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rnout on Job

검색결과 408건 처리시간 0.023초

간호 관리자의 임파워먼트 효과와 자아성취감 영향요인 - 근무기간의 임파워먼트 조절효과- (The Impact of Nurse Manager's Empowerment and the Affecting Factors on a Sense of Self-Perfection - Moderating Effect of Work Period on Empowerment -)

  • 구자성;서상윤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1-39
    • /
    • 2017
  • Purpose :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empowerment, self-efficacy, job motivation, autonomy, critical thinking, job-satisfaction, burnout, and self-achievement. In addition, we teste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career period on the influence of empowerment. Methodology :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test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and t-test, ANOVA, descriptive statistics are applied to analyze the research data. Findings :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structural model that is the empowerment encourages the self-efficacy, job motivation, autonomy, and critical thinking, also these factors affect the self-achievement through both the job-satisfaction and burnout is acceptable according to the goodness of fitness indices. In addition, we show that the career period moderates the influence of empowerment on the self-efficacy, job-motivation, and autonomy, but not critical thinking. Usually, the shorter the career period is the higher the influence of empowerment is. This moderating effect means that to give proper empowerment to lower position nurses encourage them, and prevent from burnout. Therefore, they feel job-satisfaction and finally self-achievement. Practical Implications : The empowerment helps the nurse to activate self-efficacy, job motivation, autonomy, critical thinking. Hence, these factors decrease burn-out but increase job satisfaction. Finally a sense of self-perfection increase.

스트레스 결과변수의 결정요인으로서의 강인성에 관한 연구 -간호사의 소진(burnout)을 중심으로- (Hardiness : Determinants of Psychological Distress from Stress)

  • 이미라;소희영;안은경;김태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583-590
    • /
    • 1998
  • This study was undertaken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hardiness on stress-causing factors, defined in this study as burnout in nursing. The subjects were 248 nurses working in three general hospitals in Taejon.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a survey of general characteristics, modified Health-Related Hardiness Scale(HRHS) (25 items), job stress scale (63 items), and burnout scale (20 items). Analysis of data was done through the mean, percentag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done with a SA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average item score for the job stress was high at 4.44. In the subcategories, the highest degree of stress was night duty(5.11), and work overload(4.70), responsibility for extra affairs(4.70), conflict in nurse-doctor relationships(4.69), and low reward(4.63) in that order. 2) In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ardiness(11.55%) was a significant determinant of burnout along with job stress(17.24%) and job duration(12.94%).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hardiness has an effect on psychological distress caused by stress.

  • PDF

사회초년생의 직무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구 (The Exploration of the Factors Affecting Burnout among Young Working Adults)

  • 홍민기;변현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743-750
    • /
    • 2023
  • 본 연구는 사회초년생들을 대상으로 직무소진에 미치는 긍정적인 요인과 부정적인 요인을 탐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긍정적인 요인으로는 사회적 지원 및 공감을 선정하였고, 부정적인 요인으로는 직무권태와 직무 스트레스를 선별하였다. 이러한 요인들은 여러 연구에서 직무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원인으로 다루어졌다. 연구방법으로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변수 간 영향력을 더욱 세밀하게 파악해 보았다. 연구결과 부정적 요인들(직무 스트레스, 직무권태)이 긍정적 요인들(공감, 사회적 지원)보다 직무소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에 사회초년생들에게 관심과 배려가 절실히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정시설 급식 영양사의 직무만족도와 이직의향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Turnover Intention of Dietitians Working at Foodservice of the Correctional Institutions in Korea)

  • 조인재;이혜상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21-328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certain factors influence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the dietitians working at the correctional institutions. A total 47 sheets of questionnaires (complete enumeration) were distributed respectively to the dietitians during the period from March 20th to May 18th of 2008. A total of 38 questionnaires (response rate 81%) were analyzed by using SPSS (ver. 19.0). The dietitians were more satisfied with coworkers ($3.63{\pm}0.10$) and supervision ($3.19{\pm}0.13$) than with pay ($2.97{\pm}0.09$) and promotion ($2.55{\pm}0.08$). Among the job burnout dimensions, cynicism ($2.58{\pm}0.09$) was rated higher than exhaustion ($2.47{\pm}0.10$), while professional efficacy level ($3.40{\pm}0.08$) was relatively high. The work dimension of job satisfac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exhaustion and cynicism dimensions of job burnout (p < 0.001), and turnover intention (p < 0.01), but positively correlated with professional efficacy dimension (p < 0.001). The co-worker dimens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exhaustion and cynicism (p < 0.05) and turnover intention (p < 0.01), while the supervision, the pay, and the promotion dimension were not correlated with the job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The turnover inten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xhaustion and cynicism dimensions of job burnout (p < 0.001). A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i) professional efficacy was a factor to significantly increase the work dimension of job satisfaction, ii) exhaustion and cynicism to significantly decrease the work and the co-worker dimension of job satisfaction, respectively, and iii) exhaustion to significantly increase turnover intention. The managerial efforts of the institutions could be focused on the job burnout factors to effectively increase the work dimension and the co-worker dimension of the job satisfaction.

휘트니스센터 지도자의 감정노동과 직무소진 및 직무만족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Job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in Fitness Center Instructors)

  • 조민수;이은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1호
    • /
    • pp.611-620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휘트니스센터 지도자의 감정노동과 직무소진 및 직무만족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인천지역 소재 휘트니스센터에서 근무하고 있는 지도자를 모집단으로 설정,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총 323명의 자료를 실제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검증,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이 연구는 휘트니스센터 지도자의 감정노동과 직무소진 및 직무만족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구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결과와 논의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휘트니스센터 지도자의 감정노동 중 내면행위는 직무소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휘트니스센터 지도자의 감정노동 중 표면행위는 직무소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휘트니스센터 지도자의 직무소진은 직무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휘트니스센터 지도자의 감정노동 중 내면행위는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휘트니스센터 지도자의 감정노동 중 표면행위는 직무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감정부조화, 직무소진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motional Dissonance and Job Burnout on the Psychological Health of the Nursery Teachers)

  • 최광일;이원재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9권4호
    • /
    • pp.669-681
    • /
    • 2016
  • 이 연구는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감정부조화, 직무소진과 정신건강 간의 연관관계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467명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5점 척도로 구성한 측정도구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패키지 IBM SPSS 23과 AMOS 21을 사용하여 유의수준 5% 수준에서 검정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에 종사하는 보육교사의 감정부조화가 정신건강 하위요인 중 직무스트레스(학부모관계, 업무과부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감정부조화는 직무소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소진은 정신건강 하위요인인 직무스트레스, 심리적 안녕감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넷째, 직무소진은 감정부조화와 정신건강에 대해 부분적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어린이집에서 종사하는 보육교사의 정신건강 증진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있으며,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제도적 지원을 모색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사서교사의 직무탈진에 관한 혼합연구 - 직무열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A Mixed Methods Research on the Job Burnout of Teacher Librarians: Focused on Mediating Effects of Job Engagement)

  • 김수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255-283
    • /
    • 2019
  • 본 연구는 사서교사들의 직무탈진 양상과 수준을 파악하여 직무탈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고, 도출된 요인들의 영향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정성적 연구를 위해 17명의 사서교사를 의도표집하여 2018년 9월 5일부터 10월 30일까지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심층면담 내용을 분석한 결과 사서교사의 직무탈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소속감, 전문 직업 정체성, 전문성 강화 기회, 사서교사에 대한 평판, 사회적 지원, 직무열의가 중요한 요인임이 밝혀졌고 이를 사서교사의 직무 특수성이라고 정의하였다. 2018년 12월 5일부터 12월 7일까지 6명의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후 2018년 12월 20일부터 2019년 1월 3일까지 2주 동안 웹 질문지를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05부가 회수되었고 이는 모두 분석에 사용되었다. 정량적 연구 결과 첫째, 사서교사의 직무 특수성 중 직무탈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전문 직업 정체성, 사서교사에 대한 평판, 사회적 지원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서교사의 직무 특수성 중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소속감, 전문 직업 정체성, 사회적 지원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서교사의 직무 특수성과 직무탈진 관계에서 직무열의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전문 직업 정체성은 완전매개, 사회적 지원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19 구급대원의 직무스트레스, 소진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job stress and burnout on the quality of life among 119 EMTs)

  • 윤유진;홍선우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31-148
    • /
    • 2018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s of job stress and burnout with the quality of life (QOL) among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EMTs). Methods: Using a descriptive correlational design, 260 EMTs working in D City or S City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predictors of QOL among 119 EMTs. Results: Overall, there was relatively low job stress among 119 EM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stress and burnout by general characteristics, especially regarding those of gender, service career, job rank, and self-reported health. In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general characteristics explained 29% of QOL (Model I, F=16.369, p<.001). The explanatory power for QOL increased to 49% upon adding job stress (Model II, F=18.737, p<.001), and 59% upon adding burnout (Model III, F=22.621, p<.001). In the last model, self-reported health (${\beta}=.316$, p<.001), job demand (${\beta}=-.130$, p=.009), job insecurity (${\beta}=-.136$, p=.010), lack of reward (${\beta}=-.189$, p=.001), emotional exhaustion (${\beta}=-.196$, p=.004) and lack of personal accomplishment (${\beta}=-.334$, p<.001)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QOL among 119 EMTs.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it is necessary to assess and manage job stress and burnout systematically among EMTs, and to develop health improvement programs for better QOL.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Job Stress on Psychological Burnout of Childcare Teacher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 김정미;백진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3호
    • /
    • pp.321-331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지역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5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그 자료를 중심으로 직무스트레스, 심리적 소진 및 자아존중감에 대한 경로분석 모형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심리적 소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자아존중감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존중감은 심리적 소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한 간접적인 영향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심리적 소진의 감소와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병원근무 간호사의 소진과 영향 요인 (Factors Influencing on Burnout Experience in Working Nurses at Hospital)

  • 박재순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550-558
    • /
    • 2002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burnout of nurses practice healthcare in a hospital setting.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245 nurses working at University K hospital in Seoul, Korea. Data for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15 to 27 April, 2002. The data collection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Maslach Burnout Inventory(1981), Orientation to Life Questionnaire(Sense of Coherence, SOC) by Antonovsky (1987) and Modified Coping Resources Inventory developed by author. The analysis of the data was completed using the descriptive, ANOV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AS program softw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otal mean score of burnout was 4.0. Mean scores of the subscales were; emotional exhausion 4.7, personalization 3.7, and personal accomplishment 3.4.2.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found in the variables of age, job position, years of working, perceived job stress, and burnout. 3. Burnout was negatively related to sense of coherence(r=-.65) and coping resources (r=-.40); subscales of SOC of comprehensibility(r=-.57), manageability (r= -.55), and meaningfulness(r= -.52); subscales of coping of self-care(r=-.36), and cognitive coping(r=-.39). 4. Job stress was the highest factor influence burnout. Sixty-one percent of the total variance of burnout was experienced by variables of comprehensibility, meaningfulness, age, self-care, manageability and leisure activities including job stress.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a low level of burnout was related to high scores of SOC and coping resources. Job stress, manageability, and meaningfulness were the highest factors influencing the level of subscale of emotional exhausion, depersonalization, and personal accomplish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arch for strategies to promote SOC and coping resources for reducing the level of burnout of nurs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