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ij 30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5초

Phenanthrene 분해균주로부터 미생물 계면활성제의 생산 (Biosurfactant Production from Phenanthrene Degrading Bacteria)

  • 한창성;윤현식;서형준;김은기
    • KSBB Journal
    • /
    • 제14권6호
    • /
    • pp.737-741
    • /
    • 1999
  • 본 연구에서 분리된 phenanthrene 분해균주의 대부분이 소수성을 나타내었고, 미생물계면활성제를 생산하면서 분해하는 균주보다 phenanthrene 분해능이 높았다. 균주 H6의 경우 phenanthrene 분해시 생산되는 미생물계면활성제는 포도당을 분해할 때도 생산되면 미생물의 성장과 더불어 증가하다가 stationary phase에서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H6는 Bacillus subtilis로서 분리된 미생물계면활성제는 lipopeptide이었으며 H6에서 추출한 미생물계면활성제는 pH 2 이하에서 거의 회수되었고, 분산력이 Tween 80이나 Brij 30 등 화학계면활성제보다 높았고 열에 강한 특성을 보였다.

  • PDF

Degradation of Phenanthrene by Bacterial Strains Isolated from Soil in Oil Refinery Fields in Korea

  • KIM JEONG DONG;SHIM SU HYEUN;LEE CHOUL GY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2호
    • /
    • pp.337-345
    • /
    • 2005
  • The degradation of phenanthrene, a model PAH compound, by microorganisms either in the mixed culture or individual strain, isolated from oil-contaminated soil in oil refmery vicinity sites, was examined. The effects of pH, temperature, initial concentration of phenanthrene, and the addition of carbon sources on biodegradation potential were also investigated. Results showed that soil samples collected from four oil refinery sites in Korea had different degrees of PAH contamination and different indigenous phenanthrene-degrading microorganisms. The optimal conditions for phenanthrene biodegradation were determined to be 30$^{circ}C$ and pH 7.0.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was observed between the microbial growth and the rate of phenanthrene degradation. However, the phenanthrene biodegradation capability of the mixed culture was not related to the degree of PAH contamination in soil. In low phenanthrene concentration, the growth and biodegradation rates of the mixed cultures did not increase over those of the individual strain, especially IC10. High concentration of phenanthrene inhibited the growth of microbial strains and biodegradation of phenanthrene, but was less inhibitory on the mixed culture. Finally, when non-ionic surfactants such as Brij 30 and Brij 35 were present at the level above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s (CMCs), phenanthrene degradation was completely inhibited and delayed by the addition of Triton X100 and Triton N101.

오염토양 세척공정에서 모델링을 통한 최적 계면활성제의 선별 (Optimal Surfactant Screening by Model Application for Soil Washing Process)

  • 우승한;박종문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8권3호
    • /
    • pp.61-73
    • /
    • 2003
  •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오염 토양의 세척 공법 적용시 오염물질의 분배를 결정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 모델을 활용하여 세척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계면활성제의 선정 방법, 물 첨가량 효과, 최적 세척 방법을 예시하였다. 오염물질은 naphthalene, phenanthrene, pyrene, 계면활성제는 Triton X-100, Tergitol NP-10, Igepal CA-720, Brij 30을 대상으로 하였다. 동일한 총량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때 물의 첨가량이 증가하더라도 세척효과의 큰 증가 효과가 없었다. 동일한 총량의 물 및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경우 1회 세척보다 연속 세척이 더 효과적이었으며, 연속 세척에서 물과 계면활성제를 동일하게 분배하는 것이 최적이었다. 물과 계면활성제 사용량 및 연속세척 회수에 따라 최적 계면활성제의 종류가 달라질 수 있었다. 본 모델 활용기법은 오염토양 세척 공법 적용시 복잡한 실험을 수행하기 이전에 계면활성제의 탐색과 최적 공정 설계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카본나노튜브에 흡착된 휴믹산의 탈착에 관한 연구 (Desorption of Adsorbed Humic Acid on Carbon nano Tubes)

  • 조미현;이재영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8권7호
    • /
    • pp.81-89
    • /
    • 2013
  • Concerns have been raised over the impact of nano materials on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with the increasing attention to the potential applications of carbon nano materials in various fields. Particularly, carbon nano materials introduced into water environment readily make complexes with humic acid (HA) due to their hydrophobic nature, so there have been increasing numbers of studies on the interaction between HA and carbon nano material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solubility of HA and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MWCNT) in three different surfactant solutions of sodium dodecyl sulfate (SDS), Brij 30 and Triton X-100, and evaluated whether the HA can be effectively desorbed from the surface of MWCNT by surfactan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optimal adsorption condition for HA to MWCNT. Futhermore, sodium dodecyl sulfate (SDS), Brij 30, Triton X-100 were used to elucidate the effect of desorption and separation on adsorbed HA on MWCNT. As a result, HA solution with 12.7 mg of total organic carbon (TOC) and 5 mg of MWCNT showed the highest adsorption capacity at pH 3 reacted for 72 hrs. Weight solubilizing ratio (WSR) of surfactants on HA and MWCNT was calculated. HA had approximately 2 times lower adsorption capacity for the applied three surfactants compared to those of MWCNT, implying that the desorption of HA may occur from the HA/MWCNT complex.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dsorption isotherm and weight solubilizing ratio (WSR), the most effective surfactants was the SDS 1% soluiton, showing 53.63% desorption of HA at pH 3.

녹차 페놀류가 corn oil-in-water emulsion의 산화 중 hydroperoxide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olyphenolic Compounds from Green Tea Leaves on Production of Hydroperoxide for Lipid Oxidation in Corn Oil-in-Water Emulsion)

  • 조영제;김병규;천성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9-24
    • /
    • 2004
  • 5% corn oil과 17 mM Brij 700으로 제조한 corn oil-in-water emulsion(O/W)의 droplet의 크기는 첨가되는 phenol의 양이 많아질수록 지방구가 다소 커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continuous phase의 surfactant 양은 대조구에 비해 다소 낮아졌다. O/W에 녹차로부터 분리한 phenol류를 100-200 ppm의 농도로 첨가하고 30일간 저장하며 hydroperoxide의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 대조구에 비해 낮은 hydroperoxide 함량을 보여 유도기간이 길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henol 종류별 hydroperoxide 생성억제 효과는 BHT > procyanidin B3-3-O-gallate>(+)-gallocatechin>(+)-catechin의 순서로 나타났다. 지방 산화의 결과 발생하는 aldehyde의 함량을 측정함으로서 산화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headspace hexanal 양을 측정한 결과, 대조구는 15일까지 hexanal이 검출되지 않았으나 phenol 첨가구는 20-30일로 headspace aldehyde의 불검출기간이 길어졌으며, 농도가 증가할수록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Phenol 종류별 headspacealdehyde 생성 억제 효과는 BHT > procyanidin B3-3-O-gallate > (+)-gallocatechin >(+)-catechin의 순서로 나타났다.

계면활성제를 적용한 오염토양 복원을 위한 모델링 연구 : 생물 복원 공정 (Evaluation of Surfactant Addition for Soil Remediation by Modeling Study : II. Bioremediation Process)

  • 우승한;박종문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8권2호
    • /
    • pp.44-54
    • /
    • 2003
  • 토양 슬러리 시스템에서 유해물질의 미생물 분해시 계면활성제를 고려한 속도론적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 모델은 오염물질과 계면활성제의 분배, 미생물의 수용액상, 미셀상, 흡착상 분해, 계면활성제 첨가에 의한 대상물질 용해, 대상물질의 물질전달을 포함한다. 오염물질은 phenanthrene, 계면활성제는 Triton X-100, Triton NP-10, Igepal CA-720, Brij 30을 적용하였다. 미셀상 분해가 존재할 경우 매우 낮은 미셀상 이용도에서도 전체 분해속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었다. 미셀상 이용성이 존재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 모두 계면활성제 농도가 증가할수록 수용액상 농도가 감소하여 전체 분해속도는 감소하였다. 흡착상 분해는 수용액상 분해나 미셀상 분해와 비교하여 전체 분해속도에 미치는 영향이 적었다. 본 모델은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오염토양 생물복원시 계면활성제 탐색과 최적 공정 설계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Sophorolipid Production by Candida bombicola ATCC 22214 from a Corn-Oil Processing Byproduct

  • KIM , HYUN-SOO;KIM, YOUNG-BUM;LEE, BAEK-SEOK;KIM, EUN-KI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1호
    • /
    • pp.55-58
    • /
    • 2005
  • Sophorolipid was produced by Candida bombicola ATCC 22214 from soybean dark oil, a byproduct of soybean oil processing. With a fed-batch culture of C. bombicola for 7 days, 90 g/l of sophorolipid was obtained. The CMC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and minimum surface tension of the sophorolipid in aqueous solution were found to be 150 mg/l and 48 mN/m, respectively. The dispersion capability of sophorolipid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hemical surfactants such as SDS and Brij30. The molar solubility ratio (MSR) of 4-methylnaphthalene was 0.2. Linoleic and oleic acids were the main constituents of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sophorolipid. The sophorolipid showe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Propionibacterium acne and Bacillus subtilis.

Boron Detection Technique in Silicon Thin Film Using Dynamic Time of Flight Secondary Ion Mass Spectrometry

  • Hossion, M. Abul;Arora, Brij M.
    • Mass Spectrometry Letters
    • /
    • 제12권1호
    • /
    • pp.26-30
    • /
    • 2021
  • The impurity concentration is a crucial parameter for semiconductor thin films. Evaluating the impurity distribution in silicon thin film is another challenge. In this study, we have investigated the doping concentration of boron in silicon thin film using time of flight secondary ion mass spectrometry in dynamic mode of operation. Boron doped silicon film was grown on i) p-type silicon wafer and ii) borosilicate glass using hot wire chemical vapor deposition technique for possible applications in optoelectronic devices. Using well-tuned SIMS measurement recipe, we have detected the boron counts 101~104 along with the silicon matrix element. The secondary ion beam sputtering area, sputtering duration and mass analyser analysing duration were used as key variables for the tuning of the recipe.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counts to concentration conversion was done following standard relative sensitivity factor. The concentration of boron in silicon was determined 1017~1021 atoms/㎤. The technique will be useful for evaluating distributions of various dopants (arsenic, phosphorous, bismuth etc.) in silicon thin film efficiently.

토양 미생물 HSL613이 생산하는 Cholesterol Oxidase의 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holesterol Oxidase Produced by Soil Microorganism HSL613)

  • 이홍수;이승철;권태종;정태화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01-408
    • /
    • 1992
  • Cholesterol oxidase를 생산하는 균주를 토양으로 분리하고 이를 배양하여 효소를 생산한 후 정제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본 효소는 CH2 concentrator에 의한 농축, DEAE-cellulose chromatography, Superose 12 column FPLC로 정제하였고, 비활성이 약 31배나 증가하였다. 이 효소는 $50^{\circ}C$, pH 6.0에서 최대 활성을 나타냈고 30-$45^{\circ}C$ 범위에서는 안정하였다. pH에 대한 안정성은 pH 6.0-11.0까지 광범위한 안정성을 보였으며, Km 값은 cholesterol에 대해서 $3.65{\times}10^{-3}$M이며 분자량은 59,500 dalton으로 추정 된다. 또한 $Ca^{2+}$, $Ba^{2+}$, $Fe^{2+}$, Brij 35에 의해서는 효소의 활성이 저해되지 않았지만, $Hg^{2+}$, $Ag^{2+}$ 및 SDS에 의해서는 저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반연속식 노말브틸-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유화중합(1) : 폴리머 라텍스의 수율과 입자크기에 관한 계면활성제 종류의 영향 (Effect of Surfactant Type on the Particle Size and Yield in Semi-Continuous Emulsion Polymerization of n-Butyl Acrylate/Methyl Metacrylate)

  • 고기영;김성일;김철웅;형기우
    • 청정기술
    • /
    • 제11권1호
    • /
    • pp.1-12
    • /
    • 2005
  • 본 연구는 모노머로 메틸메타 아크릴레이트와 노말부틸 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여 수용액상에서 반연속식 유화중합을 실시하여 안정성이 우수한 폴리머 시멘트용 아크릴계 폴리머 에멀젼을 제조하기 위해 최종 폴리머 에멀젼의 평균 입자크기 및 농도에 관한 계면활성제의 영향을 고찰하였다. 실험결과, 사용한 비이온 계면활성제에 관한 폴리머 에멀젼의 농도는 LE-50, NP-50 > CE-50, Tween 20 > TX-405 > Brij 35 순으로 최종 폴리머 응석에 기인하여 낮아졌으며, 평균 입자크기도 작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LE형과 NP형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친수성 체인의 길이(n)가 증가할 수 록 응석의 발생이 거의 없는 안정한 폴리머 에멀젼을 얻을 수 있었으며, n = 30이상의 체인에서 평균입자크기는 250 - 320 nm, 폴리머 농도는 수용액 기준으로 40 %를 얻을 수 있었다. 반응초기에 반응기에 투입 (Initial reactor charge)한 계면활성제 종류의 영향은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SDS를 사용한 경우에는 사용량에 무관하게 폴리머 에멀젼의 농도는 거의 일정하였으나, 양이온 계면활성제인 CTAB와 반응형 계면활성제인 HN-100의 경우에는 폴리머 에멀젼 농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평균 입자크기는 SDS < CTAB < HN-100 순으로 커지는 경향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