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ffer Green Belt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6초

Comparative Research of Green Belt in Japan and China for City Safety - A Case Study of Beijing and Kobe -

  • Yue Shen;Yohei Saitoh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International Edition
    • /
    • 제2호
    • /
    • pp.88-93
    • /
    • 2004
  • This research aims to grasp the basic knowledge of green belt, which exerts far-reaching effects upon safety, by comparing the revelation of the green belt of the two cities-Japan and China. In result, features of both countries were clarified. The green belt of Japan emphasizes on the function during emergency cases such as natural disasters, while the green belt in China, stresses its' function toward social safety in usual status, such as crimes, accidents or environmental pollution. Also, the function of the green space at normal situations has many in common between these two countries; however, the concepts differ according to geological or social system.

  • PDF

I. 택지개발지구내 주변 환경에 따른 단독주택지 경계부 건축물 용도변화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 (Changes of Building Use at the Borders of a Detatched Housing Area According to Location in the Housing Site Development District)

  • 이숙준;박해주;이진욱;하재명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7권6호
    • /
    • pp.141-148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endencies on land use in the housing site development district by grasping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s of building use at the borders of single-detached housing area for planning single-detached housing area in the future. It is divided the borders of detached housing areas into three types, educational facility, parks and green spaces, and apartment complex, and then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ocation after a field study. It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onery and flour-based meal stores in adjacent borders near educational facilities, suitable for students' interest and motion patterns, and it is required to consider about frequent children's action in the street. Second, there are many facilities for park users and residents, such as educational institutes and restaurants in adjacent to borders near parks. In borders neighboring buffer green belt areas, warehouses and vacant sites were mainly distributed. And the revitalization of streets was lower than others, because a road was used as a parking space. Third, there were realty dealers, food stores, and laundries which provide the dwellers with service in adjacent borders near multi-family housing.

도시녹지의 대기정화효과에 대한 분석적 연구 - 도시 가로수를 중심으로 - (An Analytical Study on the Air Purification Effect of Urban Openspace - Focusing on Urban Roadside Trees -)

  • 성현찬;문다미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7-28
    • /
    • 200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review and verify whether the functions and effect of roadside trees generally known in theory are actually realized in urban roads and how well they are performed if the function and effect are really realized.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a focus on air purification effect of roadside trees. The m헤r study result is as follows. First, calculation of air purification effect of roadside trees showed that it is minimal. However, 7.4 units of broad-leaved trees is necessary in order to purify $SO_2$ discharged by one passenger car and 1,803.3 trees to purify $NO_2$. Second, regarding pollutant absorption capacity, air pollutant absorption capacity increased as the number of rows planted gets higher (i.e., 2-row plantation absorbs pollutant better than I-row plantation). In particular, "2-row plantation + lower-level shrub + buffer green belt" was as eight times high as "I-row plantation" in absorption capacity. Third, out of 30 roads with over 8 lanes in 15 cities, only 33.3% or a total of ten roads in seven cities had a median strip. Out of these ten roads, nine roads were planted in a double-layer consisting forest trees, shrubs, ground plants (grass). Analysis showed that out of six tree species planted along these roads, about a half of them were weak to air pollution. Also, based on the outcome of this study, charging a "plantation due" when people purchase a new car, improving layout of roadside trees, and reinforcing plantation of air purification tree species when selecting tree species for roadside trees were proposed.

댐 홍수터와 수변구역을 연계한 통합형 수변생태벨트 적지 선정방안 연구 - 금강 수계 대청호 사례 연구 - (Study on the Selecting of Suitable Sites for Integrated Riparian Eco-belts Connecting Dam Floodplains and Riparian Zone - Case Study of Daecheong Reservoir in Geum-river Basin -)

  • 반권수;조명현;강전경;김이형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27-341
    • /
    • 2021
  • 수변생태벨트는 유역의 비점오염원을 저감시키고 생태적인 연결성과 건강성을 증진할 수 있는 효율적인 기법이다. 국내에서도 수변생태벨트 조성 및 관리를 위한 법적인 제도를 운영 중이나 비점오염물질 제어, 생물서식처 등 완충 기능에 유리한 하천, 호소 내의 홍수터는 제외되어 개선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금강 수계 대청댐 유역을 대상으로 댐 호소의 소단위별로 댐 홍수터와 수변구역의 수질, 생태계 특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통합형 수변생태벨트 적지 선정방안을 제시하고 분석하였다. 먼저 GIS로 대청댐 유역을 138개 소단위로 구분하고 홍수터와 인접한 수변구역을 분석하였다. 통합형 수변생태벨트 적지 선정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계, 수질 영향 관련 16개의 평가인자를 선정하고 AHP분석으로 인자별 중요도에 대한 가중치를 설정하였다. 소단위에 제내·외지별, 인자별 가중치를 적용한 통합 평가를 실시하여 적지 우선 순위를 도출하였다. GIS 적지 분석을 통해 도출된 대상지들이 실제 조성에 적합한 지역인지 타당성을 판단하기 위해 5개 대상지에 대한 토지이용, 오염원, 생태적인 연계성 등에 대한 현장 검증을 시행한 결과 모든 대상지가 적정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수변생태벨트 적지 분석 기법은 향후 통합적인 수변관리 정책 설정시 유용한 도구로써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단, 대상 댐별 특성과 현안에 따라 다양한 평가인자와 항목별 가중치 적용이 필요할 수 있다. 그리고 통합형 수변생태벨트 지역에 대해 그린-블루네트워크(Green-Blue Network) 측면을 고려한 세부적인 보전·복원방안 마련과 생태계서비스 측면의 평가 및 관련 법, 제도 측면의 상호 연계, 개선방안 등에 대해서도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비오톱 연계망 구축을 위한 서식공간 평가 -대구시 수성구를 중심으로- (An Evaluation of Biotope to Develop Its Green Network -in the Case of Susong-Gu in Daegu Metropolitan Area-)

  • 나정화;사공정희;류연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7-79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the biotope value in a metropolitan area after constructing the biotope evaluation model to develop biotope networking in the light of ecological landscape planning. In addition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c frame of constructing the biotope networking system in the future with the evaluation results. The scope of this research is limited to high density residential area including some part of the forest adjacent to urban boundary. The results of the classified biotope in the research area have been turned out to be 24 patterns. According to the result of estimated nature value having the forth grade, three were forests combined with urban natural parks, schools near forests, and grasslands. There is a little place having first grade. We an deduce this fact that we have surveyed biotopes, having the minimum nature value and wider than children's park. As for the result of evaluated the structure, there were the forests of Seong-Dong, Meaho-Dong, and Kumho river, which is the forth grade. As for the evaluation of connection-function, the followings area were evaluated as the third grade-linear biotopes having highly valued and sustainable similarity - Seoul-Pusan Railroad, Dong-Daegu St., Kumho river, river basins. Bum대 park and a botanic park near Suesung lake, As for the evaluated the buffer-function, higly valued production biotopes, existing at a transition belt between he residential density areas, are Sawol-Dong, Meaho-Dong and Kumho river. When each of the indexes was evaluated, the core of the biotop contained most of natural biotopes. Large artificial biotopes were evaluated as an important biotopes, while small artificial biotopes were classified as a dot biotope. The future research on the concrete biotope networking construction, based upon performed evaluation in this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 PDF

생태계 서비스를 위한 주민 참여형 수변완충녹지 설계 고찰 - 한강수계 경안천변 매수토지 사례 연구 - (Design of Riparian Buffer Zone by Citizen's Participation for Ecosystem Service - Case Study of Purchased Land along Gyeongan-cheon in Han River Basin -)

  • 반권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70-184
    • /
    • 2022
  • 수변완충녹지는 유역의 비점오염원을 친환경적으로 정화시키고 탄소흡수원으로서 유용하며 다양한 생태계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자연기반해법이다. 더불어 수변완충녹지는 생물 다양성과 인간의 행위 빈도가 높은 수역과 육역의 중간지대에 구축되는 지속가능한 사회생태시스템으로서 지역 공동체와의 긴밀한 상호 소통적 환경계획 과정으로 조성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강수계 경안천변 용인시 모현읍 갈담리 582-2 일원의 매수토지에 추진되는 수변생태벨트 사업을 대상으로 계획 및 설계를 소통적 행위로 이해하고 실천하기 위해 세 가지의 전략을 제시하고 이를 과정으로 구현하였다. 첫 번째, 관 주도의 사업을 지양하고 지역 거버넌스인 협의체를 중심으로 주민과 이해관계자들이 함께 참여하는 과정으로 개선하였다. 두 번째, 주민이 공감할 수 있는 생태계 서비스 기능 증진 측면의 설계 요소를 도입하고 선호하는 공간, 시설의 계획을 통해 수용성과 인식을 높이고자 하였다. 세 번째, 생물 서식처, 물순환 기반의 생태환경, 주민 생태체험·휴식공간 등의 균형있는 계획과 더불어 향후 이용 주체인 주민들이 조성 효과와 생태자원으로서의 가치를 체감하고 조성지의 운영, 관리에 참여, 환원될 수 있도록 하는 체계를 마련하였다. 이러한 설계 과정을 통해 사업 초기부터 주민참여 기반의 프로세스 모델을 정착하여 주민의 수용성, 주민 의견을 투영하는 사회생태시스템으로 작동되어 주민의 가치 인식, 조성 유지관리 단계까지 솔선수범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국내 수변완충녹지 정책 패러다임의 변화와 향후 유사 사업 추진 시에 적용 가능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쿤밍-몬트리올 글로벌 생물다양성 보전목표 성취를 위한 우리나라 OECM 발굴방향 연구 - 개념 고찰 및 전문가 인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dentifying OECMs in Korea for Achieving the Kunming-Montreal Global Biodiversity Framework - Focusing on the Concept and Experts' Perception -)

  • 허학영;박선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02-314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생물다양성협약(CBD) 글로벌 보전목표(K-M GBF)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실천목표 3(30by30)에 대한 우리나라의 효과적 대응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것으로, OECM에 대한 글로벌 개념 고찰 및 전문가 인식조사를 통해 국가 차원의 체계적인 OECM 발굴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글로벌 표준을 준수하되 한국적 맥락을 반영한 국가 차원의 체계적인 OECM 발굴방향을 모색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①OECM 관련 한국적 용어 사용, ②글로벌 표준을 반영한 결정인자(criteria) 도출, ③우리나라 잠재 OECM 후보 유형 도출, ④OECM 발굴‧보고 시 고려사항 등을 검토하였다. 먼저 OECM의 단순 번역어 사용이 아닌 이의 개념을 잘 반영한 '한국적 용어' 사용에 대한 공감대 형성이 있었으며, 가장 선호되는 용어이자 '자연과 조화로운 삶'이라는 생물다양성협약(CBD) 2050 비전과도 그 맥락을 같이하는 '자연공존지역(12명)'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표준을 반영한 주요 결정인자로는, 1단계 선별과정에서 OECM 핵심 특성을 반영한 4개 결정인자(1. 보호지역 여부, 2. 지리적 경계, 3. 거버넌스‧관리, 4. 생물다양성 가치)를 활용하고, 개별지역 심층진단을 수행하기 전에 관리‧관할기관 등과의 공감대형성(2단계) 과정을 거친 후 3단계(발굴‧보고단계)에서 2가지 결정인자(3-1 거버넌스와 관리의 효과성과 지속성, 4-1의 생물다양성 가치의 장기적 보전성과)를 추가하여 심층 진단을 수행하는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28개 유형은 대체적으로 OECM 부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4.45~6.21점/7점, 평균 5.24점), 특히 자연환경국민신탁의 보전재산(6.21점) 및 보전협약지(6.07점)가 OECM 개념에 가장 잘 부합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세계자연유산 완충구역(5.77점), 사찰림(5.73점), 개발제한구역(5.63점), 비무장지대(5.60점), 생물권보전지역 완충구역(5.50점) 등이 잠재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절대보전무인도서의 경우 보호지역에 부합한다는 응답(5.83/7점)이 OECM 부합성(5.52/7점) 보다 더 높게 나타나, 향후 절대보전무인도는 그 주변해역(1km)과 더불어 한국보호지역데이터베이스(KDPA)에 등재를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OECM 관련 글로벌 표준 검토 및 전문가 인식조사 결과를 토대로, 한국적 맥락의 OECM 발굴시 고려사항으로 10가지를 제시하였다. 향후 이러한 고려사항을 참고하여 단계적인 발굴사업을 통해 OECM을 목록화하고 기존 보호지역과의 연계를 통한 국가 차원의 현지-내 보전체계 정립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산림의 시가지 변화요인을 통한 잠재개발지 분석 및 관리방안 (Analysis and Management of Potential Development Area Using Factor of Change from Forest to Build-up)

  • 이지연;임노을;이성주;조효진;성현찬;전성우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72-87
    • /
    • 2022
  • 국토의 지속가능한 개발과 보전을 위해서는 계획적인 개발과 효율적인 환경보전이 수반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기존에 개발된 지역에 대한 분석을 통해 개발에 영향을 준 요인들을 도출하고, 개발압력이 높은 지역에 대하여 적절한 관리방안을 적용함으로써 개발과 보전이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용인시를 대상으로 토지피복이 산림에서 시가화·건조 지역으로 변화된 지역과 여러 가지 사회·지형·제한적 요소 간의 관계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회귀식으로 구현하고, 잠재적 개발지를 분석하였다. 잠재 개발지 분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개발제한구역, 보호지역과 같은 제한요소이고, 영향력이 가장 작은 요인은 인구밀도였다. 용인시 산림의 약 148km2(52%)이 잠재적 개발지로 분석되었고, 잠재개발지 중 보호지역에 해당하면서 국토환경성평가지도 1등급으로 환경적 가치가 우수한 지역은 약 13km2으로 도출되었다. 개발 잠재력이 높은 보호지역은 수변구역과 특별대책지역으로 나타나 수변으로 구성된 자연경관이 우수한 지역들이 개발지역으로 선호되고 있었다. 보호지역은 개인의 재산권을 보호하기 위해 일부 행위에 대해 허가를 내주고 있으나 뚜렷한 허가기준이 부재하고, 허가로 인한 환경적 영향을 파악하고 있지 않다. 이는 보호지역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게 하는 요인으로 파악됨에 따라 명확한 예외적 허가기준과 환경영향 모니터링을 통해 관리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