadecanoic acid(palmitic acid), 1H-indole-2-carboxylic acid, 및 1,2-benzenedicarxylic acid(phthalate)가 주요 구성성분인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들 성분들의 억제활성은 표준시약을 사용한 항변이원성 시험에서 재확인되었다.

  • PDF

누룩에서 분리한 우수균주에 의한 좁쌀주의 양조특성 (Zymological Properties of Foxtail Millet Wine-making by Isolated Strains from Nuruk)

  • 유철훈;홍성윤;고정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5권3호
    • /
    • pp.138-144
    • /
    • 2002
  • 제주민속 좁쌀주의 품질향상을 위하여 누룩으로부터 분리한 우수균주를 이용하여 양조특성을 검토하였다. 양조효모로 Saccharomyces sp Y5-1를, 그리고 당화균으로 Aspergillus oryzae M6-1, Aspergillus awamori 6970, Aspergillus usamii mut. shirousamii 6959를 각각 사용하였다. 좁쌀주의 양조에서 발효기간 중에 총산, 가용성 고형물, 색도, 에탄올 함량은 증가하였다. 에탄올 함량은 Aspergillus awamori 6970, Aspergillus usamii mut. shirousamii 6959 누룩구가 각각 10.6%, 10.1%로 높았다. Citric acid는 발효 $1{\sim}2$일에만 검출되었고, tartaric acid는 발효 1일에 시판 누룩구에서만'51.8 ppm 검출되었다. 유기산 중에 대부분을 차지하는 lactic acid는 Aspergillus awamori 6970 누룩구, acetic acid는 시판 누룩구에서 가장 많았다. 발효 중에 xylose, arabinose, glucose, maltose가 검출되었고, glucose와 xylose가 많았다. 휘발성 향기성분으로는 acetone, ethyl acetate, methanol, ethanol, n-propanol, iso-butanol, iso-amyl alcohol이 검출되었다. 좁쌀 주의 관능검사 결과, 색과 맛에서 Aspergillus usamii mut. shirousamii 누룩구가 좋았으며, 향기에서는 서로 비슷한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Tetraselmis suecica유래의 항산화성 물질의 정제 및 구조 (Purification and Structure of Antioxidative Substance Derived from Tetraselmis suecica)

  • 김세권;변희국;박표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55-161
    • /
    • 2002
  • 해양 미세조류는 해양생물의 영양원으로서 대부분 소비되고 있으며, 그 종류도 매우 다양하다. 이들 미세조류로부터 유용물질의 회수 및 이용은 미이용 수산자원의 효율적 이용과 아울러 생물 및 식량자원으로서 그리고 새로운 기능성 소재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해양 미세조류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하여 비교적 성장이 빠르고 배양이 용이한 담녹조류인 T. suecica 중의 항산화성 물질을 분리정제하여 구조를 결정하였다. 미세조류 T. suecica의 유기용매 추출물 중의 항산화성은 chloroform 획분이 가장 좋았으며, 이 획분을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PTLC 및 HPLC를 사용하여 항산화성 물질을 분리${\cdot}$정제하였다. Silica gel column을 사용하여 분리된 획분의 항산화성은 hexane: ethylacetate (1:5)로 용출시킨 획분에서 가장 높았다. 이 획분은 PTLC에 전개하여 8개의 획분을 얻었으며, 그 중에서 Rf값 0.40인 획분에서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HPLC에서 단일 획분으로 정제된 물질의 항산화성은$IC_{50}$ 값으로 10.2$\mu$g/mL였으며, 화학적으로 합성된 항산화제인 BHT 및 BHA보다는 낮았지만 천연 항산화제인 $\alpha$-tocopherol과 비교될 수 있었다 이 물질의 화학적 구조는 chlorophyll을 전구체로 하는 pheophorbide-a로 동정되었으며, 항산화 활성은 a-tocopherol과 비교될 수 있어 식품 및 관련분야에서 항산화제로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왕겨추출물의 쥐소장점막 ${\alpha}-glucosidase$에 대한 in vitro에서의 저해효과 (In vitro Inhibitory Activity on Rat Intestinal Mucosa ${\alpha}-glucosidase$ by Rice Hull Extract)

  • 김혜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601-608
    • /
    • 1997
  • 벼 가공공정의 부산물인 왕겨를 당뇨병 환자의 혈당상승을 억제하는 식품소재로 응용할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왕겨 ethanol 추출물의 쥐 소장 점막의 ${\alpha}-glucosidase$에 대한 저해효과와, 저해성분의 정제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왕겨 ethanol 추출물은 0.8 mg/mL의 농도에서 6 mM p-nitrophenyl ${\alpha}-D-glucopyranoside$를 기질로 한 쥐소장 점막 1.4 mU/mL ${\alpha}-glucosidase$에 의한 효소반응을 30% 저해하였다. Ethanol 추출물을 n-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n-butanol, 물로 분획하였을 때 ethyl acetate 분획물의 ${\alpha}-glucosidase$에 대한 저해활성은 ethanol 추출물의 경우와 같은 조건에서 65%로서, 다른 네 분획물보다 높았다. Ethanol 추출물이 ${\alpha}-glucosidase$ 반응을 50% 저해하는 농도$(IC_{50})$는 162 mg/mL 인데 비하여, ethyl acetate 분획물의 $(IC_{50})$은 0.14 mg/mL 이었다. Ethyl acetate 분획물을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하여 분획하였을 때 chloroform : methanol=90 : 10 분획물의 ${\alpha}-glucosidase$에 대한 저해율은 90%이었으며, 이는 ethyl acetate 분획물의 저해율 65%에 비하여 증가한 것이다. Chloroform : methanol=90 : 10 분획물을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하여 분획하였을 때 중간 정도의 시간에서 용출된 분획물의 저해율은 ethanol 추출물과 같은 조건에서 88%이었다.

  • PDF

미역 추출물로부터 충치 원인균,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항균물질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 Antibacterial Substance from Sea Mustard, Undaria pinnatifida, for Streptococcus mutans)

  • 윤소미;장준호;이종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49-154
    • /
    • 2007
  • 건조 미역 10.4 kg을 acetone으로 추출, 여과한 다음 액-액 분배, 각종 크로마토그라피를 통하여 충치원인균,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항균물질의 한 성분을 분리, 정제하고(160 mg, 수율 $1.5\times10^{-3}$%) 물질을 동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건조 미역 30 g 상당량의 추출액을 기준으로 용매 획분별 항균활성을 조사하였을 때, $CHCl_3$층이 73.2%로 가장 강하였고, hexane층이 62.0%이었으며, BuOH층이나 물층은 거의 없었다. 알루미나 칼럼에서는 산성 획분인 1% $NH_4OH:MeOH(1:1)$용매 획분이 81.0%의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실리카 칼럼에서는 $CHCl_3:MeOH(95:5)$용매에서 가장 높은 95.5%의 항균성을 나타내었고, ODS칼럼에서는 85% MeOH에서 96.4%의 항균성을 나타내었다. 최종적으로 ODS칼럼에서 95% MeOH를 이동상으로 하여 3개의 물질 S1(10 mg), S2(90 mg), S3(60 mg)을 분리 정제하였다. TLC에서 각 성분은 동일한 Rf값 0.42를 나타내어 동일한 물질로 추정되었으며, 이들을 메칠 유도체화한 성분들은 Rf값이 0.95로 바뀌어 이들 물질이 carboxyl기를 가지는 지방산으로 추정되었다. GC분석에서 표품 지방산과 비교한 결과, 이들은 $C_{18:4,n-3}$ 지방산과 retention time이 일치하였다. 또한, 메칠 유도체의 mass spectrum 분석 결과, m/z 290에 분자 이온 peak가 관측되어 $C_{18:4,n-3}$ 지방산의 methyl 유도체의 분자량과 일치하여, 이 물질을 3,6,9,12-octadecatetraenoic acid(stearidonic acid, $C_{18:4,n-3}$) 지방산으로 동정하였다.

고수(Coriandrum sativum L.) 추출물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Coriandoer (Coriandrum sativum L.) Extract)

  • 김용두;강성구;최옥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92-696
    • /
    • 2001
  • 천연 보존료 개발의 일환으로 항균력이 있을 것으로 추정 되는 고수를 대상으로 물과 에탄올로 항균성 물질을 추출하여 몇 종의 병원균과 식중독균, 식품과 관련이 있는 세균, 효모 및 젖산균 등 10균주에 대하여 항균성이 있는지 여부를 관찰하였으며, 항균성이 강한 에탄올 추출물의 최소저해농도, 추출물에 함유된 항균성 물질의 열안정성 pH 안정성 등을 조사하였다. 또한 고수 에탄올 추출물을 용매 계통분획하여 각 분획별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고수의 부위별 추출물 중 에탄올 추출물은 대부분의 세균에서 항균 효과가 나타났는데, 효모와 젖산균에서는 항균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물추출물에서는 세균, 효모 및 젖산균 등 10균주 모두 항균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고수 잎 에탄올 추출물의 최소저해농도는 세균에서는 그람양성균인 B. cereus와 B. subtilis 두 균주에서 0.25mg/mL로 항균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람음성균에서는 0.5~1.5mg/mL로 나타나 그람양성균보다는 항균활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수 에탄올 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항균활성물질은 121$^{\circ}C$에서 15분간 가열한 후에도 그 활성이 유지된 것으로 보아 열에 안정하였으며, pH의 변화에도 항균활성이 유지된 것으로 보아 열에 안정하였으며, pH의 변화에 항균활성의 변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수 에탄올 추출물의 용매계통분획하여 얻은 각 분획물의 항균활성은 세균의 경우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 모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생육억제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 PDF

당근추출물이 인지질막 Liposome의 유동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aucus carota L. Extracts on the Fluidity of Phospholid Liposomes)

  • 신미옥;배송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46-650
    • /
    • 2001
  • 본 연구는 세포막의 유동성이 막의 항상성(homeostasis)을 유지하는 가장 기본적이며 중요한 성질이라는 점을 감안하여, 용매별로 분획한 식품의 추출물을 첨가함으로써 인지질 이중층(liposome)의 물리.화학적 성질에 미치는 막 유동성(membrane fluidity)의 변화를 열시차 열량 분석법(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에 의해 측정하였다. 즉 식탁의 애용식품인 당근의 용매별 분획물이 인지질 liposome에 미치는 막의 유동성에 미치는 증가효과를 본 결과, DPPC liposome에 당근의 용매별 분획물을 첨가했을 때, 일반적으로 첨가하지 않은 경우보다 첨가 농도의 증가에 따라 의존적으로 초기 상전이온도가 낮아졌고 흡열고선의 모양이 넓어졌으며 그로 인하여 협동단위($\Delta$$H_{VH}$ $\Delta$H㎈)값이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현상은 일정농도의 당근분획물의 첨가가 DPPC liposome의 막유동성을 증가시킨 결과로 생각되어진다. 그리고 각 용매별 당근분획물의 유동성효과를 각각 비교해본 결과, DCSMH와 DCSMEA의 분획물첨가가 DCSMB와 DCSMA에 비해 DPPC liposome의 초기 상전이온도 및 협동단위를 더욱더 감소시켜 막유동성에 더 많은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현상은 DCSMH와 DCSMEA의 분획물이 DCSMB와 DCSMA분획물의 경우보다 hydrophobicity가 더 크므로 인해 DPPC 인지질막 이중층의 acylchain쪽으로 더 깊숙히 용해하여 침투되므로서 생긴 현상이라 하겠다. 즉 당근분획물의 막유동성 증가작용은 세포막에서 일어나는 대사물, 약물, 이온 등의 운반 및 영양물의 교환, 흡수 등 생체막의 주요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앞으로 막유동성을 증가시키는 구체적 생리활성물질의 추구가 기대되어진다.

  • PDF

Bacillus natto와 B. licheniformis 혼합 Starter로 제초된 청국장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Chungkookjang Fermented by the Mixed Culture of Bacillus natto and B. licheniformis)

  • 연규춘;김동호;김정옥;육홍선;조재민;변명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04-210
    • /
    • 2002
  • 청국장의 산업적인 대량생산 system에 B. subtilis, B. natto, B. licheniformis 그리고 B. natto와 B. licheniformis의 혼합 균주를 starter로 하여 45시간 동안 청국장을 발효시키면서 각 시험제품의 미생물 생장, 일반성분, 효소활성, 향기성분 등을 분석하고 관능을 평가하였다. 청국장의 수분은 점질물의 형성이 많은 B.subtilis와 B. natto 시험구에서 다소높았으며 pH는 B. licheniformis에서 8.68로 가장 높았고 B. subtilis 에서 8.13으로 가장 낮았다. 미생물의 생장정도는 B. subtilis가 $10^{9}$ CFU/g까지, B. licheniformis는 $10^{8}$ CFU/g까지 생장하였으며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은 B. subtilis에서 1.35 unit/g으로 가장 높았고 B. licheniformis에서 0.45 unit/g으로 가장 낮았다. 암모니아태 질소의 함량 은미생물의 생장률 및 단백질분해 효소의 활성에 비례하여 B. subtilis > B. natto> B. licheniformis의 순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한편, B. natto와 B. licheniformis의 혼합균주를 starter로 하여 제조한 청국장의 일반 품질은 B. natto와 B. licheniformis를 단독 접종한 제품의 평균치에 해당하는 특성을 보였다. 검출된 향기성분의 화학적 구성은 ketones 9종, alcohols 11종, aldehyde 6종, heterocyclic compounds 4종, ester 6종, acids 4종, hydrocarbons 4종, 기타 14종이었으며 균주별로는 B. subtilis에서 25종, B. natto에서 30종, B. licheniformis에서 28종, B. natto와 B. licheniformis를 혼합하여 접종한 청국장에서는 41종의 향기성분이 검출되었다. 유기산의 총량은 B. subtilis를 접종한 청국장에서 3.98%로 가장 높았고 B. natto는 2.24%, B. licheniformis는 1.53%이었으며 B. natto와 B. licheniformis의 혼합 시험구에서 는 1.67%의 함량을 보였다. 분석된 향기성분과 유기산은 starter로 접종된 Bacillus의 종류에 따라 각각 특징적 인 조성을 나타내었다. 관능평가 결과 색, 향, 맛 그리고 전체적인 선호도의 모든 항목에서 B. natto와 B. licheniformis의 혼합 시료가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고 B. subtilis를 starter로 한 시료의 선호도가 가장 낮았다.

홍경천 추출물의 항산화성, 항돌연변이성 및 세포독성 효과 (Antioxidative, Antimutagenic and Cytotoxic Effects of Rhodiola sachalinensis Extract)

  • 최승필;이득식;함승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11-216
    • /
    • 2003
  • 홍경천 뿌리의 에탄을 추출물과 분획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14.3 $\mu\textrm{g}$/DL의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직접 변이원인 MNNG에 대한 항돌연변이 효과에서 S. typhimurium TA100 균주에 대해 홍경천 뿌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2000g/p1ale)에서 다른 분획물보다 높은 89.1%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4NQO에서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S. typhimurium TA98 균주와 TA100균주에 대해서 동일 시료농도에서 각각 89.7%와 91.5% 로 다른 분획물보다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B( u )P에 대한 억 제효과에서는 TA98, TA100 두 균주에 대하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각각 94.2%와 95.7%로 다른 분획물 보다 높은 억제활성을 나타내었으며, Tn-P-1에 대해서 는 두 균주가 각각 92.3%와 93.8%로 다른 분획물 보다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암세포 성장억 제 효과를 검토한 실험에서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가장 높은 억제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시료농도의 증가와 함께 억제활성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시료농도 1 mg/CL에서 A549가 90.5%, HepG2가 81.5%, AGS가 92..2% 그리고 MCF-7이 82.6%의 암세포 성장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