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ilt-up

검색결과 1,829건 처리시간 0.025초

정렬형 관 배열에서의 와류발생기 응용 (Application with Winglet-Type Vortex Generators in an In-line Tube Arrangement)

  • 곽경민
    • 에너지공학
    • /
    • 제14권4호
    • /
    • pp.241-247
    • /
    • 2005
  • 3열 정렬형 관군 배열에서 3열의 'common flow up'과 'common flow down' 형상의 와류발생기를 부착하여 와류발생기에 의한 열전달 촉진과 압력강하를 비교하였다 선행 연구자들이 제안한 'common flow down' 형상의 와류발생기는 와류발생기가 없는 휜-관군에 비해 열전달 촉진은 $10\%{\~}25\%$ 향상되었고, 압력강하는 $20\%{\~}35\%$ 증가하였다. 'common flow up' 형상의 와류발생기의 경우 후연 수평거리(${\Delta}y$)를 변화시키면서 평가하였다. 와류발생기는 삼각형과 사각형 형상을 적용하였다. 후연 수평거리(${\Delta}y$)가 5mm이고 삼각형의 'common flow up' 형상의 와류발생기가 정렬형 관군에서 설치될 때 Reynolds수(유로 높이의 배를 기준으로)가 $300{\~}2700$ 범위에서 열전달촉진은 10까지 향상하였고, 동시에 압력강하는 $8\%{\~}15\%$ 감소하였다. 삼각형 와류발생기가 부착된 휜-관군의 성능이 상대적으로 작은 압력강하 때문에 사각형 와류발생기가 부착된 휜-관군의 성능보다 좋게 나타났다.

제주(濟州) 대정향교(大靜鄕校)의 건물별(建物別) 조영(造營) 특성(特性) 고찰(考察) (A Study on each Building's Constructional Characteristics of Daejeong-HyangGyo in Jeju)

  • 지태승;박정근;박철민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33-40
    • /
    • 2010
  • HyangGyo had been built for teaching peoples as a place of educational practice, and also for the order and stability of country through Confucianism. This study analyzed and researched the building structure of Daejeong-HyangGyo in Jeju Island In Daejeong-HyangGyo, uniqu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re shown as they have been built in an island independent from the mainland. Also up-down system was well reflected in detailed architectural styles. The main temple of Daejeong-HyangGyo was built in the type of one-Chulmok(a subsidiary material of Gongpo and a piece of wood to support the eaves) of which ancon supports a purline from the center of a pillar and two-Ikgong(a piece of wood engraved to put on an ancon), but in the case of the lecture hall, its Gongpo(a piece of wood to support the eaves) was inferior in quality. In the case of Jeju abutments were used in main temples and fire walls were mostly used. In particular, their abutments are difficult to be observed in HyangGyo in the mainland. It is presumed that the abutment and the fire wall used in Jeju Island might be the best solution to protect structures from rain and moisture. To sum up, local characteristics and traditional rules were thoroughly reflected in Dajeong-HyangGyos built in Jeju Island from the aspect of arrangement and detailed style. In conclusion, it is significant that architectural styles, not to mention the other aspects of Jeju culture, were suitably adapted to Jeju Island.

소음인(少陰人) 약리(藥理)의 형성과정(形成過程) 관한 연구(硏究) -갑오본(甲午本)과 신축본(辛丑本)을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Formative Process of Soeumin Pharmacology -Focused on Gabobon and Sinchukbon-)

  • 한경석;박성식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5-24
    • /
    • 2006
  • 1. Objectives This paper was written in order to understand the formative process of Soeumin pharmacology. 2. Methods Souemin pharmacology was analysed with pathology and new prescription in Gabobon(甲午本) and Sinchukbon(辛丑本) of ${\ulcorner}$Dongyi Suse Bowon${\Ircorner}$. 3. Results and Conclusions Soeumin is charactrized to much output of kidney and a little input of speen in sight of ingestive food(水穀). So deficiency of YangQi is a peculiarity of pathology and ascending-Qi is a basic pharmacology. The pharmacology in the exterior disease of Soeumin is built up to base on the old prescription of previous text in Gabobon. Ascending-Yang is the basic pharmacology of Sinchukbon and prescription is summarized to base on the Kyuji-tang. So new prescriptin of Chungoongkyuji-tang and Hwangkikyuji-tang is made by combine Kyuji-tang with Koongkihyangso-san and Bojoongikki-tang. The pharmacology in the interior disease of Soeumin is built up to devide to the weakness of Stomach-Qi, dyspepsia and invasion of cold-Qi. Descending Yin is the basic pharmacology of Sinchukbon and prescription is summarized to base on the Yijoong-tang. Sokunjoong-tang's pharmacology of abdominal pain is newly added and applided to Baekhaoyijoong-tang and Kwankyuboojayijoong-tang. The discourse of the symptoms and diseases at the Sasang Constitutional Medine is built up to base on the previous text in Gabobon and base on clinical experience in Sinchukbon. So clinical experience is the power of summarizing the pharmacology and escaping the previous pharmacology.

  • PDF

토지피복 변화에 따른 식생지수(NDVI)분포 및 변화에 관한 연구: 성남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distribution and change of NDVI with Land-Cover change in City of Sungnam)

  • 성효현;박옥준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8권2호
    • /
    • pp.275-288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1985년과 1996년 두 시기에 수집된 성남시의 Landsat TM 다중분광(Multispectral) 영상을 이용하여 토지피복 변화 양상과 식생지수 변화 양상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토지피복 변화와 NDVI 변화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삼림에서 기타 토지피복 항목으로 변화한 지역은 삼림지역에서 식생화력도가 높은 6∼7단계의 면적이 감소하고 상대적으로 식생화력도가 낮은 5단계로 증가 분포하였고 인공구조물이나 나대지로 변화한 지역에서는 식생지수의 단계가 하락하였다. 둘째, 농경목초지역에서 기타 토지피복 항목으로 변화한 지역은 삼림으로 변화한 지역과 농경목초지가 그대로 보존된 지역에서는 두 시기동안 식생지수가 상승분포하였고 주로 분당구를 중심으로 그 분포를 볼 수 있었다. 셋째, 인공구조물에서 기타 토지피복 항목으로 변화한 지역은 대체로 식생지수 단계가 상승분포하였고 인공구조물 불변지역에서 식생지수단계 상승을 볼 수 있었다. 넷째, 나대지에서 기타 토지피복 항목으로 변화한 지역은 성남시에서 적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지만 식생지수단계 상승이 나타났다

  • PDF

Evaluating Tropical Night by Comparing Trends of Land cover and Land Surface Temperature in Seoul, Korea

  • Sarker, Tanni;Huh, Jung Rim;Bhang, Kon Joon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23-130
    • /
    • 2020
  • The impact of urbanization on LST (Land Surface Temperature) and TN (Tropical Night) was observed with the analyses of land cover change and LST by associating with the frequency of TN during the period of 1996 to 2016. The analyses of land cover and LST was based on the images of Landast 5 and 8 for September in 1996, 2006, and 2016 at a 10 year interval. The hourly-collected atmospheric temperatures for the months of July and August during the period were collected from AWSs (Automatic Weather Stations) in Seoul for the frequency analysis of TN. The study area was categorized into five land cover classes: urban or built-up area, forest, mixed vegetation, bare soil and water. It was found that vegetation (-7.71%) and bare soil (-9.04%) decreased during the period while built-up (17.29%) area was expanded throughout the whole period (1996-2016), indicating gradual urbanization. The changes came along with the LST rise in the urban area of built-up and bare soil in Seoul. In addition, the frequency of TN has increased in 4.108% and 7.03% for July and August respectively between the two periods of the 10 year interval, 1996-2006 and 2006-2016. By comparing the increasing trends of land cover, LST, and TN, we found a high probability that the frequency of TN had a relationship with land cover changes by the urbanization process in the study area.

국부좌굴을 고려한 건축구조용 고성능강(HSA800) 조립각형강관 압축재의 적용성 평가 (Evaluation on Applicability of Built-up Square Tubular Compression Members Fabricated with HSA800 High Performance Steel Considering Local Buckling)

  • 유정한;김주우;양재근;강주원;이동우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5권3호
    • /
    • pp.223-231
    • /
    • 2013
  • 최근 구조물의 고층화, 대형화 및 장스팬 활용 등의 요구로 고강도 고성능 재료의 건축물과 교량에의 적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본 논문은 고성능강(HSA800)의 건축구조용 재료 특성과 고성능강재를 사용한 부재의 설계 기준을 위한 기본적인 연구의 일부이다. 조립각형강관 기둥의 국부좌굴 거동과 현행 폭두께비 설계 제한치를 검토하기 위하여 다양한 폭두께비 변수를 계획하고, 단축압축실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유한요소결과로 얻어낸 단주의 국부좌굴거동을 실험결과와 비교하였으며 검증된 해석모델을 이용하여 변수연구를 수행하였고 현행 설계기준의 적용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강섬유 콘크리트가 충전된 용접조립 각형강관 기둥의 구조성능 실험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Structural Performance of SFRC filled Built-up Square Columns)

  • 김선희;염경수;최성모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7권1호
    • /
    • pp.13-2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내에 강섬유를 혼입하여 기둥자체의 인성력을 확대시키는 방안을 구조실험을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내부 앵커형 용접조립 각형 기둥에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를 충전하여 구조 거동을 고찰하였다. 강섬유 혼입량과 가력조건을 변수로 하여 총 10개의 단주를 제작하여 단조재하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휨 모멘트력이 발생될 때 강섬유 콘크리트는 특유의 성질인 균열 후 인장강도가 발현되어 내력 및 거동에 유리하게 작용되는 것으로 보인다. 미소 분량의 강섬유 혼입으로 축력과 휨내력이 향상 가능한 것은 매우 합리적인 단면설계가 가능하며 이를 적극적으로 설계에 반영될 필요가 있다.

볼트로 체결된 강재 조립 합성보의 휨 거동 (Flexural Behavior of Steel Composite Beam with Built-up Cross-section by Bolt Connection)

  • 김성보;한만엽;김문영;지태석;정경환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207-216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볼트로 체결된 강재 조립 합성보의 휨거동에 대한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휨거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두개의 강재보가 볼트로 체결되어 횡하중을 받을 때 발생하는 볼트의 합성효과, 강판사이의 마찰특성을 고려하였다. 체결에 사용된 볼트의 갯수 및 마찰계수의 변화에 따른 변위, 휨응력 그리고 전단응력을 쉘 요소를 사용한 유한요소해석에 의해 계산하였다. 이런 결과들은 완전 비합성보, 부분 합성보와 완전 합성보의 해석치와 비교되었다. 해석결과 합성보의 거동은 강재의 마찰보다 볼트의 갯수로 표현되는 합성률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합성률이 $50{\sim}60%$에 도달할 때 합성보의 거동은 완전 합성보와 유사함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