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rnout Restoration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9초

영성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직장인의 소진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pirituality Improvement Group Counseling Program on the Burnout Restor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Office Workers)

  • 김세봉;변상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447-459
    • /
    • 2012
  • 본 연구는 영성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직장인의 소진과 심리적 안녕감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경기도 S지역에서 근무하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연구에 참가를 희망하는 32명을 모집하여 실험집단 16명, 통제집단 16명으로 무선 배정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사전 검사 검정과 사후검사 검증, 그리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집단내 사전-사후 검증에 대해서는 비모수적 통계인 Mann-Whitney U Test와 Wilcoxon Signed Ranks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성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소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영성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심리적 안녕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영성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직장인의 소진 극복과 심리적 안녕감에 긍정적인 방향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영성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직장인들에게 유익한 프로그램이라 여겨지며 직장에서 적극적으로 이 프로그램이 활용되어야 한다고 본다.

아동양육시설 생활복지사의 역할 및 직무경험 분석 (Analysis on the Roles and Occupational Experiences of Social Workers in Child Care Facilities)

  • 김기화;양성은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5권6호
    • /
    • pp.581-592
    • /
    • 2017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occupational experiences of social workers in child care facilitie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six social workers in child care facilities. This qualitative research used a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method that and classified the main findings into five categories and twelve sub-themes. This study revealed that child care professionals define themselves as "caregivers" and "role models." Positive effects of institutional life on a child were forming peer relationships and being able to use diverse services while negative effects included acquiring a social stigma, having problems in developing attachment between a child and a surrogate caregiver, developing passive attitude and weak will power from communal living. Meanwhile, conflicts with children and poor working conditions led to burnout for caregivers. Our recommendations on the direction of change for the facilities are: categorizing admitted children, supporting restoration of family functions, reinforcing support for children's preparation for an independent life, and developing expertise. This paper provides a better understanding of child care facilities as well as encourages further social discourse on institutionalized children in order to promote policy making and implemen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