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wn spot

검색결과 189건 처리시간 0.027초

Corynespora cassiicola에 의한 콩 갈색점무늬병(가칭) (A Leaf Spot of Soybean Caused by Corynespora cassiicola)

  • 유승헌;김종태;심형권
    • 한국균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74-78
    • /
    • 1991
  • 콩 잎에 발생한 갈색점무늬병반에서 분리한 Corynespora sp.는 C. cassiicola로 동정되었으며 이 균을 접종 실험한 결과 콩에 병원성을 나타내었다. 이 균의 생장적온은 $27^{\circ}C$였으며 $19^{\circ}C$$35^{\circ}C$에서는 균총생장이 저조하였다. 포자형성은 potato dextrose malt agar에서 매우 양호하였으며 V-8 juice agar와 potato dextrose agar에서는 중간정도였다. C. cassiicola에 대한 콩 품종의 감수성 정도를 비교하였던바 공시한 9개 품종 중 황금 콩이 저항성을 나타내었고 기타 품종은 저항성 및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 PDF

Biochemical Changes in Sorghum Leaves Infected with Leaf Spot Pathogen, Drechslera sorghicola

  • Khan, A.J.;Deadman, M.L.;Al-Maqbali, Y.M.;Al-Sabahi, J.;Srikandakumar, A.;Rizvi, S.G.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7권6호
    • /
    • pp.342-346
    • /
    • 2001
  • The physiological changes in sorghum (Sorghum vulgare Pers.) leaves infected with Drechslera sorghicola were investigated through five recognizable stages of disease development. Water-soaked yellowish brown spots developed two days after inoculation, turned brown with yellow halo, enlarged and coalesced at later stages of disease development. Healthy and infected leaves were analyzed for different biochemical constituents. The chlorophyll contents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 progress of infection. The levels of reducing and total sugars increased while non-reducing sugars decreased to a significant extent with the progress of disease. The concentration of total phenolics, orthodihydroxy phenols, free and glycosidic phenols showed significant changes due to infection, whereas basic and acid phenols showed little or no change with disease development. Levels of phenolic compounds increased four days after inoculation and decrease thereafter, but the concentration was higher at every stage of disease development relative to healthy tissues. Polyphenol oxidase and peroxidase enzyme activities increased to varying degrees at different stages of infection. Analysis of protein fraction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with the progress of disease.

  • PDF

Colletotrichum Disease of Mungbean Sprout by Colletotrichum acutatum

  • Kim, Dong-Kil;Lee, Sun-Chul;Kang, Jin-Ho;Kim, Hee-Kyu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9권4호
    • /
    • pp.203-204
    • /
    • 2003
  • Decayed samples of marketed mungbean sprout were collected from Sacheon, Suncheon, and Dangjin cities in Korea. Initial symptom on hypocotyls was dark-brown diamond speck, which developed into enlarged sunken brownish-black spot with irregular margin, followed by softening yellowish decay. Brown speck on cotyledon further developed into irregular lesions. This study isolated the fungus Colletotrichum sp. The fungal colony was pale orange, which turned greenish gray after 1 week at $25^{\circ}C$. Colony of reverse side in a petri dish was pink. Neither conidiomata nor setae were present in the culture. Typical fusiform conidia sized 7.5-15.0$\times$2.5-2.9 $\mu\textrm$were hyaline, aseptate, smooth, and had salmon color in mass. Conidiogenous cells were phialidic, hyaline, smooth, and cylindrical with terminal distinct collarette. Basedon these mycological characteristics, the casual organism was identified as Colletotrichum acutatum. This is first report of Colletotrichum acutatum in Korea.

Xanthomonas hortorum pv. hederae에 의한 헤데라 세균성점무의병 (Bacterial Leaf Spot of English Ivy Caused by Xanthomonas hortorum pv. hederae)

  • 이승돈;이정희;한경숙;서상태;김용기;허성기;나동수
    • 식물병연구
    • /
    • 제13권1호
    • /
    • pp.61-65
    • /
    • 2007
  • 2005년 용인의 헤데라 재배 온실에서 새로운 병해가 발견되었다. 처음에는 아래 잎에서 수침상 점무의가 형성되고 점점 커져 주위로 노란색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갈색의 반점을 형성하다가 잎 전체가 검게 말라 죽어 떨어진다. YDC 배지에서 병원세균을 순수 분리하였을 때 Xanthomonas속 세균의 전형적인 특징인 노란색 색소를 띤 세균이 형성되었다. 분리된 세균을 $10^8$ cfu/ml로 현탁한 후 헤데라의 잎에 주사 접종하여 병원성을 확인하였다. 지방산 조성 및 함량, 다양한 탄소원 이용정도 및 16s rDNA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분리세균 SL4821과 SL4822를 X. hortorum pv. hederae로 동정하였으며 이 병을 헤데라의 세균성점무의병으로 명명하였다.

포도나무 갈색무늬병의 최근 발생 동향과 다발생에 의한 과실의 당도저하 (Occurrence Tendency and Decrease of Fruits Brix According to Increasing Grapevine Leaf Spot Disease Caused by Pseudocercospora vitis)

  • 박종한;한경숙;이중섭;서상태;장한익;김흥태
    • 식물병연구
    • /
    • 제10권4호
    • /
    • pp.341-344
    • /
    • 2004
  • Pseudocercospora vitis에 의한 포도나무 갈색 무늬병은 우리나라 포도 재배지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병의 하나로 잎에 부정형 또는 원형의 갈색 무늬를 형성하며 병반의 크기는 2${\sim}$20mm 정도이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재배하고 있는 캠벨얼리 포도는 특히 이 병에 감수성이며 방제 상황에 따라서는 95%까지 심하게 발생하여 피해를 주는 포도의 주요 병이다. 심하게 병에 걸린 나무는 조기낙엽과 동화산물의 이동에 영향을 미쳐 생육과 이듬해 꽃눈형성이 억제되기도 하며, 과실의 당도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갈색무늬병의 피해해석을 구명하기 위해 포도나무의 발병엽률을 누적하여 "누적 발병엽률"을 산출하고, 이를 3개 집단으로 구분한 뒤 각 집단에 속하는 나무에서 수확한 포도의 당도를 측정한 결과 '상대적 당도'로 환산한 결과를 분석하여 Y = 0.0009$X^2$ - 0.371X + 116.45 ($R^2$ = 0.98)의 고도로 유의한 회귀식을 유도하였고, 이 방정식에 대입하여 병 발생이 심했던 집단의 나무에서 수확한 포도와 상대적으로 발생이 적었던 집단과는 약 20%의 당도차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접종방법에 따른 딸기모무늬병원균의 발병도 검증 및 친환경 방제 효과 (Disease Severity of Angular Leaf Spot Disease by Different Inoculation Method and Eco-Friendly Control Efficacy in Strawberry.)

  • 김다란;강근혜;조현지;윤혜숙;명인식;곽연식
    • 농약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5-40
    • /
    • 2016
  • 딸기 세균성모무늬병은 딸기를 기주로 하여 발생하며 큰 피해를 발생시킨다. 병원균의 전반은 관수의 형태, 감염된 모주의 이용 그리고 작업자에 의해 이루어지며 현재까지 명확한 화학적방제법이 개발되어 있지 않다. 2010년, 국내의 모무늬병원균에 대한 최초 보고에 따르면 병징으로서 잎 뒷면에 수침상의 각진 병반이 형성되며 습도가 높고 적합한 환경에서 세균침출액을 형성하게 되고 또한 진전된 경우 잎에서 적갈색의 병반이 형성된다고 보고하였다. 현재까지 이루어진 연구에 따르면 딸기 세균성모무늬병에 대하여 두 가지 품종이 저항성을 지니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으며 감염된 포장에서는 수확량의 10%를 감소를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모무늬병원균에 대한 국내에서의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져 있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딸기 모무늬병에 대하여 원인병원균이 Xanthomonas fragariae 병원균에 의하여 발생됨을 보고하는 바이며 병원성검증실험 진행한 결과 국내의 딸기재배 품종인 매향과 설향 중 매향이 감수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또한 NaDCC처리시 98%이상의 방제가가 확인되었으므로 친환경방제제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며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국내에 발생되어있는 딸기 세균성모무늬병에 대하여 기초적 자료로서 보고하는 바이다.

골프장 페어웨이에 적합한 크리핑 벤트그래스 품종 선발 (Selection of Creeping Bentgrass(Agrostis Palustris Huds.) Cultivar for Fairway in Golf Course)

  • 차영기;김경덕;박대섭;김두환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47-152
    • /
    • 2011
  • 본 연구는 페어웨이 조성에 적합한 크리핑 벤트그래스 품종을 선발하기 위해 수행 되었다. 'Shark'와 'CY-2' 품종의 시각적 품질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크리핑 벤트그래스 페어웨이에서 가장 많이 고려 되어야 하는 하절기 시각적 품질은 'Shark', 'CY-2', 'T-1', 'Alpha', 'L-93' 순이었다. 포지 조성 초기 엽록소함량이 가장 우수한 품종은 'Shark'와 'CY-2' 그리고 'T-1' 이다. 'T-1'은 하절기 색상이 매우 짙게 유지가 되었다. 조성 초기부터 'CY-2'와 'Shark'의 뿌리 길이가 길고 우수했으며 잔뿌리가 많아 수분 흡수가 매우 용이할 것으로 판단된다. 조성 초기부터 가장 우수한 식생 지수를 보인 것은 'Shark'와 'L-93' 그리고 'CY-2'였다. 가장 높은 밀도를 보인 품종은 'T-1' 이였으며 다른 품종과 다르게 하절기 밀도가 떨어지지 않고 오히려 증가하였다. 'T-1' 다음으로 'Shark'가 높은 밀도를 보였고, 'CY-2', 'Alpha', 'L-93'의 순으로 밀도가 높았다. 실험기간 동안 탄저병, 브라운패취, 달라스팟이 발병 하였으며 'CY-2'가 가장 내병성이 강하였고 3가지 병 모두 내병성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 5개 품종 중 'CY-2'와 'Shark'가 골프장 페어웨이용으로 가장 적합하였다.

시설하우스에서 Corynespora cassiicola에 의해 발생하는 오이 갈색무늬병 (A Target Leaf Spot Disease Caused by Corynespora cassiicola on Cucumber Cultivated in Green House)

  • 권미경;양광열;조백호
    • 식물병연구
    • /
    • 제10권2호
    • /
    • pp.121-125
    • /
    • 2004
  • 2000년도와 2001년도에 남부지방(구례, 별교, 영암)의 시설 내 오이재배지에서 갈색무늬병에 피해가 심하였다. 잎에서 전형적인 수침상 병반이 생기고 초기에 황색 halo를 지닌 갈색반점이 생긴 후 점차 불규칙하고 큰 병반으로 진전되어 때때로 낙엽을 유발하였다. 감염잎으로부터 분리한 병원균은 분생자경에 연쇄상 혹은 단일 분생포자를 형성하였고 분생포자는 거의 무색에서 올리브 갈색 내지는 갈색을 띠었으며 모양은 7-11개의 위격벽을 지닌 원통형,역곤봉형, 직립형, 만곡형 등이었다. 또한 분리 병원균의 ITS영역의 염기서열은 Corynespora cassciicola와 일치하였다. 형태적, ITS영역 분석을 기초로 분리된 병원균은 C. cassiicola로 동정하였다. 병원균의 생육은 3$0^{\circ}C$ Czapek Solution Agar 배지에서 가장 좋았으며, 발병환경 조사 결과 3$0^{\circ}C$에서 18시간 이상 습전시간이 유지될 때 발병이 높아, 고온과 식물의 긴 습전기간이 발병량의 증가를 가져오는 요인이었다. 또한 국내 품종들을 대상으로 오이갈색무늬병에 대한 감수성과 저항성 품종들을 선발하였다.

과산화석회 분의와 파종량이 침수 토중직파재배 벼의 입모와 수량에 미치는 영향 (Seedling Establishment and Yield of Direct Subsurface Seeded Rice as Influenced by $CaO_2$ Coating and Seeding Rates)

  • 임준택;권병선;김학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24-331
    • /
    • 1991
  • 벼 침수직파재배법 확립을 위해 파종량과 산소 발생제 처리를 달리하여 침수토중직파재배 싱험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침수토중직파에서 CaO$_2$ 분의처리나 CaO$_2$와 규조토의 혼합 의처리는 입모율은 크게 향상 시켰으나 $m^2$당 개체수가 증가함에 따라 도복발생 정도가 심해져 수량증대에는 크게 기여하지 못했다 2. 침수토중직파에서 적정파종량과 1주 파종입수는 CaO$_2$ 분의처리에서는 3.3Kg종자/10a와 1주 3입파였고 산소발생제 무처리의 경우 5.6Kg 종자/10a와 1주 5입파였다. 3. 경로 계수 맥석의 결과에 의하면 수량에 대하여 등숙률의 직접 효과가 가장 커 도복 억제를 통한 등숙률의 향상이 침수 토중 직파 재배의 수량 증대에 가장 중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First Feline Case of Otodectosis in the Republic of Korea and Successful Treatment with Imidacloprid/Moxidectin Topical Solution

  • Ahn, Ah-Jin;Oh, Dae-Sung;Ahn, Kyu-Sung;Shin, Sung-Shik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1권1호
    • /
    • pp.125-128
    • /
    • 2013
  • In April 2010, pruritic symptoms were recognized in 3 privately-owned Siamese cats raised in Gwangju, Korea. Examination of ear canals revealed dark brown, ceruminous otic exudates that contain numerous live mites at various developmental stages.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dult mites in which caruncles were present on legs 1 and 2 in adult females and on legs 1, 2, 3, and 4 in adult males while the tarsus of leg 3 in both sexes was equipped with 2 long setae, the mite was identified as Otodectes cynotis. Ten ear mite-free domestic shorthaired cats were experimentally infected with O. cynoti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10% imidacloprid/1% moxidectin spot-on. Live mites were recovered from 1 of 10 treated cats on day 9 post-treatment (PT) while no live mites were observed from the ear canals of treated cats on days 16 and 30 PT. The efficacy of 10% imidacloprid/1% moxidectin spot-on on O. cynotis in cats was, therefore, 90% on day 9 and 100% on days 16 and 30 PT. This is the first report of otodectosis in 3 cats naturally infested with O. cynotis in Gwang-ju, Korea. Both natural and experimental infestations were successfully treated with 10% imidacloprid/1% moxidectin spo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