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san fish cake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초

부산 어묵브랜드 인식 및 선호도에 관한 연구: 부산지역 중심으로 (Perception and Preference on Brand of 'Busan Fish Cake': Comparison by Generation, Focusing on the Busan Region)

  • 정진우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178-186
    • /
    • 2017
  • As a marine city, Busan has the largest factory of fish cake. Busan also has many brands about Busan fish cake. So, this study was conducted on Busan residents to investigate their awareness and preference of Busan fish cake for age-specific purposes. 239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and the SPSS 18.0 was used for frequency analysis, chi-square distribu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showed that the brand name of Busan Fish cake has a high preference. Second, there was a high preference for frying. In particular, it turned out to be the most preferred in their 20s. Third, it showed that people in their 60s liked fish cake best. Fourth, in twenties, it turned out to be the largest shopping mall in instant fish cake store. In the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liability of brand name "Busan fish cake" appeared to affect preferences. The traditional value of Busan fish cake appeared to affect preferences.

부산의 장소성과 향토음식에 대한 인문학적 고찰 (A Study on the Humanities of the Placeness and Local cuisine in Busan)

  • 류진아
    • 지역과문화
    • /
    • 제6권4호
    • /
    • pp.1-21
    • /
    • 2019
  • 이 연구는 인문학과 지역문화의 관점에서 부산의 지역적 특성과 역사적 특성이 상호작용하여 탄생한 향토음식을 통해 부산의 장소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장소는 단순히 좌표에 표기되는 공간상의 지점이 아니라 그 안에서 살아가는 인간의 경험과 정서적 면까지도 포함하는 의미체이다. 장소는 가시적 환경과 환경에 대한 인간의 반응인 문화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장소에 대한 이해는 개인의 지리와 문화·역사까지를 이해할 수 있는 기반이 된다. 장소성과 함께 한 지역의 특수성을 말하는 것 중에 하나가 향토음식이다. 향토음식은 그 지역의 특성과 주민들의 선호에 따라 변화될 수 있어 고정불변한 것은 아니다. 부산의 향토음식은 부산이 위치한 장소적 특징을 반영하면서 부산의 역사적 체험까지를 함께 담고 있는 음식이라 할 수 있다. 장소성과 역사성을 가진 부산의 대표적인 향토음식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첫 번째로, 바다와 접해있는 항구로서의 장소적 특성을 잘 말해주고 있는 멸치회와 곰장어 구이이다. 두 번째로, 수산물과 곡물을 이용해서 만든 동래파전과 산성막걸리이다. 세 번째로, 일제강점기 때 새롭게 탄생한 어묵과 활어회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1·4후퇴 때 부산으로 피난 내려와 정착해서 살던 피난민들이 만든 음식인 밀면과 돼지국밥이다. 한 지역을 대표하는 향토음식은 단순하게 먹고 즐기고 소비되는 상품으로서의 수준을 넘어 그 지역의 장소적 특성과 역사적 특성을 함께 담은, 즉, 그 지역의 문화적 특성을 잘 말해주는 하나의 상징물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상징물은 한 지역의 특성을 살피고 정체성을 규정하는 데 중요한 근거가 될 수 있다.

어육 열처리 가공중의 dimethylamine(DMA)의 변화 (CHANGES OE DIMETHYLAMINE (DMA) CONTENT IN FISH MUSCLE DURING HEAT PROCESSING)

  • 류병호;이종철;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15-120
    • /
    • 1974
  • 열처리 가공중의 발암성이 있는 nitrosamine의 전구물질이 되는 dimethylamine(DMA)의 함량 변화를 실험하였다. 신선한 어육중의 DMA함량은 명태가 피등어꼴두기, 조기. 고등어 보다 월등하게 많았다. 열처리 가공중의 DMA량의 변화를 보면 생시료에 비하여 명태는 열풍건조중 1.8배, 천일건조중 16,6배 증가하였다. 고등어는 배건중에 6.3배, 통조림 가공중에는 9.5배 DMA함량이 증가하였다. 한편 명태, 피등어꼴뚜기, 조기, 고등어 육에서는 dimethylamine, diethylamine은 검출되지 않았다.

  • PDF

향토음식의 기호도 및 속성에 대한 차이 연구 - 부산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ifference in Preference and Property of Native Local Foods - Focusing on University Students in Busan Area -)

  • 박경태;백종온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61-72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preference and property of native local foods among students living in Busan. It concentrated on the students who were majored in food service in five universities in Busan. From September 1st to 30th, 2007, 300 copies of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and 260 returned were included in the statistics. The statistics was conducted by frequency analysis, T-test(average deviation verification), technical analysis and one way ANOVA for an accurate result of the study.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Gayamilmyeon(M=4.42) showed the most preference for 25 native local foods of Busan(sansungmakgeoli, dongraepajeon, steamed carp, catfish soup, corbicula soup, roasted eel, gijang raw hairtail, dongrae mugwort cake, sansung roasted goat, gijangkkomjangeo, steamed frogfish, duck dish, guponoodles, gayamilmyeon, sliced raw fish, molsim hot-pepper fish stew, hairtail stew, anchovy stew, miyeoksulchi, gompi salted dish, salted raw anchovy dish, roasted kkomjaneo, salted sliced persimmon dish, salted bean leave dish, kkasiri soup).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Miyeoksulchi(M=2.66) showed the least preference among the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roperty of native local foods, it was present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statistical analysis by sex but significant difference in taste, quantity, service, price, freshness, sanitation, packing condition and originality, etc by age, department, academic year, type of residence, family member, living period in Busan and monthly spending. It was considered to conduct a more in-depth study to promote native local foods and interest in the food of Busan in university students.

  • PDF

당류편식 아동의 식습관 및 식품섭취패턴 (A Study on Dietary Habits and Food Frequency of Young Children Who Like Sweets)

  • 손향남;박민정;한지숙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5권1호
    • /
    • pp.10-21
    • /
    • 2009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assess the dietary habits, food frequency, and nutrition knowledge of young children who like sweets in the Busan area;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survey method with questionnaires. One hundred eighty three children, aged 8 to 9 year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sweet preference group (SPG) and the control group, based on the subjects' scores for sweets-related dietary habits, sweets preference, and sweets frequency. For dietary habits, the score for eating more snacks than meal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PG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The SPG group members were also more likely to skip breakfast, have irregular meals, and consume instant and fast food more frequently (p<0.001) than the control group. Nutrition knowledge scores for proper snack intake and proper dietary attitude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SPG than in the control group (p < 0.05). With regard to food frequency, the SPG consumed more bread, cake, chicken, ham, sausage, hamburger, and ice cream, but less fish, tofu, beans, kimchi, bean sprouts, and milk than the control group. Strong positive correlations were noted between sweets preference, sweets frequency, and sweets-related dietary habits, whereas all of them were correlated negatively with nutritional knowledge. Sweets frequency was related negatively to meal regularity, having breakfast, eating the adequate amount of meals, and recommended food frequency.

  • PDF

계절에 따른 길거리 제조 식품의 미생물 오염 특성 (Microbial Quality of Street Foods Sold by Season)

  • 서영호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81-487
    • /
    • 2014
  • 본 연구는 대도시지역(서울, 대전, 부산, 광주)에서 판매되는 길거리 식품(김밥, 어묵, 순대)에 대한 미생물 모니터링 검사를 실시하여, 이들 제품에 대한 위생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김밥의 총호기성균은 5.1~9.9 log CFU/g으로 검출되었으며, 여름철에 가장 높게 검출되었다. 호냉성균은 총호기성균과 유사한 패턴으로 검출되었으며, 여름철에 수거된 순대 7건에서 6.0~7.9 log CFU/g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Total coliform은 53.6%의 검출률을 나타내었으며, 김밥의 70.8%에서 4.0 log CFU/g 이상 검출되었다. E. coli는 김밥과 순대에서 15건이 검출되었으며, 어묵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식중독균중 S. aureus가 28건(7.8%)이 검출되었으며, C. perfringens는 12건(3.3%)이 검출되었다. 특히 김밥에서 S. aureus, C. perfringens가 각각 24건, 10건에서 검출되어 식중독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계절별로 보면 겨울에 비해 봄, 여름의 검출률이 높았으며, 지역별로 보면 부산지역에서 가장 높은 검출률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