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ddhistic painting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3초

전남 승주군 송광사 승보전 유물(삼세불화)보수 (Restoration of Antique (Sam-Sae Buddhistic Painting) In Song-Kwang Temple)

  • 전경미;전철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7권3호
    • /
    • pp.82-90
    • /
    • 1999
  • 송광사 삼세불화는 조성년도가 확실하지 않지만 남아있는 서기(書記)와 재질 분석을 통해 19세기초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 할 수 있었다. 그리고 공시불화의 보존처리를 위해 안료층과 바탕층, 지지층을 구성하고 있는 재질을 분석하고 이에 적합한 지지층인 배첩지를 초지하여 그 적합성을 시험한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삼세불화의 단면구조는 안료층과 명주로 된 바탕층 그리고 한지(韓紙)로 이루어진 지지층으로 구성되어 있어 19세기 당시의 불화는 기본적으로 안료층, 바탕층, 지지층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안료층과 바탕층의 접착은 아교를 사용하였고 지지층의 sheet 배첩은 호료(糊料)를 사용했음을 알 수 있었다. 2. 삼세불화의 지지층은 5겹으로 구성되어 있고 두 종류의 종이가 사용되었는데 바탕층과 접해 있는 1~2층은 순수한 닥섬유로 제조한 한지(韓紙)를 사용하였고 나머지 3개 층은 폐마섬유(廢麻纖維)에 닥섬유가 혼합된 종이를 사용하였다. 더 많은 자료가 확보되어야만 단언할 수 있지만 재질을 통해 당시의 상황을 파악해 보면 19세기 당시의 사회는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고 더욱이 사찰 제지업은 피폐해져 운영이 어려워 후면에 사용한 배첩지는 질이 떨어지는 폐마를 이용 했을 것으로 추측되었다. 3. 본 재료의 바탕층과 지지층간의 인장력을 고려하여 새롭게 제조해 보수용으로 사용한 바 본 공시재료의 보수용 배첩지로서 적합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봉정사 극락전 벽화조사 (I) (The mural painting investigation of Kuknakjon at Pongjongsa)

  • 김사덕;이은희;엄두성;조남철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20호
    • /
    • pp.175-206
    • /
    • 1999
  • In 1972, the mural painting of Kuknakjon, which is National Treasure No. 15, at Pongjongsa was taken to pieces. From 1999. 9. 8 to 1999. 9. 15,we were precisely investigated with infrared vidicon television, video camera and so forth. The result of investigation shows that contents of the mural painting consisted of paintings of flowers and birds, paintings of Taoist hermits with supernatural powers and old historic figure paintings (In the investigated mural paintings, there were paintings about pheasant or magpie on splendid peony, figures such as Lee tae baek(이태백) and Baek lakchon(백악천) known as old chinese poets, Chang yang(장량) and Hwangsok kong(황석공) known as old historic figures and Paebok(백복), and Choksongja(적송자) known as Taoist hermits.)It is noted that the mural painting was under the influence of the later Choson culture included Taoistic and folk artistic than buddhistic contents such as painting of Bodhisattva, Arhat and apsara. Later, each mural painting will be more investigated in respect of Buddhism art historic value, and we'll make conservative treatment plan based on its result.

  • PDF

처용무복포의 연구(I) -구조적 특징과 변천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stumes of Ch'oyong Dance(I) - focus on the structure and change-)

  • 박진아;조우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29-143
    • /
    • 1997
  • This study is about'The Costumes of Ch'oyong dance. (namely Ch'oyong-mu-bok; 처용무복)': emphasis on its structure and change. 1 studied Akhakguebum (the book of music and dance; 낙학궤범), Eui-Gue-Do (a collection of a series of paintings showing the whole processes of the royal courtesies and ceremonies; 의궤도) and some genre painting (풍증화). 'The costumes of Ch'oyong-Dance'were composed of robe(의), pants-skirt(대) , outer-skirt (상) , scarf-string(천의·길경) , shirt(한삼) , hat with mask (사교·가면) , belt(대) and shoes (혜) . According to the position, the colours of robe(의) and pants-skirt(군) were different. What is called, it is'the Colour of Five-Position (오방색) .'The Costumes of choyong-Dance' can be divided three factors by its symbolic means; i. e. shamanism, buddhism and bureaucratism. The pants-skirt(군), outer-skirts(상), scarf · string(천의·길경) and mask are considered as shamanic factor. However, the scarf(천의) , string(길경) and patterns(만화)which are decorated with many lotus patterns enclosed with vine are considered as buddhistic factor. And the hat (사모) , robe(의) , outer-skirt(상) , belt(대) and shoes(잔) are considered as bureaucratic factor. Ch'oyong is endowed with some power by these factors, and its symbolic means became stronger and enlarged by 'the Colour of five-position'. As time goes, the forms and details of robe had been changed noticeable; sleeve-width, neck-line and patterns. The shamanic, buddhistic and bureaucratic factors are reduced. These changes were derived from the changes of Ch'oyong·Dance. On the ground of the shape of mask and round-neckline robe(단영) , someone has an opinion that Ch'oyong is an aribian. However, according to this study, Ch'oyonh is Korean traditional thing; round-neckline robe already existed and settled in Silla dynasty and Ch'oyong-mask symbolized shamanic power.

  • PDF

고려시대 수월관음도의 의상에 나타난 문양연구 (A Study on Dress Pattern in SU WOL KWAN EUM DO of Koryo Dynasty)

  • 박옥련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11-122
    • /
    • 1992
  • Studying the dress style of the Buddhist Goddess of Mercy SU WOL KWAN EUM DO (Drawings on the Buddhist Goddess of Mercy who is watching the Moon reflected in the still water), it is composed of a splendid, jewel crown with five colors, a light and flimsy, non-colored veil with many kinds of gold·plated patterns. This gold·plated carapace figures on a scarlet ground are drawn on the veil and the oval-type flower figures mixed with a scarlet lotus blossom ard arranged. An arabesque pattern of BOSANGHWA (an imaginary, Buddhistic flower figure) is mainly used for both line decorations and necklace. Like this, various kinds and types of figures are in harmony in spite of many changes in figure design. The SU WOL KWAN EUM DO in Koryo dynasty is full of colorful, subtle, harmonious figures which are unique style, which cannot be found in japan, China, and so on. In other words, most of most of dress patterns which are shown in SU WOL KWAN EUM DO are China ink paintings with mountains and waters as its setting. In case of color painting, figure designs are seldom used. The dress pattern in SU WOL KWAN EUM DO of koryo dynasty is characteristic of its variety and magnificent colors.

  • PDF

조경식물 파초(Musa basjoo) 식재 양상과 그 의미 - 조선시대 옛 그림 분석을 중심으로 - (Aspects and Significance of Musa basjoo, a Landscaping Plant - Focused on Analysis of Old Paintings of Chosun Dynasty -)

  • 노재현;김영숙;고여빈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3-36
    • /
    • 2010
  • 파초의 상징적 의미와 이미지 그리고 식재 의미를 개관하는 한편 총 77엽의 조선시대 옛 그림 속 파초의 식재경향과 식재위치 그리고 파초가 등장하는 도엽의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파초 식재의 양상과 그 의미를 추찰(推察)할 목적으로 시도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파초는 기다림과 별리(別離), 미인 등의 꽃말뿐만 아니라 부귀와 기사회생(起死回生)을 상징하는 대용물이었으며, 도교적 의미로는 선인(仙人)의 풍취를 자아내는 대상이었다. 또한 불교적 언어로는 덧없는 인간사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탈속(脫俗)의 상징물이기도 하였다. 정원풍속도 및 고사인물도 또는 계회도에 빈번히 등장하는 파초는 탈속적 정취를 높이고 선비들의 아회(雅會)를 품격화하기 위한 소도구이며 장치로 보이는 바, 학과 사슴의 등장빈도가 높음은 이러한 경향을 반증한다. 또한 평생도(平生圖), 성시도(城市圖), 경직도(耕織圖) 등 특정 도상 속 파초의 의미는 부귀와 번영을 염원한 것으로 보이며, 사찰에 심겨진 파초는 인간사의 무상함을 환기시키는 탈속적 의미와 함께 '믿음의 구법'을 염원하는 의미도 함께 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파초 식재를 통한 기대 효과로 '비가 내릴 때 파초 잎을 울리는 소리경관'의 체험을 추구하고자 한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넓은 잎을 지닌 (벽)오동나무 또한 가옥 근처에 파초와 같이 빈번히 발견됨에서도 확인된다. 한편, 파초의 식재장소는 주로 사랑채를 중심으로 한 전정이나 측정에 주로 단식이나 모아 심기한 것으로 보이며, 건물 내 파초 식재 위치는 우(雨)경관의 청음(聽音)이 용이한 침실 근방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파초와 같이 등장하는 괴석 또는 암석의 표현은 일종의 의경(意景) 구축의 수단이며, 아취 있는 완상(玩賞)을 위한 소재 조합의 산물로 보인다. 또한 옛 그림 속 등장인물은 주연의 경우, 풍류 등 선비활동과 관련이 높았으며, 조연의 주요 행위는 생활활동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조선조 17 18세기 파초는 아취 있는 정원의 구성과 묘사를 위한 긴요한 상징물이었다. 파초 식재문화는 선비들의 수양론적 의미대상이기도 하였다. 우경적(雨景的) 이미지 제공 및 자강불식(自彊不息)과 기사회생의 정신을 담았던 조선조 선비문화의 퇴조와 함께 파초는 우리나라 도시공간에서도 그 궤적을 같이 하여 퇴락한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