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lk Emulsion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5초

에멀젼을 이용한 단분산 미세 산화아연 입자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onodispersed Zinc Oxide Fine Particles in Emulsions)

  • 주창식;구준표
    • 공업화학
    • /
    • 제9권6호
    • /
    • pp.846-851
    • /
    • 1998
  • w/o 에멀젼 내에서 균일용액침전반응을 진행시켜 산화아연 미세 입자를 제조하는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질산아연 수용액에 hexamethylene tetramine (HMTA)을 침전제로 첨가한 침전액은 유화제 Span 80에 의해 kerosine과 안정한 w/o 에멀젼을 형성하였다. 얻어진 w/o 에멀젼을 HMTA 분해온도 이상($85^{\circ}C$)으로 가열하여 w/o 에멀젼 내에서 균일용액 침전반응을 진행시키면 산화아연 입자들이 제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산화아연 입자들은 이중분산 (bi-modal distribution)을 갖는 영역이 존재하기도 하였으나, 균일용액침전법에 비하여 높은 초기 아연농도와 높은 수율에서도 입자가 작고 입도분포가 비교적 좁은 산화아연 입자들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에멀젼화의 퇴적조건과 예감제 첨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timum Condition and GMB Addition in Emulsifying)

  • 안명석;조명찬;김종현
    • 화약ㆍ발파
    • /
    • 제22권1호
    • /
    • pp.1-4
    • /
    • 2004
  • 우리나라에서 전통적으로 사용해 왔던 제2세대의 젤라틴 다이너마이트 폭약은 경제구조와 안전의식 및 생활환경의 급변으로 제5세대의 에멀젼폭약으로 급변, 대체되고 있다. 이제 대량생산 및 발파기술의 도입으로 벌크에멀젼폭약의 상용화가 눈앞에 다가왔다. 그러나 에멀젼 폭약 제조기술의 중요한 요소인 계면활성제에 대한 연구발표가 부족하고 특히 그라스마이크로볼륨(GMB)의 사용기술은 전무한 실정이다. 실험실연구를 통하여 에멀젼 폭약 제조시 최적의 계면활성제를 알고 그의 효율적 사용법(최적반응온도 변화도)과 GMB의 혼합적정온도와 시점을 연구하여 제조공정에서의 경제성과 안전성을 향상시켰다.

유화중합의 모델연구 1. Pseudo-homopolymerization (Study on Model of Emulsion Polymeration 1. Pseudo-homopolymerization)

  • 박상보;서차수
    • 공업화학
    • /
    • 제9권2호
    • /
    • pp.294-299
    • /
    • 1998
  • 입자당 한 개 이상의 성장라디칼이 있는 일반계에서 근사적인 psedo-homopolymerization (PHP)방법의 신뢰성을 간접적으로 증명하기 위하여, 벌크중합의 Mayo-Lewis식이 Interval II 동안 유화중합의 순간공중합조성식으로부터 확률적으로 유도됨을 보였다. Ballard등에 의하여 제안된 유화공중합의 확장된 Smith-Ewart식으로부터 0-1계(입자당 1개 이하의 성장라디칼이 있는 계)에 대하여 완전해를 얻었다. 이 해를 사용하여 입자당 평균라디칼수와 순간공중합조성이 몇 분 이내에 정상상태에 도달함을 예측할 수 있었다. 따라서 0-1계에 국한하여 PHP근사방법의 신뢰성을 직접 증명할 수 있었다. 모델계산의 목적으로 Styrene-butadiene(St-Bu)과 Styrene-methyl methacrylate(St-MMA)계를 예로 들었다.

  • PDF

벌크 에멀젼 블랜드 폭약의 특성 고찰 (The Study of Bulk Emulsion Blends Consisting of Emulsion and ANFO)

  • 정천채
    • 화약ㆍ발파
    • /
    • 제18권3호
    • /
    • pp.15-28
    • /
    • 2000
  • 국내에서는 Heavy ANFO로 더 잘 알려져 있는 Emulsion Blends는 왁스 대신 오일을 사용 하여 상온에서 펌핑이 가능하도록 한 에멀젼과 ANFO(또는 초안)의 혼합물을 일컫는다. ANFO는 저렴하고 안전하며 장약이 쉽고 밀장전되는 장점이 있지만, 내수성이 거의 없고 폭발 속도가 느리며 장약 비중이 0.75∼0.90g/cc 정도로 낮아 폭약으로서 그 위력이 작은 단점을 갖고 있다. Blends는 수용성 ANFO 입자 사이의 빈 공간을 내수성 에멀젼이 태우고 있는 형태로서 에멀젼 함량 25%부터 내수성이 나타나기 시작하여 에멀젼 함량 40% 이상에서는 완전한 내수성을 갖게 되며, 에멀젼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폭발속도는 카트리지 에멀젼 폭약에 근접하게 된다. 장약 비중은 에멀젼의 함량이 증가하여 45% 근처에서 1.25∼ 1.30g/cc의 최대 값을 갖지만, 그 이상의 에멀젼 함량에서는 기폭 감도 저하로 예감제를 사용하여 비중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Blends는 자체에 물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열역학적으로 계산된 단위 중량당 반응열은 ANFO에 비해 매우 적지만, 폭발속도, detonation pressure(폭굉압), borehole pressure(폭발압력) 등이 ANFO에 비해 크므로 폭발압력에서부터 암석의 파괴가 가능한 압력가지의 단위 중량당 유효한 에너지의 양은 암석의 강도가 커질수록 ANFO에 비해 매우 적지만, 폭발속도, ANFO와 비슷해진다. 따라서 장약 비중이 ANFO의 130∼145%로 높은 Blends는 동일한 천공에 더 많이 장약할 수 있어 단위 천공당 암석 파괴에 이용되는 유효 에너지의 총 양이 커지게 되므로, 공간격과 저항선을 늘릴 수 있어 총 천공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결론적으로, Blends의 장점은 내수성과 함께 비장약량은 비슷하거나 약간 증가하는데 비해, 천공수는 크게 감소하여 전체적으로는 발파 현장의 경제성이 향상된다는데 있다.

  • PDF

산업부산물을 활용한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체의 가학적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I )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Mechanical Properies of Fiber Reinforced Cement Composites Utilizing y-Products(II))

  • 박승범;윤의식;조청위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1993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93-98
    • /
    • 1993
  • In order to discuss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fiber reinforced composites with fly ash, lime, gypsum and polymer emulsion-Stylene Butadiene Rubber Latex (SBR) , experimental studies on FRC were carried out. The kinds of fiber used in FRC are PAN-dervied and Pitch-derived carbon fiver, alkali-resistance glass fiber. As a test results, the flexural strength and tougthness of fiber reinforced fly ash. lime.gypsum cement composites are remarkably increased by fiber contents ,but compressive strength of the composites are influenced by kinds of fiber more than by fiber contents. Also, addition of a polymer emulsion (SBR) to the composites decreased the bulk specific gravity, but compressive and flexural strengths, toughness of the composites are not influenced by it, are considerably improved by increasing fiber contents.

  • PDF

Succinylation이 엽농축단백질(葉濃縮蛋白質)의 기능성(機能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Succinylation on Functional Properties of Leaf Protein Concentrates)

  • 조영수;김종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51-258
    • /
    • 1983
  • 엽농축단백질(葉濃縮蛋白質)(LPC)을 이용해서 인공유(人工乳)를 만들 수 있는 기틀을 마련코저, 엽농축단백질(葉濃縮蛋白質)의 기능적(機能的) 성질(性質)을 milk casein 수준으로 높이기 위해 섬바디(Dystaenia takeshimana Nakai) 잎에서 추출한 chloroplastic protein과 cytoplasmic protein 및 Italian ryegrass(Lolium multiflorum Lamb.)에서 추출(抽出)한 엽농축단백질(葉濃縮蛋白質) 1g당 succinic anhydride 0. 10, 0. 25, 100g씩을 가(加)해 숙시닐화시켜 기능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bulk density는 섬바디잎에서 추출한 chloroplastic protein 및 cytoplasmic protein과 Italian ryegrass에서 추출한 LPC가 succinic anhydride의 무처리구에서 높았으며 숙시닐화 시킴으로 감소한 후 숙시닐화가 증가하므로서 bulk density는 어느 정도 증가하는 추세였다. 2. 용해도는 숙시닐화를 시킨 각 구에서는 Italian ryegrass LPC 1g에 succinic anhydride 1g 첨가반응시 섬바디 chloroplastic protein에서는 시료 1g당 succinic anhydride 0.1g이상 첨가반응시 milk casein 보다 용해도가 높은 경향이었다. 3. 흡수도 및 지방흡착에서는 숙시닐화 시킨 것과 시키지 않은 것 모두가 milk casein 보다 높은 경향이었다. 4. 유화능과 유제의 안정성에서는 숙시닐화를 시키지 않은 각(各) LPC가 약간 낮은 반면 숙시닐화 시킴에 따라 milk casein 보다도 높고 점점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 PDF

Effect of molding condition on tensile properties of hemp fiber reinforced composite

  • Takemura, K.;Minekage, Y.
    • Advanced Composite Materials
    • /
    • 제16권4호
    • /
    • pp.385-394
    • /
    • 2007
  • In this study, the effect of molding condition on the tensile properties for plain woven hemp fiber reinforced green composite was examined. The tensile properties of the composite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plain woven jute fiber composite fabricated by the same process. Emulsion type biodegradable resin or polypropylene sheet was used as matrix. The composites were processed by the compression molding where the molding temperature and its heating time were changed from 160 to $190^{\circ}C$ and from 15 to 25 min, respectivel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rom the experiment. The tensile property of hemp fiber reinforced polypropylene is improved in comparison with polypropylene bulk. The strength of composite is about 2.6 times that of the resin bulk specimen. Hemp fiber is more effective than jute fiber as reinforcement for green composite from the viewpoint of strength. The molding temperature and time are suitable below $180^{\circ}C$ and 20 min for hemp fiber reinforced green composite. Hemp fiber green composite has a tendency to decrease its tensile strength when fiber content is over 50 wt%.

Electrophoretic Mobility to Monitor Protein-Surfacant Interactions

  • Hong, Soon-Taek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3권2호
    • /
    • pp.143-151
    • /
    • 1998
  • Protein -surfactant interactions have been investigate by measuring ζ-potential of $\beta$-lactoglobulin-coated emulsion droplets and $\beta$-lactoglobulin in solution in the rpesenceof surfactant, with particular emphasis on the effect of protein heat treatment(7$0^{\circ}C$, 30min). When ionic surfactant (SDS or DATEM) is added to the protein solution, the ζ-potential of the mixture is found to increase with increasing surfactant concentration, indicating surfactant binding to the protein molecules. For heat-denatured protein,it has been observed that the ζ-potential tends to be lower than that of the native protein. The effect of surfactant on emulsions is rather complicated .With SDS, small amounts of surfactant addition induce a sharp increase in zeta potential arising from the specific interaction of surfactant with protein. With further surfacant addition, there is a gradual reductio in the ζ-potential, presumably caused by the displacement of adsorped protein (and protein-surfactant complex) from the emulsion droplet surfac by the excess of SDS molecules. At even higher surfactant concentrations, the measured zeta potential appears to increase slightly, possibly due to the formation of a surfactant measured zeta potential appears to increase slightly, possibly due to the formation of surfactant micellar structure at the oil droplet surface. This behaviour contrastswith the results of the corresponding systems containing the anionic emulsifier DATEM, in which the ζ-potential of the system is found to increase continuously with R, particularly at very low surfactant concentration. Overall, such behaviour is consisten with a combination of complexation and competitive displacement between surfactant and protein occurring at the oil-water interface. In addition, it has also been found that above the CMC, there is a time-dependent increase in the negative ζ-potential of emulsion droplets in solutions of SDS, possibly due to the solublization of oil droplets into surfactant micelles in the aqueous bulk phase.

  • PDF

무유화 유화중합에 의해 합성된 Core/shell 형태 PMMA/CdS 나노입자의 특성분석 (Characterization of Core/Shell PMMA/CdS Nanoparticles Synthesized by Surfactant-free Emulsion Polymerization)

  • 윤효정;임영목;심상은
    • 접착 및 계면
    • /
    • 제13권4호
    • /
    • pp.188-192
    • /
    • 2012
  • in-situ 무유화 유화중합 및 후속 CdS 코팅 공정으로 이루어진 방법을 이용하여 CdS로 코팅된 PMMA 나노입자를 제조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합성된 CdS/PMMA 나노입자의 크기는 201.7 nm 였으며, TGA 및 원소 분석 결과 10.37 wt%의 CdS를 함유하고 있었다. PMMA 입자 표면에 코팅된 CdS 나노결정의 크기는 3.55 nm였으며 주로 (111) 결정면으로 성장되었다. UV-vis 분석 결과 blue-shifting 현상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CdS/PMMA 하이브리드 입자상태에서의 CdS는 벌크 상태의 CdS가 갖는 2.41 eV의 밴드갭 에너지보다 큰 2.70 eV를 갖기 때문에 발생하는 양자구속효과에 의하여 기인하였다.

파라핀 슬러리의 생성 및 관내 대류열전달에 관한 연구 (Formation of a paraffin slurry and its convective heat transfer in a circular pipe)

  • 최은수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2권1호
    • /
    • pp.50-60
    • /
    • 1998
  • As a method to develop an enhanced heat transfer fluid, the fine particles of a phase-change material were mixed with a conventional heat transfer fluid. Paraffin, which can be obtained easily in domestic market, was used for the phase-change material and water was used as a carrier fluid. Fine liquid particles of paraffin were formed in water as an emulsion by using an emulsifier, and they were cooled rapidly to become solid particle, resulting in paraffin slurry. The average diameter of produced solid particles wa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amount of the added emulsifier, which was theoretically proved. The produced paraffin slurry was tested thermally in heat transfer test section having a constant-heat-flux boundary condition. The test section was made of a circular stainless-steel pipe, which was directly heated by the power supply having a maximum of 50 Volts-500 Amperes.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tests showed that two kinds of phase change were involved in the melting of paraffin, and it was explained in two different ways. A five- region-melting model was developed by extending the conventional three-region-melting model, and was used to obtain the local bulk mean temperatures of paraffin slurry in the heating test section. The local heat transfer coefficient showed a maximum where the bulk mean temperature of the paraffin slurry reached at the melting temperature of paraff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