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iler

검색결과 1,603건 처리시간 0.034초

육계사에서의 미생물 활성 토탄의 악취저감 효과 (Odor reduction effect of microbially activated peat in broiler houses)

  • 김규래;이상준;김태연;크리스디안티;술히 아우파;민현숙;고경찬;조호성;오연수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11-116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eduction effect of microbially activated peat on odor generated by livestock farms. The odor gas was measured by stirring the livestock manure sample with the existing litter and the microbially activated peat (Healtha Peat) was developed by this research team. In outdoor farm experiment, the measurements were performed by comparing broilers farm using rice husks and microbially activated peat as litter. The weight, mortality, shipment date, and odor levels (NH3)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experiment. The result showed that NH3 levels were reduced by 100% in the Healtha Peat mixed group, Healtha Peat and rice husks mixed group. In the peat mixed group, Healtha Peat and saw dust mixed group showed reduce value at 99.6% and 99.1%, respectively. However the rice husks mixed group and saw dust mixed group showed a relatively weak NH3 reduction effect with values of 57.5% and 84.8%, respectively. After 3 months, the Healtha Peat mixed group and Healtha Peat and rice husks mixed group showed the highest NH3 reduction effect persistence. In the outdoor farm experiment, NH3 was present in farms using rice husks, but not in farms using Healtha Peat. In farms using Healtha Peat, the mortality and NH3 were reduced by 75% and >90%, respectively. The average body weight increased 18% and resulted to 10% decrease in the shipping date. These results implied that microbially activated peat has a clear effect on farm NH3 reduction and affects the productivity of farm animals.

Acidification of drinking water improved tibia mass of broilers through the alterations of intestinal barrier and microbiota

  • Zhang, Huaiyong;Guo, Yujun;Wang, Ziyang;Wang, Yongshuai;Chen, Bo;Du, Pengfei;Zhang, Xiangli;Huang, Yanqun;Li, Peng;Michiels, Joris;Chen, Wen
    • Animal Bioscience
    • /
    • 제35권6호
    • /
    • pp.902-915
    • /
    • 2022
  • Objective: Diet acidification supplementation is known to influence intestinal morphology, gut microbiota, and on phosphorus (P) utilization of broilers. Alterations in intestinal barrier and microbiota have been associated with systemic inflammation and thus regulating bone turnover. Hence the effect of acidifier addition to drinking water on tibia mass and the linkages between intestinal integrity and bone were studied. Methods: One-d-old male broilers were randomly assigned to normal water (control) or continuous supply of acidified water (2% the blend of 2-hydroxy-4-methylthiobutyric acid, lactic, and phosphoric acid) group with 5 replicates of 10 chicks per replicate for 42 d. Results: Acidification of drinking water improved the ash percentage and calcium content of tibia at 42 d. Broilers receiving acidified water had increased serum P concentration compared to control birds. The acidified group showed improved intestinal barrier, evidenced by increased wall thickness, villus height, the villus height to crypt depth ratio, and upregulated mucin-2 expression in ileum. Broilers receiving drinking water containing mixed organic acids had a higher proportion of Firmicutes and the ratio of Firmicutes and Bacteroidetes, as well as a lower population of Proteobacteria. Meanwhile, the addition of acidifier to drinking water resulted in declined ileal and serum proinflammatory factors level and increased immunoglobulin concentrations in serum. Concerning bone remodeling, acidifier addition was linked to a decrease in serum C-terminal cross-linked telopeptide of type I collagen and 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 reflecting bone resorption, whereas it did not apparently change serum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that is a bone formation marker. Conclusion: Acidified drinking water increased tibia mineral deposition of broilers, which was probably linked with higher P utilization and decreased bone resorption through improved intestinal integrity and gut microbiota and through decreased systemic inflammation.

Effect of feed restriction on the maintenance energy requirement of broiler breeders

  • da Silva Teofilo, Guilherme Ferreira;Lizana, Rony Riveros;de Souza Camargos, Rosiane;Leme, Bruno Balbino;Morillo, Freddy Alexander Horna;Silva, Raully Lucas;Fernandes, Joao Batista Kochenborger;Sakomura, Nilva Kazue
    • Animal Bioscience
    • /
    • 제35권5호
    • /
    • pp.690-697
    • /
    • 2022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ad libitum and restricted feeding regimen on fasting heat production (FHP) and body composition. Methods: Twelve Hubbard broilers breeders were selected with the same body weight and submitted in two feeding regimes: Restricted (T1) with feed intake of 150 g/bird/d and ad libitum (T2). The birds were randomly distributed on the treatments in two runs with three replications per treatment (per run). The birds were adapted to the feed regimens for ten days. After that, they were allocated in the open-circuit chambers and kept for three days for adaptation. On the last day, oxygen consumption (VO2) and carbon dioxide production (VCO2) were measured by 30 h under fasting. The respiratory quotient (RQ) was calculated as the VCO2/VO2 ratio, and the heat production (HP) was obtained using the Brower equation (1985). The FHP was estimated throughout the plateau of HP 12 hours after the feed deprivation. The body composition was analyzed by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scanning at the end of each period. Data were analyzed for one-way analysis of variance using the Minitab software. Results: The daily feed intake was 30 g higher to T2 (p<0.01) than the T1. Also, the birds of the T2 had significatively (p<0.05) more oxygen consumption (+3.1 L/kg0.75/d) and CO2 production (+2.2 L/kg0.75/d). That resulted in a higher FHP 359±14 kJ/kg0.75/d for T2 than T1 296±17.23 kJ/kg0.75/d. In contrast, the RQ was not different between treatments, with an average of 0.77 for the fasting condition. In addition, protein and fat composition were not affected by the treatment, while a tendency (p<0.1) was shown to higher bone mineral content on the T1. Conclusion: The birds under ad libitum feeding had a higher maintenance energy requirement but their body composition was not affected compared to restricted feeding.

사료내 섬유소 수준이 브로일러의 소화기 발달과 장 내용물의 통과 시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ietary Fiber Levels on the Size of Brolier′s Gut and Chromium Turnover Time in Each Segment)

  • 남기홍;씨 완델 칼손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9-13
    • /
    • 1987
  • 3주령 부로일러형 병아리를 암수 혼합하여 12처리에 battery 당 10마리씩 2반복의 4$\times$3$\times$2형 요인 실험설계에 의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사료는 0, 10 그리고 20%의 밀기울 첨가구와 20% 밀기울에 0.008 %의 cellulase를 첨가하여 이용하였다. 5주간 사양이 끝난 후 위의 4가지 다른 비율로 밀기울이 혼합된 사료에 1%의 chromic oxide를 배합하여 하루 100g씩 급여하였다. 2일간의 예비기간을 거친 후 다음 2일동안 사료급여후 2시간, 4시간, 8시간 마다 하루 3번씩 분을 취채하여 다음 분석을 위하여 빙점 이하에서 보관하였다. 2일 동안의 분 채취를 끝낸후 각 battery에서 임으로 5마리씩 채취하여 도살 후 곧 소화기 전부(식도 첫 부분에서 항문까지)를 수집하여 각 부위별로 (근위, 십이지장과 공장, 회장, 맹장, 직장) 묶은 다음 각 부위의 길이를 측정하였으며 근위는 내용물을 제거한 후 무게를 측정하였다. 시험결과에 의하면 밀기울 첨가 수준이 다른 구와 Cellulase를 첨가한 구들간에 소화기의 길이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대조구에서 각 부위에서 근위의 무게는 현저히 (P〈0.05) 가벼웠으며 소화기 각 부위에서 chromium이 머무는 시간은 밀기울 처리수준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 PDF

기계학습을 활용한 계란가격 예측 모델링 (Modeling for Egg Price Prediction by Using Machine Learning)

  • 조호현;이대겸;채영훈;장동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5-17
    • /
    • 2022
  • 2020년 하반기부터 2021년 초까지 발생한 조류인플루엔자의 여파로 1,780만수의 산란계가 살처분되면서 계란 공급 부족으로 계란 1판에 1만원을 넘는 사태가 벌어지기도 했다. 이에 정부는 물가 안정 대책으로 1,000억원 이상의 국고를 계란 수입에 투입하였지만, 계란 가격의 안정화는 쉽지 않았다. 계란 가격의 급격한 변동성은 소비자와 양계농가 모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계란 가격의 안정화 방안을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머신러닝 회귀분석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계란 가격을 예측하였으며, 가격 예측을 위해서 대한양계협회 2012~2021년도의 월간 산란계 생산통계와 국가통계포털(KOSIS)의 도축실적 등 총 8개의 독립변수를 선택하였다. 실제 가격과 모델에 의한 예측 가격의 차이를 나타내는 평균 제곱근 오차(RMSE)는 약 103원이며, 이는 개발된 모델이 계란 가격을 비교적 잘 예측한 결과라고 판단된다. 정확한 계란 가격 예측은 산란계 계란 생산주령의 유연한 조정과 산란계 입식에 대한 의사결정을 도울 수 있고, 계란 가격 안정성 확보에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 PDF

Xylanase supplementation in energy-deficient corn-based diets: impact on broiler growth, nutrient digestibility, chyme viscosity and carcass proximates

  • Bernadette Gerpacio Sta. Cruz;Jun Seon Hong;Myunghwan Yu;Elijah Ogola Oketch;Hyeonho Yun;Dinesh D. Jayasena;Jung-Min Heo
    • Animal Bioscience
    • /
    • 제37권7호
    • /
    • pp.1246-1254
    • /
    • 2024
  • Objective: The goal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various concentrations of xylanase in energy-deficient corn-based diets on the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nutrient digestibility, and digesta viscosity in broilers from 7 to 35 days of age. Methods: A total of 280 seven-day-old Ross 308 broilers were randomly allocated to one of the five dietary treatments following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with 8 replicates and 7 birds per cage. The treatments were: i) positive control (PC, without xylanase); ii) NC-1 (80 kcal/kg ME reduced from PC); iii) NC-2 (100 kcal/kg ME reduced from PC); iv) NCX-1 (NC-1 + 2,000 U/kg xylanase); and v) NCX-2 (NC-2 + 3,000 U/kg xylanase). Body weight, weight gain, feed intake, and feed conversion ratio were determined weekly to evaluate growth performance. One bird per pen was sacrificed for ileal digesta collection to determine the viscosity and digestibility of energy, dry matter, crude protein on days 24 and 35, however breast and leg meat samples were obtained for proximate analysis (moisture, crude protein, fat, and ash) on day 35. Results: Birds fed diets supplemented with xylanase regardless of the amount had higher (p<0.05) body weights, daily gains, and improved feed efficiency compared to NC diets all throughout the experimental period. Feed intake was not affected (p>0.05) by the addition of xylanase. Moreover, lowered (p<0.05) viscosity of the ileal digesta were observed upon xylanase inclusion in the diets compared to the birds fed NC diets on day 24. Ileal nutrient digestibility and meat proximate composition were not affected (p>0.05) by xylanase.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indicated that the xylanase at 2,000 U/kg and 3,000 U/kg levels compensates for the 80 kcal/kg and 100 kcal/kg dietary energy levels, respectively, without having adverse effects on the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nutrient digestibility, and digesta viscosity of broilers.

Protective effect of Macleaya cordata isoquinoline alkaloids on lipopolysaccharide-induced liver injury in broilers

  • Jiaxin Chen;Weiren Yang;Hua Liu;Jiaxing Niu;Yang Liu;Qun Cheng
    • Animal Bioscience
    • /
    • 제37권1호
    • /
    • pp.131-141
    • /
    • 2024
  • Objective: This experiment aimed to explore the protective action of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isoquinoline alkaloids (IA) from Macleaya cordata on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liver injury in broilers. Methods: Total 216 healthy broilers were selected in a 21-d trial and assigned randomly to the following 3 treatments: control (CON) group, LPS group, and LPS+IA group. The CON and LPS groups were provided with a basal diet, whereas the LPS+IA group received the basal diet supplemented with 0.6 mg/kg Macleaya cordata IA. Broilers in LPS and LPS+IA groups were intraperitoneally injected with LPS (1 mg/kg body weight) at 17, 19, and 21 days of age, while those in CON group were injected with equivalent amount of saline solution. Results: Results showed LPS injection caused systemic and liver inflammation in broilers, inhibited immune function, and ultimately lead to liver injury. By contrast, supplementation of IA ameliorated LPS-induced adverse change in serum parameters, boosted immunity in LPS+IA group. Furthermore, IA suppressed the elevation of hepatic inflammatory cytokines and caspases levels induced by LPS, as well as the expressions of genes related to the toll-like receptor 4 (TLR4)/myeloid differentiation primary response 88 (MyD88)/nuclear factor-kappa B (NF-κB) pathway. Conclusion: Dietary inclusion of 0.6 mg/kg Macleaya cordata IA could enhance immune function of body and inhibit liver damage via inactivating TLR4/MyD88/NF-κB signaling pathway in broilers.

육용계(肉用鷄)에서 가식육량(可食肉量)의 추정(推定)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Estimation of Edible Meat Weight in Live Broiler Chickens)

  • 한성욱;김재홍
    • 농업과학연구
    • /
    • 제10권2호
    • /
    • pp.221-234
    • /
    • 1983
  • 육용계(肉用鷄)에서 가식육량(可食肉量)을 효과적(效果的)으로 추정(推定)할 수 있는 방법(方法)을 구명(究明)코자 W. Cornish(CC) 종(種)과 S. C. W. Leghorn종(種) (LL) 그리고 이 두 순종(純種)의 상반교잡종(相反交雜種)(CL. LC)을 각각(各各) 60수(首)씩 계(計) 240수(首)를 공시(共試)하여 체중(體重) 및 체형(體型)의 구성요소(構成要素)들의 크기와 요소(要素)들 간(間)의 상관관계(相關關係), 그리고 가식육량(可食肉量) 추정결과(推定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8주령시(週齡時) 체중(體重)과 사료효율(飼料效率)은 W. Cornish 종(種)에서 각각(各各) 1,819g과 2.2%였고, S. C. W. Leghorn종(種)에 각각(各各) 668g과 3.3%로 정상발육치(正常發育直)였다. 2) 체중(體重)에 대(對)한 가식육량(可食肉量)의 비율(比率)은 W. Cornish 종(種)에서 6, 8 및 10주령(週齡)에 각각(各各) 34.7%, 36.8%, 37.5%였고 S. C. W. Leghorn 종(種)은 각각(各各) 30.7%, 30.5% 및 32.3%였으며, 잡종(雜種)들은 중간(中間) 값을 보이는데 각(各) 계종간(鷄種間) 차이(差異)는 유의성(有意性)이 인정 되었다. 3) 체중(體重)에 대(對)한 방혈량(放血量)의 비율(比率)은 계종간(鷄種間) 차이(差異)가 뚜렸하지 않으나 두부중량(頭部重量), 우모중량(羽毛重量) 그리고 불가식(不可食) 내장중량(內臟重量)의 비율(比率)은 각주령(各週齡) 공(共)히 W. Cornish 종(種)에서 유의적(有意的)으로 적고 각중(脚重)과 복강지방량(腹腔脂肪量)은 S. C. W. Leghorn 종(種)에서 유의적(有意的)으로 적어서 계종간차(鷄種間差)가 뚜렷하다. 한편 가식부위(可食部位)에서 흉부(胸部)와 퇴경부(腿脛部)는 각주령(各週齡) 공(共)히 C Cornish종(種)에서 유의적(有意的)으로 크며, 가식내장(可食內臟)은 S. C. W. Leghorn종(種)에서 유의적(有意的)으로 크고, 경부(頸部)와 익부(翼部) 및 배부(背部)는 주령(週齡)에 따라 계종간차이(鷄種間差異)가 일관성이 없다. 4) 조사(調査)된 체형구성요소(體型構成要素)들의 크기는 W. Cornish종(種)에서 각주령(各週齡) 공(共)히 유의적(有意的)으로 크고, 특(特)히 10주령(週齡)에서 잡종(雜種)들 간(間)에도 대부분(大部分) 유의차(有意差)가 인정되었다. 5) 흉각(胸角)을 제외(除外)하고 대부분(大部分)의 체형구성요소(體型構成要素)들이 가식육량(可食肉量)과 높은 상관도(相關度)를 보이고 있어 체위측정치(體位測定値)들로 가식육량(可食肉量)을 비교적(比較的) 정확히 추정(推定)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6) 가식육량(可食肉量)을 체중(體重)에 의(依)해 추정(推定)할 때의 정확도(正確度)로서 체위측정치(體位測定値)들로 추정(推定)할 경우 10주령(週齡)에서 W. Cornish종(種) $Y=-1,475.581 +5.054X_{26}+3.080X_{24}+3.772X_{25}+14.321X_{35}+1.922X_{27}$였고 S. C. W. Leghorn종(種)은 $Y=-347.407+4.549X_{33}+3.003X_{31}$였으며 W. Cornish 종(種)을 부(父)로한 잡종(雜種)(CL)은 $Y=-1,616.793+4.430X_{24}+8.566X_{32}$, S. C. W. Leghorn종(種)을 부(父)로한 잡종(雜種)(LC)은 $Y=-603.938+2.142X_{24}+3.039X_{27}+3.289X_{33}$이었다. 위에서 설명변수(說明變數)들은 $X_{24}$=흉위(胸圍), $X_{25}$=흉폭(胸幅), $X_{26}$=흉장(胸長), $X_{27}$=흉골장(胸骨長), $X_{31}$=퇴경부(腿脛部) 둘레, $X_{32}$=경골장(頸骨長), $X_{33}$=각장(脚長), $X_{35}$=각경(脚徑)이다. 7) 이상(以上)의 결과를 종합(綜合)하여 볼때 가식육(可食肉)의 비율(比率)은 계종(鷄種)과 주령(週齡)에 따라 현저한 차이(差異)를 보이고 있고, 이들의 추정(推定)은 좀 복잡(複雜)하지만 체형측정치(體型測定値)들로서도 비교적(比較的) 정확(正確)히 추정(推定)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사료의 희석 및 무급여일 설정방법에 의한 조기제한사양이 육계의 보상성장과 사료효율 및 복강지방 축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arly-life Feed Restriction with Diet, Dilution or Skip-feeding Programs on Compensatory Growth, Feed Efficiency, and Abdominal Pat, Pad Deposition in Broilers)

  • 이규호;오용석;함영훈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7-43
    • /
    • 2002
  • 본 시험은 왕겨에 의한 사료의 희석과 무급여일 설정방법에 의한 조기제한사양이 육계의 보상성장과 사료효율 및 체지방 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7일령된 무감별 육계 300수를 5처리 3반복, 반복당 20수씩 공시하여 7일령에서부터 49일령까지 실시하였다. 대조구(C)는 7일령부터 49일령까지 전기간 육계 전기사료와 후기사료를 자유채식을 시켰으며, 시험구(71-74)들은 모두 7일령부터 14일령까지 육계전기사료와 왕겨를 50:50(wt/wt)으로 혼합한 희석사료를 급여하였으며, 제한사양기간동안 T1은 희석사료를 자유채식시켰으며, T2는 1일절식-3일급여, T3는 1일절식∼2일급여 및 T4는 1일절식∼1일급여하였고, 제한 사양이 끝난 시험구들은 전기사료 및 후기사료를 자유채식시켰다. 제한사양기간을 포함한 21일령까지의 증체량과 21일령 체중 모두 T1은 대조구와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다른 시험구들은 대조구보다 적었다(P<0.05). 22일령부터 49일령가지의 증체량은 T1구가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가장 높은 증체를 보였다. 전기간인 7일령부터 49일령 까지의 증체량과 49일령 체중도 T1구만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다른 시험구들은 대조구보다 적었다(P<0.05) .제한사양후부터 21일령까지의 사료섭취량은 T1구를 제외한 나머지 시험구에서는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적었으며 (P<0.05) , 전기간 셥취량도 T1구만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희석사료섭취기간의 왕겨섭취량을 제외한 육계사료 섭취량에서는 모든 시험구들이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적게 섭취하였다(P<0.05) 제한사양기간을 포함한 7일령부터 21일령까지의 사료요구율은 T1구와 T2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22일령부터 49일령가지의 사료요구율은 대조구에 비해 모든 시험구들이 유의적으로 낮았으며(P<0.05), 전기간동안의 사료요구율은 T1구를 제외한 나머지 시험구들은 대조구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낮았으나(P<0.05) , 희석사료섭취기간의 왕겨섭취 량을 제외 한 육계 사료요구율은 대조구에 비해서 모든 시험구들이 유의적으로 낮거나(P<0. 05)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복강내 지방함량 및 전기간 폐사율은 처리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사료에 야콘 부산물을 첨가 급여한 육계의 생산성 및 닭다리육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Yacon (Polymnia sonchifolia) by-products on Performance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hicken Thigh Meat)

  • 김영직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9
    • /
    • 2013
  • 본 시험은 육계에 야콘 부산물 분말을 급여량(0, 1.0 및 2.0%)에 따라 급여하여 5주간 사육한 육계의 생산성과 다리육의 pH, 총페놀함량, 전자공여능, TBARS, WHC, 전단력, 육색 및 관능평가를 조사하였다. 실험구는 야콘 부산물 분말을 첨가 급여하지 않은 처리구를 대조구, 야콘 부산물 분말 0.5% 급여구는 T1, 야콘 부산물 분말 1% 급여구는 T2 그리고 야콘 부산물 분말 2.0% 급여구를 T3 등으로 나누어 사양하였다. 야콘 부산물을 급여한 육계의 증체량, 사료섭취량 및 사료요구율 등의 생산성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폐사율은 감소하였다. 혈액 생화학 성상 분석 결과, 야콘 부산물의 첨가 급여는 총콜레스테롤과 LDL-cholesterol 및 triglyceride는 감소하고, HDL-cholesterol과 glucose는 증가하였다. 야콘 부산물을 급여한 계육의 pH, TBARS는 야콘 부산물 급여량이 증가함에 따라 낮아지는 결과(P<0.05)를 보이므로 야콘 부산물 급여는 계육의 저장성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총페놀함량과 전자공여능은 대조구보다 야콘 부산물 급여구에서 함량이 증가하였으며(P<0.05), 보수성과 전단력은 처리구간 유의성이 없었다. 계육의 육색 중 CIE $L^*$값과 CIE $a^*$값은 대조구보다 야콘 부산물 분말 급여구에서 높아졌으며(P<0.05), CIE $b^*$값은 야콘 부산물 급여량에 의한 처리구 간의 유의적인 변화가 없는 결과이었다. 관능검사 결과, 야콘 부산물을 급여함으로써 연도는 높아졌지만, 다즙성과 육향은 유의성이 없었다. 결론적으로 야콘 부산물 분말 2%를 육계에 급여하면 pH와 TBARS가 낮아지고, 총페놀함량이 높아지며, 전자공여능이 향상되어 계육의 저장성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