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ix degree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21초

단수수의 파종기에 따른 절간별 당도차이 (Differences of Internode Brix Degree on Different Seeding Date in Sweet Sorghum)

  • 김상곤;박홍재;정동희;권병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451-459
    • /
    • 1995
  • 단수수의 만숙과 조숙종인 각품종을 4월 5일, 15, 25일과 5월 5, 15일에 파종하여 품종간의 생육과 간 절위별의 Brix도를 경시적으로 조사하였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파종기가 늦을수록 출현일수와 출수기간은 단축되었으나 5월 15일 파종에서는 출수기가 오히려 지연되었고 초장은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직선적으로 길어졌으며 조기파종일수록 분벽수는 많은 편이었으나 유효경 비율은 오히려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2. 절간발육은 지상 제5절까지는 절간장이 급격히 길어지고 그 위로 갈수록 점차 짧아지며 절간직경과 중량은 기부위에서 선단으로 갈수록 가늘고 가벼웠다. 3. 간중의 Brix도는 같은 조사일자에서는 파종기가 늦을수록 낮은 경향이었고 출수전까지는 완만한 증가를 보이다가 출수 직후에는 급격한 증가를 보였으며 후기파종의 경우에는 그 증가속도가 더욱 빠른 편이었다. 4. 간 부위별 Brix도는 출수전까지는 기부위에서 중부, 상부위로 갈수록 높은 편이었으나 출수후 이삭의 고습기까지는 중부위에서 가장 높고 상부위, 기부위 순으로 낮았으며 한 줄기의 절위간에 있어서는 지상으로부터 제6또는 제7절 위의 Brix도가 가장 높았다. 5. Brix도가 15%이상이 되는 시기는 4월 5일부터 5월 5일까지의 파종때는 출수후 40∼45일쯤이었으나 5월 15일 파종때에는 출수후 35일쯤에 이미 17%이상의 Brix도를 나타내어 남부지방의 단수수 파종적기는 5월 15일경이라고 생각되었다. 6. 4월 5일부터 4월 25일까지의 파종에서는 파종후 140일경 즉 출수후 50일경까지도 당원료 이용가치선인 Brix도 15%미만이었으나 5월 5일과 15일 파종에서는 파종후 140일경에 18%내외의 Brix도를 보였다. 7. 당분축적이 왕성할 파종후 130∼140일경에도 강우에 의한 토양수분의 과다는 간중 Brix도를 현저히 낮게 하는 것으로 생각되었으며 만숙종에 비하여 조숙종에서 더욱 예민하게 작용하는 것 같았다. 8. 절간장과 절간직경 및 Brix기간에는 부의 상관관계이며 기타 형질간에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그중 절간직경과 절간중간에는 고도의 정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 PDF

딸기의 육안적 품질평가 (Visual Qulity Estimation of Strawberry)

  • 박인경;김미향;이명숙;김순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07-119
    • /
    • 1993
  • The objea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estimation of internal quality by observing visible state of strawberry. Several tests such as color("L", "A", H,V,C), degree of blackred ness, opening state of calyx, vitamin C content, brix degree, acidity, freshness, overall quality, chlorophyll content, and anthocyanin content were performend during circulation at 20$^{\circ}C$. Acidity(R=-0.96), chloroph-yll content(r=-0.99), vitamin C content(r=-0.98), freshness(r=-0.96), and overall quality(-0.99), degree of blackredness(r=0.98) and opening state of calyx(=0.98), color saturation(r=0.99), degree of blackredness(r=0.98) and opening state of calyx(=0.98) increased during circulation at 20$^{\circ}C$. in correlation between visible indicators andd internal qualities, "L" valu and brix degree was r=-0.74, "a" and brix degree was r=0.93 Hue and anthocyanin content was r=0.74, value and chlorophyll content, brix degree were r=-0.91, r=-0.77, chroma and brix degree was r=0.96. The correlations between color saturation and vitamin C content(r=-0.96), chlorophyll content(r=-0.98), freshness(r=-0.98), overall quality(r=-0.94), loss of total polyphenol(0.94) and acidity(r=-0.94) showed high correlation. The correlatiions between degree of blackrednes and vitamin C content(r=-0.99), chlorophyll content(r=-0.94), anthocyanin content(=-0.74), freshness(r=-0.97) overall quality (r=-0.95), loss of total polyphenol(r=0.93) and acidity(r=-0.91) chlorophyll content(r=-0.99), freshness(r=-0.98), overall quality(r=-0.92), loss of total polyphenol(r=0.99) and acidity(r=0.83) showed high correlation.

  • PDF

Changes of Chemical Composition in Tuberous Root of Yacon by Different Curing Conditions

  • Doo, Hong-So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79-82
    • /
    • 2000
  • Tuberous root of yacon (Polymnia sonchifolia Poeppig & Endlicher) has not starch, and its brix degree changes during the curing. Therefore its chemical composition changes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different curing conditions. Tuberous root contained 87.1% moisture at harvesting, that was decreased to 84.1-86.0% at 30 days after curing in different curing conditions. Brix degree was increased from 5.7 to 14.2-15.8% at 30 days after curing in comparison to at harvesting. Free sugars were detected from tuberous root in yacon by HPLC; that were fructose, glucose and sucrose. Fructose contents were increased from 0.09 to 1.04-1.79% during 30 days in five curing conditions. Glucose contents were shown to increase from 0.03 to 1.04-1.37 %. Sucrose contents were shown to increase from 0.04 to 0.13-0.43%. Tuberous root contained fructose, glucose and sucrose in order of amount that were highest in single-polyethylene film covered green house. Sucrose was little as comparison with fructose and glucose. Fructose and glucose were increased to 16.7 and 40.7 times, respectively, but sucrose was increased little about 6.8 times.

  • PDF

마늘의 성분조성(成分組成)과 내한성(耐寒性) 연구(硏究)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omponents and Their Effects on Freezing Point Depression of Garlic Bulbs)

  • 박무현;김준평;권동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05-212
    • /
    • 1988
  • 마늘의 영하온도에서 저장시 나타나는 내한성(耐寒性)의 원인규명을 위하여 인편의 성분조성이 빙점 강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시험하였다. 생체(生體)마늘의 성분조성의 특징은 가용성고형분이 $40^{\circ}$ Brix(건물기준액 90%)로 일반과채류의 $10^{\circ}$ Brix에 비(比)하여 월등히 높았으며 그 구성은 총 90%중 당류가 70% 단백질이 20%였다 그리고 불용성 고형분 10%의 조성은 회분 3% 조섬유 3%였고 그외 지방, 탄수화물 및 단백질을 합(合)하여 4%정도로 되어 있었다. 마늘 성분중 당류는 fructosan이 주종(主種)이었으며 이들은 $1{\sim}29$ 중합도(Polymerization degree)의 것이 혼재되어 있으며 특히 $4{\sim}5$중합도의 것이 전체 50%이상으로 가장 많았다. 마늘의 내한성 지표인 빙점은 수용성고형분 농도가 높을수록 낮았고 동일농도일 경우에는 저중합도(低重合度)의 fructosan일수록 낮았다.

  • PDF

Y자 수형의 '신고'와 '황금배'에서 착과량 조절에 따른 과실 특성 변화 (Changes of Fruit Characteristics by Fruit Load Control in 'Niitaka' and 'Whangkeumbae' Pear Trees on Y-trellis Training System)

  • 권용희;박요섭;박지은;박희승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9권6호
    • /
    • pp.523-530
    • /
    • 2011
  • '신고'와 '황금배'의 과실 특성간 관계를 파악하고 착과량 조절에 의한 과실의 특성 변화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신고'는 평균 과중이 672.0g이었으며 601-750g의 과실이 33.8%로 가장 많았으며 '황금배'는 평균 과중 477.5g이었고 401-600g의 과실이 72.5% 생산되었다. '신고'는 300g 이하부터 1kg 이상까지 넓고 고르게 분포하였으며, '황금배'는 생산되는 과중 분포가 좁았다. '신고'의 당도와 당산비는 과중, 종경 및 횡경과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으나, '황금배'는 과중과 횡경에서만 당도와 낮은 상관을 나타내었다. 각 품종의 과중별 품질은 '신고'의 경우 451g 이하의 과실은 당도가 낮고 400g 이하의 과실은 경도가 낮았으며, '황금배'는 과중에 따른 품질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신고'의 과실 크기는 과육의 크기에 영향을 받았으며 과중이 클수록 과육 부위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았다. '신고'에서 약하게 적과하면 과실의 과중, 당도와 당산비가 낮았고 경도가 높았으며, '황금배'는 적과가 약한 경우 과중과 당도가 낮았다. '신고'는 모든 적과 수준에서 처리에서 과중이 클수록 당도가 높았으며 특히 '적과 약'에서는 450g 이하의 과실 또한 당도가 낮아 품질이 불량하였고, '황금배'는 모든 적과수준에서 과중에 따른 품질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신고'는 적과수준에 따라 과중이 작은 과실의 생산이 가능하지만 품질 감소가 불가피하여 중소과 생산은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었으나, '황금배'는 품질의 하락없이 적과 수준 조절을 통한 중소과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활성건조효모를 이용한 포도주의 발효 특성 (The Fermentation Properties of Red Wine using Active Dry Yeast Strains)

  • 문영자;이명순;성창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50-457
    • /
    • 2004
  • 포도주 양조에 있어서 효모배양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하여 대표적인 활성건조효모 5종을 선정하여 포도주발효특성을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 적포도 농축과즙 발효시험 : 1) 발효 1일 후에 Lalvin W15와 Montrachet 균주로 발효시킨 포도액의 에탄올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발효2일 후에는 Lalvin W15 균주로 발효시킨 포도액이 가장 높았다. 2) 발효 시험한 결과, 당분이 과다할 경우 Lalvin W15, Prise de Mousse, Montrachet 균주의 발효능력이 우수하였고, 산이 과다할 경우와 아황산 함량이 과다할 경우에도 Prise de Mousse, Lalvin W15, Montrachet 균주들의 발효능력이 뛰어났다. 3) 발효 중 거품의 경향은Montrachet 균주는 거품이 크고 양도 많았지만 Lalvin W15와 Prise de Mousse 균주는 거품이 아주 작고 양도 많지 않아 알코올 발효에 유리할 것으로 사료된다. 2. 적포도 Campbell Early 발효시험 : 1)발효 중 Brix의 변화로 발효2일 후의 초기발효속도는 Montrachet와 Lalvin W15 균주로 발효시킨 포도액의 Brix가 빨랐다. 2) 총산은 발효 10일 후에 Lalvin W15 균주로 발효중인 포도액이 가장 높았다. 3) 에탄올 함량은 발효 3일 후에 Lalvin W15 균주로 발효 중인 포도액이 가장 높았으나, 발효 9일 후에는 Epernay II 균주로 발효 시킨 포도액이 가장 높았다.

Effects of Salt Addition in Sugar Based Osmotic Dehydration on Mass Transfer and Browning Reaction of Carrots

  • Chang, Moon-Jeong;Han, Myung-Ryun;Kim, Myung-Hwa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8권3호
    • /
    • pp.230-234
    • /
    • 2003
  • Mass transfer characteristics during osmotic dehydration of carrots were studied as functions of immersion temperature and time, and sugar and salt concentrations. The effect of osmotic dehydration on the degree of browning of air-dried carrots was also evaluated. Increasing the immersion temperature and time, sugar concentration, and salt addition increased water loss, sugar gain, molality and rate of dehydration. The water loss and increases in solids, and molality were rapid in the beginning of the process and then increased slowly during remainder of the process. Increasing 1 or 2% salt concentration in the 40$^{\circ}$Brix sugar solution at 6$0^{\circ}C$ increased water loss and solid gain. Salt addition was not able to significantly affected on water loss and solid gain compare to temperature (40~8$0^{\circ}C$) and sugar concentration (20~60$^{\circ}$Brix) changes due to the low salt concentration. A minimum degree of browning of the air-dried carrots (O.D. = 0.048) could be achieved using binary solutions (40$^{\circ}$Brix sugar solution with 2% salt addition) with 24 min of immersion time compared to control (O.D. = 1.308) or blanching with 24 min of immersion time (O.D. = 0.174).

Effect of Polyphenol Oxidase Activity and Total Phenolic Content on Browning and Quality of Dried-Persimmon According to Maturity Degree of Astringent Persimmon

  • Jung, Kyung-Mi;Song, In-Gyu;Kim, Se-Jong;Lee, Sang-Han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33권2호
    • /
    • pp.65-68
    • /
    • 2015
  • Hunter's color value "a" in dried-persimmon of table and full ripe fruit was higher than that in unripe fruit. In case of soluble solid content, full ripe fruit was $50^{\circ}Brix$, the highest degree, while unripe fruit was $40^{\circ}Brix$, the lowest degree. PPO activation of unripe fruit was 4.7, which was higher than table-ripe fruit (0.7) and full ripe (1.0). Polyphenol oxidase activation remained even while drying,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PPO activation degree as drying period increased. Total phenol content of unripe fruit was 101.4, which was higher than table-ripe fruit (57.5) and full ripe fruit (67.4). Total phenol content level increased as drying period increased, which was based on fresh weight. Hardness of unripe and table ripe fruit continued to decrease until three weeks during softening. After that, hardness was high and it started drying. However, in full ripe fruit, hardness increased after two weeks and softening was fast during the drying period, and its weight reduction rate was lower than that of unripe and table ripe fruit.

Changes in Sugar Contents and Storability of Yacon under Different Storage Conditions

  • Doo, Hong-Soo;Li, Hu-Lin;Kwon, Tae-Oh;Ryu, Jeom-H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300-304
    • /
    • 2000
  • Tuberous roots of yacon (Polymnia sonchifolia Poeppig & Endlicher) were stored in different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conditions after curing for 30 days. Non-decadent percentage, moisture contents, brix degree and sugars were investigated. Whether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were high or not, most of the tuberous root decayed during storage, and the decayed percentage was increased as long as the storage period. In final, only 13% of tuberous roots remain intact at 4$^{\circ}C$, 85% relative humidity condition to be appeared best storage condition in this experiment and all of the tuberous root decayed in other storage conditions after 6 months. Moisture contents decreased a little in the high relative humidity. Even though tuberous roots decayed when stored at 1$0^{\circ}C$ and 2$0^{\circ}C$, most of brix degree reached about 17.0. Fructose, glucose and sucrose contents were 1.65, 1.15 and 0.35% at early storage period, and 1.6, 1.1 and 0.5% after 6 months at 4$^{\circ}C$, 85% relative humidity, respectively. In 3 temperature conditions, fructose and glucose increased for a month and then decreased successively afterwards, but sucrose increased gradually during 6 months. Also in 4 relative humidity conditions, fructose, glucose and sucrose contents were changed with similar to that of in temperature. Changes of fructose and glucose were the same except on 4$^{\circ}C$, 85% relative humidity, that was lower level than moisture of tuberous root.

  • PDF

보리의 품종 및 도정률이 막걸리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fferent Cultivars and Milling Degree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rley Makgeolli)

  • 박혜영;최인덕;오세관;우관식;윤순덕;김현주;심은영;정석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2호
    • /
    • pp.1839-184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보리의 품종 및 도정률이 막걸리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과 대조구인 기존 쌀 막걸리와 보리 막걸리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건조주박량은 새쌀보리 그룹인 Ss-4, Ss-12, Ss-18이 92.3 g, 69.4 g, 63.8 g을 나타냈고, 흰찰쌀보리 그룹인 Hcs-6, Hcs-14, Hcs-20은 62.3 g, 42.2 g, 32.2 g을 나타내 도정률과 품종 간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냈으며(P<0.05), 주박함수율은 도정률 증가에 비례하였다. 한편 Ss-8, Sdj-8의 주박량은 19.0 g, 7.7 g으로 쌀과 보리 원료에 따른 큰 차이를 나타냈다. 원료 도정률 증가에 따라 탄수화물은 증가, 그 외 성분은 감소하였고, 그중 회분은 막걸리에 직접적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pH, 총산 함량, 아미노산도는 도정률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는데, 이는 도정 정도를 달리하는 원료 특성에 따라 생성되는 유기산과 함유된 영양성분의 차이에 기인할 것으로 보인다. 보리 도정률에 따른 막걸리의 가용성 고형분 함량과 알코올 함량은 도정률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품종 간 차이를 보였고 보리 막걸리는 $10.7{\sim}11.8^{\circ}Brix$, 14.07~15.07%로 쌀 막걸리 $12.0{\sim}12.2^{\circ}Brix$, 17.27~17.77%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도정에 따른 원료곡의 색 차이는 막걸리의 색도에도 영향을 주어 도정률 증가에 따라 L값과 b값이 증가하였다. 발효와 관련한 유산균수는 Ss-4, Ss-12, Ss-18이 7.21, 6.99, 6.67 log CFU/mL였고, Hcs-6, Hcs-14, Hcs-20은 6.14, 5.39, 5.65 log CFU/mL로 도정률 증가에 따른 유의적 감소를 나타냈다(P<0.05). 이러한 결과는 효모에서도 같은 경향을 보였고, 특히 막걸리의 주요 품질로 현탁안정성이 도정률에 따른 차이를 보여 도정률 조정으로 현탁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