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nchial Provocation Tests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1초

Nonspecific Bronchoprovocation Test

  • Lee, Myoung Kyu;Yoon, Hyoung Kyu;Kim, Sei Won;Kim, Tae-Hyung;Park, Seoung Ju;Lee, Young Min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0권4호
    • /
    • pp.344-350
    • /
    • 2017
  • Bronchial asthma is a disease characterized by the condition of airway hyper-responsiveness, which serves to produce narrowing of the airway secondary to airway inflammation and/or various spasm-inducing stimulus. Nonspecific bronchoprovocation testing is an important method implemented for the purpose of diagnosing asthma; this test measures the actual degree of airway hyper-responsiveness and utilizes direct and indirect bronchoprovocation testing. Direct bronchoprovocation testing using methacholine or histamine may have superior sensitivity as these substances directly stimulate the airway smooth muscle cells. On the other hand, this method also engenders the specific disadvantage of relatively low specificity. Indirect bronchoprovocation testing using mannitol, exercise, hypertonic saline, adenosine and hyperventilation serves to produce reactions in the airway smooth muscle cells by liberating mediators with stimulation of airway inflammatory cells. Therefore, this method has the advantage of high specificity and also demonstrates relatively low sensitivity. Direct and indirect testing both call for very precise descriptions of very specific measurement conditions. In addition, it has become evident that challenge testing utilizing each of the various bronchoconstrictor stimuli requires distinct and specific protocols. It is therefore important that the clinician understand the mechanism by which the most commonly used bronchoprovocation testing works. It is important that the clinician understand the mechanism of action in the testing, whether direct stimuli (methacholine) or indirect stimuli (mannitol, exercise) is implemented, when the testing is performed and the results interpreted.

Sex-based differences in factors associated with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in adolescents with childhood asthma

  • Kim, Young Hwan;Jang, Yoon Young;Jeong, Jieun;Chung, Hai Lee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4권5호
    • /
    • pp.229-238
    • /
    • 2021
  • Background: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BHR), an important physiological feature of asthma, is a prognostic marker of childhood asthma. Purpose: We aim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BHR in adolescents with childhood asthma. Methods: Two hundred and fifteen adolescents (≥13 years of age; 149 males, 66 females) who were diagnosed with asthma during childhood were enrolled, underwent methacholine challenge tests, and were divided into the BHR group (<25 mg/mL of provocation concentration causing a 20% fall in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FEV1] [PC20], n=113) or non-BHR group (≥25 mg/mL of PC20, n=102). We examined longitudinal changes in BHR and the risk factors for its persistence in the 108 adolescents for whom baseline data, including methacholine PC20 at age 6 years, were available.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assess the factors associated with BHR in adolescents. Results: Mold sensitization (adjusted odds ratio [aOR], 5.569; P=0.005) and increased blood eosinophil count (aOR, 1.002; P=0.026) wer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BHR in boys but not girls. The odds of BHR decreased by 32% with each 1-year increase in age in boys (aOR, 0.683; P=0.010) but not girls. A reduced FEV1/forced vital capacity ratio (<90%) was independently related with BHR in female patients only (aOR, 7.500; P=0.007). BHR decreased with age throughout childhood. A low methacholine PC20 at age 6 years wa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persistent BHR throughout childhood in male and female patients, whereas early mold sensitization was a risk factor for persistent BHR in male patients only (aOR, 7.718; P=0.028). Conclusion: Our study revealed sex-specific differences in the factors associated with BHR in adolescents with childhood asthma. Our findings suggest the risk factors that might affect asthma transition from childhood to adolescence and adulthood.

만성 기침에서 스테로이드 흡입제의 역할 (The Role of Inhaled Corticosteroid in the Management of Chronic Cough)

  • 이경훈;장승훈;이정화;엄광석;반준우;김동규;신태림;박상면;이명구;김철홍;현인규;정기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0권2호
    • /
    • pp.221-227
    • /
    • 2006
  • 연구배경 : 만성 기침은 정밀 검사를 추가하여도 진단율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고, 확진은 특이적 치료에 반응할 때에만 가능하다. 스테로이드는 비특이적 항염증 작용을 가지므로 만성 기침에 효과적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원인 진단에 대한 진료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만성 기침에 대한 흡입 스테로이드의 반응률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방 법 : 3주 이상의 만성 기침 환자를 대상으로 처음 내원하였을 때 객담 호산구, 메타콜린 기관지 유발검사, 부비동 방사선촬영 등의 기본적인 객관적 검사를 시행하고, 동시에 budesonide turbuhaler $800{\mu}g/day$를 10일간 투여하고 추적 방문토록 하였다. 추적 방문일에 환자 증상의 개선도에 따라 흡입 스테로이드 반응군과 불응군으로 분류하였고 검사의 진단 성적을 조사하였으며, 각 진단에 따른 스테로이드 반응률을 알아보았다. 결 과 : 총 69명의 만성 기침 환자가 최종 분석되었고, 흡입 스테로이드의 투여로 증상의 호전이 있었던 경우는 79.7%였다. 진단된 질환에 따른 흡입 스테로이드의 반응률은 차이가 없었다. 투여 기간 동안 부작용은 거의 관찰되지 않아서 우수한 내약성을 보였다. 결 론 : 만성 기침 환자를 진료할 때 기본 검사를 시행하는 동시에 흡입 스테로이드를 단기간 투여하는 것은 매우 안전하며, 검사의 진단적 한계를 극복하고 초기에 진료 지침을 세우는 방법이 될 수 있다.

Allergic Bronchopulmonary Aspergillosis Coupled with Sinusitis in a Nonasthmatic Patient

  • Park, Sung-Woon;Choi, Jae-Chol;Kim, Jae-Yeol;Park, In-Won;Choi, Byoung-Whui;Shin, Jong-Wook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1권4호
    • /
    • pp.278-281
    • /
    • 2011
  • Allergic bronchopulmonary aspergillosis (ABPA) is a complex clinical entity resulting from an allergic immune response to Aspergillus species, and most often occurs in patients with asthma. ABPA is rarely observed in the absence of asthma, which is, in fact, the principal criterion for its diagnosis. Our patient was a 53-year-old woman with no history of bronchial asthma. She presented with a 1-month history of cough, mucopurulent nasal discharge, and localized pulmonary consolidation. Peripheral blood eosinophilia and elevated serum IgE were observed. Sinus radiography showed right maxillary sinusitis. Pathologic examination of bronchoscopic biopsy specimens revealed conglomerates of fungal hyphae. Pulmonary function and bronchial provocation tests were within normal ranges. The patient was successfully treated for 3 months with itraconazole and oral prednisolone. There has been no evidence of recurrence over a 7-month follow-up. ABPA coupled with sinusitis in a nonasthmatic patient is a very rare occurrence and warrants reporting.

만성 기침환자에서 기관지 과민성, 아토피와 비만의 상관관계: 두 기관 연구 (The Association of Obesity, Airway Hyperresponsiveness and Atopy in Chronic Cough Patients: Results of a Two-Center Study)

  • 박소영;박종원;오연목;이양근;이영목;박용범;임성용;천식연구회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1권1호
    • /
    • pp.24-29
    • /
    • 2011
  • Background: The rising prevalence of asthma worldwide may be associated with the rising prevalence of obesity in developed nations. Although several studies have suggested a relationship between asthma and obesity, controversy still remain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asthmatic factors such as atopy, eosinophilia, serum total Ig E and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in chronic cough patients. Methods: This study was a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in two centers done between January 2007 and June 2008. The subjects included individuals who had a chronic cough. We examined body mass index (BMI) to measure obesity and pulmonary function. We did a metacholine provocation test for airway hyperresponsiveness (AHR), a skin prick test for atopy, and tests for blood eosinophils and serum IgE. Results: A total of 1022 subjects were included. Airway hyperresponsiveness was not related with obesity (p=0.06), and atopy incidence was significant higher in non obese patients (p=0.00).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rum IgE and blood eosinophil counts between obese and non obese patients. Forced expiratory volue in one second ($FEV_1$)/forced vital capacity (FVC)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obese patients (p=0.03), but FEV1 and FVC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obese and non obese patients. Conclusion: There is no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The nonobese group appears to have more atopy.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and atopy need further investigation.

만성 기침의 진단 성적과 경제적 접근 모델 (Diagnostic Performance of Routine Objective Tests and Cost-Effective Approach for Chronic Cough)

  • 전강;장승훈;송혜근;하준욱;엄광석;반준우;김동규;신태림;박상면;박용범;김철홍;현인규;정기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7권6호
    • /
    • pp.535-542
    • /
    • 2004
  • 연구배경 : 본 연구는 만성 기침 환자의 원인 진단을 위하여 흔히 사용되는 검사의 진단 성적을 알아보고, 이들에 대한 경제적 진료모델을 구축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방 법 : 3주 이상의 만성 기침 환자를 대상으로 첫 내원일에 혈청 총 IgE, 말초혈액 호산구, 객담 호산구, 메타콜린 기관지유발검사, 부비동 촬영을 시행하는 동시에 prednisolone 0.5mg/kg를 7일간 경구 투약하고 추적 방문토록 하였다. 추적일에 환자 증상의 개선도에 따라 스테로이드 반응군과 불응군으로 분류하고 검사의 진단성적을 조사하였다. 조사된 환자 검사 결과와 스테로이드 반응률을 근거로 만성 기침 환자를 진료하는데 소요되는 의료 비용을 가상적인 3가지 진료 모델에 대입하여 비교하였다. 결 과 : 60명의 만성 기침 환자가 최종 분석되었고, 스테로이드 경구 투여로 기침의 호전이 있었던 경우는 90.0%였다. 내원시에 단순흉부방사선 검사, 기본 폐기능 검사, 객담 호산구 검사, 부비동방사선 검사를 시행하면서 동시에 단기간 스테로이드를 투여하여 약제 반응성을 살피는 것이 진단 성적을 유지하면서 향후 치료 방침을 세우는 비용-효과적 방법이었다. 결 론 : 만성 기침 환자를 진료할 때 검사를 시행하는 동시에 스테로이드를 단기간 투여하는 것이 검사의 진단적 한계를 극복하고 최종 진료 지침을 세우는 동시에 사회적 의료비용을 줄이는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Leukotrienes C4 synthase와 cysteinyl leukotriene receptor 1 유전자 다형성과 한국 소아 천식 표현형 및 임상 지표와의 연관성 연구 (Association study of polymorphism in leukotriene C4 synthase and cysteinyl leukotriene receptor 1 genes with phenotype of asthma and clinical parameters in Korean children)

  • 심정연;김병주;송영화;강미진;이소연;김효빈;유진호;홍수종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6호
    • /
    • pp.680-688
    • /
    • 2009
  • 목 적 : 류코트리엔은 천식의 병태생리에 중요한 향염증성 매개체이며, 천식이나 운동유발성 천식에서 증가되어 있다. Leukotriene C4 synthase (LTC4S)의 A(-444)C 유전자 다형성과 cysteinyl leukotriene receptor 1 (CysLTR1) T(+927)C 유전자 다형성이 한국 소아의 천식, 아토피 천식 및 운동유발성 천식과 연관이 있는지 알아보고, 폐기능, 기관지과민성, 총IgE 치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총 856명의 천식 환자와 254명의 천식이 없는 정상아를 대상으로 하여 피부반응검사, 폐기능, 메타콜린 기관지 유발검사, 총 IgE 검사를 실시하였고, 천식 환자를 아토피 천식(699명), 운동유발성 천식(277명)으로 나누어 유전자 다형성과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LTC4S A9-444)C, CysLTR1 T(+927)C 유전자형은 PCR-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LTC4S A(-444)C 및 CysLTR1 T(+927)C 유전자 다형성은 천식, 아토피 천식, 운동유발성 천식과의 연관성이 없었고, 폐기능, $PC_{20}$, 총IgE에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아토피 천식에서 총 호산구수는 변종형 LTC4S 유전자형에서 야생형 보다 높았다. LTC4S A(-444)C와 CysLTR1 T(+927)C의 유전자-유전자 상호 작용도 천식, 아토피 천식, 운동유발성 천식과의 연관이 없었다. 결 론 : 한국 소아 천식의 표현형, 폐기능, 기관지과민성, 총IgE 농도는 LTC4S A(-444)C와 CysLTR1 T(+927)C 유전자 다형성, 혹은 유전자-유전자 상호작용과 연관이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만성기침 환자의 원인적 고찰 및 기관지 과민성 (Airway hyperresponsiveness and etiology in patients with chronic cough)

  • 김경호;이규택;박성우;오제호;기신영;문승혁;정성환;김현태;어수택;김용훈;박춘식;진병원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1호
    • /
    • pp.146-153
    • /
    • 1997
  • 연구배경 : 만성기침은 비흡연 성인호흡기환자의 14% - 23%에서 관찰되는 흔한 호흡기 증상이다. 만성기침의 원인으로는 후비루증후군이 가장 흔하며 기침형 천식도 만성기침 환자의 29%에서 보고되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정확한 통계는 없다. 이에 저자들은 기관지과민성을 측정하여 만성기침의 원인이 되는 후비루 증후군, 기침형 천식, 단순 기관지염의 빈도를 조사하였고, 각 질환군에서 아토피와 흡연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 3주이상의 만성기침을 주소로 내원하여 흉부청진과 단순 흉부사진에서 정상소견을 보이는 46명의 만성기침 환자와 기관지천식 환자 45명, 알레르기성비염 환자 16명, 정상대조군 25명을 대상으로 병력의 문진, 진찰소견, 폐기능 검사, 비특이적 기관지 유발검사, 즉시형 피부반응검사를 시행하였고 단순 흉부사진 및 부비동 사진을 촬영하였다. 결 과 : 만성기침 환자에서 기침형 천식은 17.4%, 단순기관지염은 21.7%, 후비루 증후군은 35%, 원인을 규명하지 못한 경우가 25.9% 였다. 만성기침환자중 기관지 과민반응의 양성율은 35% 로 정상 대조군과 알레르기성 비염군과 비교하여 의미있게 기관지 과민성이 증가되어 있었고, 후비루 증후군이 있는 환자중 44% 에서 기관지 과민반응에 양성이었다. 만성기침환자에서 기관지 과민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동반된 호흡기 증상의 유무와 관련성 있는 경향을 보일뿐, 후비루 증후군, 코증상, 흡연, 폐환기 기능이상, 피부반응검사, 부비동염의 유무와는 무관하였다. 또한 각 질환군에서 아토피나 흡연과의 연관성은 없었다. 결 론 : 만성기침환자는 정상대조군과 알레르기성 비염에 비해 기관지 과민성이 증가되어 있었으나 기관지 과민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호흡기 증상의 유무만이 관련성 있는 경향을 보였으며 아토피와 흡연과의 연관성은 관찰할 수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