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ilding Use Database

검색결과 174건 처리시간 0.022초

GSIS를 이용(利用)한 환경데이터의 관리(營理)와 BOD 농도(濃度) 변화 simulation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about the management of environmental data and the simulation of BOD using GSIS)

  • 성동권;김태근;고제웅;조기성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75-90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하천수질관리 방안의 일환으로 수질 및 오염원등의 환경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특히 하천의 유기오염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인 BOD를 중심으로 GSIS환경하에서 시간과 지점에 따라 변화되는 사항을 수치적으로는 물론 시각적으로 Simulation하였다. 또한 각종 환경관련정보의 테이터베이스 구축과 동시에 검색, 통계, 분석등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이용하면 일반인에게 하천의 오염상태를 쉽게 보고 이해 할 수 있게 하여 환경에 대한 관심도를 높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돌발적인 수결오염의 발생시 대상지역 및 영향의 정도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지역간의 오염원현황 및 발생오염부하량의 원활한 비교와 파악이 가능하고 각 오염인자에 의한 하천의 오염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어 이에 대한 적절한 오염량 저감대책 수립의 한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독도 해양자료의 통합적인 관리를 위한 GIS 데이터 모델 수립 (Building GIS Data Model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The Marine Data of Dokdo)

  • 김현욱;최현우;오정희;박찬홍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53-167
    • /
    • 2007
  • 독도에 대한 연구는 여러 분야에서 수행되고 있으나, 독도의 해양연구 자료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와 지속적인 축적이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독도 및 독도주변해역의 해양환경 및 해양생태계 등 해양과학 자료의 체계적인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독도 해양조사자료의 체계적인 관리와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공간기반의 GIS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요구되며, 이를 수행하기 위한 설계 단계에서 GIS 기반의 해양데이터 모델 수립이 필요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해양관측자료를 수집하여 데이터 종류와 특성에 따라 GIS 기반의 프레임워크 자료(framework data), 연구조사자료(research data) 및 주제도 자료(thematic data) 등 세 개의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각 연구조사자료의 속성은 GIS 프레임워크 자료와 연계되도록 설계하였다. 이와 같은 통합적인 GIS 데이터 모델 수립의 연구 결과는 향후 독도 뿐 아니라, 다른 해역에서 관측된 해양연구자료의 관리시스템 개발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Land Registration: Use-case of e-Governance using Blockchain Technology

  • Veeramani, Karthika;Jaganathan, Suresh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4권9호
    • /
    • pp.3693-3711
    • /
    • 2020
  • e-Governance is a medium to offer various services to citizens through a web portal, that exists in many countries nowadays. The existing e-Governance technology is a vast, centrally managed database and a set of applications that connect to it via web interfaces. Despite the modernisation of services, it remains with the lack of transparency. Thus, the existing infrastructure of e-Governance paves the way for corrupt practises by the bureaucrats. e-Governance needs a powerful underlying technology which doesn't provide any way to allow tampering of the record and which in turn eliminates corruption. In this paper, we took land registration as a use-case for building e-Governance by keeping Blockchain as an underlying technology, to put off the corrupt practices and to bring transparency. Once transactions in land registration added to the Blockchain, it is immutable as it is cryptographically secured. Besides, the blockchain technology is secured as the ledger is distributed over the network. If a hacker wants to modify the ledger, he needs to hack every node in the blockchain network. Hyperledger Fabric, a permissioned Blockchain adopted for implementation and Hyperledger Caliper for performance analysis with these evaluation metrics such as throughput, latency and execution time.

라이프로그용 영상인식 기반의 스마트 플랫폼 설계 (Design of Smart Platform based on Image Recognition for Lifelog)

  • 최영호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51-55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LBS 연동형 스마트 플랫폼의 설계를 통해 타인의 라이프로그 정보를 참조할 수 있는 개인 블랙박스용 라이프 로그서비스를 제안한다. 일반적이 라이프로그 서비스는 스마트 장치 사용자의 일상적인 행위를 저장함으로써 추후에 이를 다시 확인해 볼 수 있게 해준다. 제안한 라이프로그 서비스 플랫폼은 GPS/UFID 위치 정보와 스마트기기로부터 획득한 영상에서 추출한 다양한 정보를 라이프로그 데이터로 사용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다른 사용자가 구축한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참조할 수 있다. 제공하는 타인의 정보는 기본적으로 500m 이내로 제한하였으나 이러한 범위는 조절가능하다. 제안한 플랫폼은 영상인식기법을 활용하여 획득한 영상에 대한 속성을 결정한 후 위치 정보, 영상 데이터, 영상 속성 그리고 관련된 웹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속성은 개체ID, 영상 형태, 획득시간, 획득 좌표이다. 사용하는 영상 형태 속성은 산, 바다, 거리, 건물 앞, 건물 내부 그리고 인물이다. 영상 속성이 인물인 경우 셔츠, 바지, 원피스, 액세서리와 같은 부속성을 부여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 스마트 디지털 기기로 부터 멀티미디어 파일 데이터를 수집하고 웹 서버로부터 웹 데이터를 수집하여, 파일 데이터와 웹 데이터를 라이프로그 데이터로 저장하고 사용자 요청에 따라 길찾기 등을 통해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다.

인터넷 기반의 아파트 리모델링 및 자동 내역산출을 위한 시뮬레이터 디자인 연구 (The Study on the Internet-based Virtual Apartment Remodeling and Auto Estimation Simulator)

  • 서재은;김성곤
    • 디자인학연구
    • /
    • 제15권1호
    • /
    • pp.191-202
    • /
    • 2002
  • 최근 다양한 가족유형이 일반화되어가면서 현재 웹상의 주거공간 설계에 대한 전반적인 재검토와 함께 다양하게 표출되는 사용자 요구에 충족할 수 있도록 새로운 형식의 주거 공간 리모델링 제안이 이루어져야 할 시점에 이르렀다. 이에 거주자 생활 패턴 변화에 대응하는 주거 공간의 제안과 웹 구조상치 설계 및 리모델링의 과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기반 가상아파트 리모델링 지능형 서비스 시스템- 사용 시나리오와 프로토타입을 제시하여 리모델링 자동 내역 산출을 위한 시뮬레이터 디자인을 연구하였다. 연구는 크게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진다. 먼저, 문헌 연구를 통하여 리모델링의 범위 및 유형 분류로 가능하게 된, 전반적인 리모델링 개념과 기존 범람되어지고 있는 용어들을 정리하였다. 두 번째로 본 연구의 기본모델인 아파트의 공간 가변화를 고정 요소와 가변 요소로 분류하여 실제적 가변벽체의 적응성과 유연성을 살펴보았다. 세 번째로 현장 공사단계의 시뮬레이션을 위한 상담, 마감재, 가견적, 실견적의 데이터베이스화 과정이다. 그 데이터베이스는 다이아그램 계층구조와, 모델을 리모델링 할때 생성되는 일위대가 및 물량 산출 내역 근거표에 기초하여 소개되었다. 마지막으로 기 개발된 시스템을 활용하여 리모델링 시뮬레이터의 시스템 구조도와 사용 시나리오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그 시스템의 디자인 대안을 탐색하고 표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프로토 타입을 제작하여 기존 온라인 프로그램 인터페이스의 효율성을 증가시키고 정보 누락의 문제점을 개선하였다.

  • PDF

GIS를 활용한 생태면적률 산정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Biotope area ratio Estimation Model using GIS)

  • 이지수;이승욱;이승엽;홍원화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9권2호
    • /
    • pp.9-18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신도시 등의 조성에 있어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하고 시민들에게 쾌적한 생활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도입된 생태면적률을 산정하는 모델을 개발하여 구축의 효율성과 데이터베이스 유지관리의 간편성과 정확성을 확보함에 있다. 특히 생태면적률은 현재 환경영향 평가 뿐만 아니라 친환경 인증기준 중 생태환경기준으로 활용되고 있으나, 생태면적률의 산정도 구축을 위한 지표가 제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결과자료의 누락, 데이터 수정보완의 어려움과 같은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IS를 통해 도형 자료를 구축하고 가중치의 속성정보를 통합하여 관리하는 모델을 제시하였다. 생태면적률 산정은 토지이용계획도를 기초로 하여 건폐지의 경우 옥상 및 벽면 녹화, 비건폐지의 경우 수공간, 인공지반, 틈새투수포장, 자연지반 녹지의 공간유형을 대상으로 한다. 가중치가 부여된 공간유형정보는 도형정보와 통합되고 통합된 자료는 향후 토지이용에 따른 분석을 위해 토지이용계획 정보를 블록 별로 부여한다. 한편, 공간유형별 가중치 적용의 경우 도출방법이 각 지자체나 적용 주체의 상황에 따라 특성에 맞게 판단기준의 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그 수치가 유동적일 수 있으나 본 모델에서 수치변화에 대한 탄력적인 대응이 가능함으로써 간편하고 효율적인 데이터 구축의 모델로 활용될 수 있다.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공간 데이터 통합 방안 연구: 부동산 분야를 중심으로 (A Study on Spatial Data Integration using Graph Database: Focusing on Real Estate)

  • 김주영;박슬아;유기윤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2-36
    • /
    • 2023
  •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는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와 그 관계를 그래프로 모델링하여 적재하기 때문에 복잡한 관계로 연결될 수 있는 부동산 데이터를 관리하고 분석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으나, 현재 제공되는 그래프 데이터베이스의 제한적인 공간 기능으로 인해 활발히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부동산 공간 관련 질문들에 대응할 수 있도록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Uniform Grid 기반 부동산 공간 데이터 관리 방안을 제안한다. 핵심 데이터를 선정하기 위하여 부동산 커뮤니티의 관련 질의를 분석하였으며, 국가지점번호를 단위 Grid로 설정하고 다양한 부동산 관련 데이터들을 연결한 그래프 스키마를 구성하여 테스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데이터베이스 검증을 위해, Jackpine 벤치마크를 활용하여 기본 위상관계 및 공간함수를 테스트하였고, 나아가 다양한 시나리오 기반 질의 테스트를 수행함으로써 제안한 방법의 적절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제안한 방법은 총 29개의 공간 위상관계와 공간함수 중 25개의 기능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고, 25개의 기능과 15개의 시나리오에 대해 약 97%의 정확도를 달성하였다. 본 연구는 그래프 데이터베이스의 제한적인 공간 기능을 고려하여, 부동산 관련 공간 질문에 대응할 수 있는 효율적인 데이터 통합방안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그러나 그리드 기반 인덱스 사용으로 인한 잘못된 공간 위상관계 생성 문제 및 리스트 비교에 따른 질의의 비효율성에 대한 한계점이 존재하며, 이는 후속 연구에서 개선할 필요가 있다.

한국인의 인체 영상 데이터에 대한 활용 사례 연구 (A Study on survey of practical applications with the medical image data: Visible Korean Human and Digital Korean)

  • 김대중;안성수;박형선;이승복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7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01-404
    • /
    • 2007
  • 현재 의료 분야에서 연구, 교육 및 임상 치료 등의 목적으로 인체 모델링 및 가시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인종과 민족마다 인체 형상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체형, 나이, 성별 등에 따른 표준 한국인 인체 모델이 필요하였다. 그래서 KISTI에서는 2000년 한국인의 연속절단면 영상(Visible Korean Human) DB 구축을 시작으로 2003년에는 디지털 코리언(Digital Korean) DB를 구축하여 대학, 연구소, 일반인 등의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인체 데이터에 대한 활용이 미미하고, 활용 분야도 대부분 연구 목적에만 치우친 경향이 있어 의학, 산업,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인체 데이터의 활용을 제고하고자 인체 데이터에 대한 활용 목적, 방법, 현황 등의 사례를 연구하였다.

  • PDF

지명 활용을 위한 지명 DB와 수치지도 DB의 연계 방안 연구 (Linking Toponym Database with Digital Map Database)

  • 최진무;김민준;최돈곤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310-31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지명 DB와 수치지도 DB를 효율적으로 연계하여 지명을 지도제작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우선 지명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관리할 수 있도록 지명 DB의 이력관리 부분을 수정하였다. 또한 지도제작에 지명을 활용하기 위해 지명 DB에 지도연계 테이블을 추가하여 수치지도 DB와 연계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수치지도 DB와 지명 DB의 통합운용을 위해 데이터 이질성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약결합 방식을 제안하였고, 법정동코드와 지명을 조합하여 ID로 두 DB를 연결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을 통해 지명 DB의 지명을 지도제작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지명DB의 개선을 통해 향후 지도제작 등 지명 DB의 원활한 활용이 기대된다.

  • PDF

시공간 그룹특징을 사용한 동영상 복사물의 고속 검색 (Fast Detection of Video Copy Using Spatio-Temporal Group Feature)

  • 정재협;이준우;강종욱;정동석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49권11호
    • /
    • pp.64-73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동일한 동영상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시공간 그룹특징 핑거프린팅이다. 동영상의 프레임은 고정된 비율 방법으로 추출되며, 수직그룹과 수평그룹으로 나눠진다. 서술자는 각 그룹특징을 이진화 핑거프린팅으로 추출하여 만든다. 그 다음 원본 동영상의 서술자로 두 종류의 핑거프린팅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질의 동영상과 정합한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동영상 복사 검색을 하기 위해 높은 강인성, 독립성, 정합 속도를 가져야 한다. 제안한 방법에선 그룹특징으로 동영상의 다양한 변형에 높은 강인성과 독립성을 가지게 된다. 구축된 원본 핑거프린팅 데이터베이스는 질의 동영상과의 고속 정합을 가능하게 해준다. 제안한 방법은 기존 방법들과 비교했을 때 다양한 변형에서 뛰어난 성능향상을 보였다. 특히, 속도 향상에 매우 뛰어난 성능을 가져온 것이 본 논문의 큰 장점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