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ken Bell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4초

고대 누금 세공기법 제작기술 연구 (The study of handiwork techniques of ancient granule)

  • 문환석;조남철;홍종욱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22호
    • /
    • pp.81-92
    • /
    • 2001
  • The replica experiment of golden bell excavated from the East Three-Story Pagoda at the Gamunsa temple was carried out in order to know the handiwork technique of ancient granule. The size of 0.3mm granule was attached to the golden bell which was 3.4mm bell body by soldering. When we tried to attach the granule by a modern metalwork, we could know that this technique was hard to make the replica bell. We could prove how to adhere strongly to the golden granule by tension testing. First of all, we made the soldering of the same composition as the golden bell excavated from the Gamunsa temple and then prepared specimens for testing to measure the tension strength. It showed that the broken position was not a soldering part. This result showed how the ancient granule could maintain without a break for a long time.

  • PDF

콘텐츠를 위한 한ㆍ불 정형시가 낭송법의 비교 고찰 (A study of reciting the formal poetries of Korea and French in digital era - Shijo(Korean verse) vs Sonnet (French))

  • 이산호
    • 한국시조학회지:시조학논총
    • /
    • 제19권1호
    • /
    • pp.85-106
    • /
    • 2003
  • 본질적으로 입으로 소리내어 읊조리고 청각으로 감상하기 위해 만들어지고, 일정한 형식 안에서 음성의 조화와 운율의 음악성을 중시한 소네트와 시조의 표현형식은 전반적으로 기의signifie와 관련하여 고찰되어야 한다. 보들레르의 <깨진 종>과 김종서의 <삭풍가>을 표현형식의 의미작용을 중심으로 분석해 본 결과 시적 자아의 정서는 표현형식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소네트나 시조는 의미, 율격, 각운, 음성구조, 리듬 등 여러 개별적 요소들의 집합체가 아니라 이 모든 요소들이 서로 상호 작용하는 통일된 유기체이다. 시대의 흐름에 발맞춰 낭송법에 대한 이론을 체계적으로 정립하여 시를 콘텐츠화 하여 유통방식의 변화를 꾀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그 자체가 표현가치를 가지는 표현형식은 낭송에 있어서 최우선 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기본원리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