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ightness of color

검색결과 787건 처리시간 0.027초

고해상도 천연색 LED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위한 흰색 보정프로세서의 설계 (Design of White Balance Correction Processor for High Resolution Full Color LED Display System)

  • 이종하;고덕영
    • 전자공학회논문지 IE
    • /
    • 제46권3호
    • /
    • pp.12-18
    • /
    • 2009
  • 본 논문은 LED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균일하고 부드러운 영상표출을 위하여 각각의 Red, Green, Blue LED의 휘도를 조절하여 흰색보정을 유지할 수 있는 프로세서를 설계하였다. 이 프로세서는 일반적인 LED소자의 특성곡선을 근거로 "a"를 고유특성 값, "b"를 사용시간에 따른 휘도보정 값, "X"를 구동전류 값, "Y"를 휘도 값이라 할 때, "Y=aX+b"로 설정되는 휘도 특성함수에 의하여 각 픽셀의 휘도에 따른 구동 전류 값을 산출하여 휘도를 보정하고, 또한 장시간 사용 시 LED소자의 휘도 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b"값을 조절하여 LED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전체 평균 휘도 값을 상향시킬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Impact of Residual Extractives in Kraft Pulps on Brightness and Color

  • Shin, Soo-Jeong;Sung, Yong-Joo;Park, Jong-Moon;Cho, Nam-Seok
    • 펄프종이기술
    • /
    • 제41권5호
    • /
    • pp.20-25
    • /
    • 2009
  • Residual extractives had a noticeable impact on the brightness of unbleached hardwood kraft pulps (trembling aspen). The brightness-impacting extractives were effectively removed by oxygen delignification. In addition, oxygen delignification was more effective in removing chromophores in hardwood unbleached kraft pulps than in those of softwood (loblolly pine). The residual extractives in unbleached hardwood kraft pulps also affected the pulp color, primarily redness and the L value. These redness-related extractives in unbleached hardwood kraft pulps were also effectively removed by oxygen delignifica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color differences between untreated and solvent-extracted oxygen-delignified aspen kraft pulps. The residual extractives in unbleached and oxygen-delignified softwood (loblolly pine) kraft pulps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either brightness or pulp color.

고휘도 RGB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광색가변형 전구의 설계 (Design of a Multi-Color Lamp Using High Brightness RGB LEDs)

  • 송상빈;강석훈;여인선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전기물성ㆍ응용부문C
    • /
    • 제52권2호
    • /
    • pp.98-104
    • /
    • 2003
  • This paper proposes the design of a multi-color lamp using high brightness RGB LEDs for color variation. Appropriate number of RGB LEDs is so chosen according to the color mixing theory that the overall LEDs represent a color temperature of 6500K. Also, the chosen RGB LEDs are suitably arranged by using an optical design program. The lamp has an internal controller circuit, so it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existing incandescent lamp socket. It's main body is comprised of two PCB layers. The upper layer contains 44 LEDs and the lower one has a simple microcontroller-based PWM control circuit. The lamp has functions of both ON/OFF control and PWM control, and enables color variation of over 100,000 colors and of more than 10 patterns.

Brightness 기능을 갖는 컬러 스페이스 컨버터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Color Space Converter with Brightness effect)

  • 배준석;박노경;문대철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4-30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단방향 컬러 스페이스 컨버터(Color Space Converter)를 양방 향으로 변환하는 것뿐만 아니라, 기존의 디코더, 엔코터 및 모니터 등이 가지고 있는 Brightness 기능을 갖도록 변환 행렬 계수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는 컬러 스페이스 컨버터 를 설계하였다. 이러한 변환 계수 자체를 조정하여 휘도 및 색차 신호에 변화를 주는 방법 은 새롭게 제안한 방법으로 계수의 조정은 ROM형태를 이용하여 향후 인터페이스 부분을 부가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Brightness 기능을 갖는 컬러 스페이스 컨버터는 저가의 멀티미디어 비디오 관련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 PDF

히스토그램 분포 제어가 가능한 풀칼라 LED 디스플레이장치 개발 (Development of the Full color LED displays using the control algorithm of histogram distribution)

  • 하영재;진병윤;김선형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1708-1714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full color LED 전광판에서 일반적인 화질 개선 혹은 화질 보정의 방법으로는 감마, 휘도, 명도조절 등으로 영상의 전체적인 색상과는 상관없이 일률적으로 밝게 혹은 어둡게 처리해 왔다. 그러나 단순히 표출되는 영상 자체의 휘도를 일정 크기로 일률적으로 휘도를 조정하는 방법은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특성을 반영하지 않아 단지 화면 전체가 밝아지거나 어두워졌다는 느낌만을 줄 뿐이다. 그래서 기존의 영상 전송 방식과는 다른 새로운 기술로 LED 전광판에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의 히스토그램 분석을 통해 기준 휘도 값을 결정함으로써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의 특성이 반영되고, 해당 기준 휘도 값에 따라 히스토그램의 분포를 제어함으로써 LED 전광판에 표출되는 영상 휘도를 균일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히스토그램 분포 제어가 가능한 full color 전광판의 영상 구동 처리기술을 제안하였다.

견직물의 자초 염색 시 합성탄닌의 매염 효과 (Effect of Tannin Mordanting on Gromwell-dyed Silk Fabric)

  • 박아영;송화순;김인영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51-62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heck color change depending on dyeing conditions when silk fabrics was dyed with gromwell and to investigate mordant effect when synthetic tannin was used as a mordant. First, when silk fabrics were dyed with gromwell, the change of color, brightness and chroma were examined by measuring K/S value, a, b value, L value and C value depending on dyeing condition. Second, color, brightness and chroma differences which appeared after mordanting with synthetic tannin were investigated and muti-functional mordanting effect was confirmed with dyeing fastness, antibiosis. As a result of color analysis of gromwell, it was proved that the main pigment of gromwell was shikonin. Color was red purple at pH 3 when silk fabrics were dyed with gromwell. But It became greenish and bluish as temperature rose and time passed by. And it grew reddish and yellowish as concentration level reached higher. The color became purple at pH 5 and purple blue at pH 7. Both at pH 5 and pH 7, it became greenish and yellowish, as temperature went up and time ran by. And it became reddish with concentration increasing. Brightness and chroma decreased with temperature and concentration increasing as well as time passing by. After mordanting with synthetic tannin, the color became less reddish at pH 3 and reddish-yellowish at pH 5 and pH 7. The brightness increased and the chroma decreased. At all pH, the color, the brightness and the chroma became similarly by synthetic tannin mordanting. Dyeing fastness of synthetic tannin mordanted fabric was higher than that of non-mordanted fabric. Especially, wet fastness at pH 3 improved from 1 grade before synthetic tannin mordanting to $3{\sim}4$ grade after tannin mordanting. Antibiosis was improved by gromwell dyeing and synthetic tannin mordanting.

아시아인의 얼굴색 변화와 인지도간 상관성 비교 : 한국인, 인도네시아인, 베트남인 (Comparison Between Face Color Change and Its Recognition Difference on Asian: Korean, Indonesian and Vietnamian)

  • 정유철;이명렬;김은주;조준철;이해광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23-327
    • /
    • 2013
  • 수분량, 유분량, 피부밝기, pH 등 피부 특성을 나타내는 지표들은 환경적, 유전적 요소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하지만 이는 절대적인 피부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람들이 느끼는 감성적인 피부 특성과는 차이가 있다. 이를 반영하듯 최근 임상 연구들은 절대적인 피부 변화를 통한 사람들의 인지 변화에 관한 연구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시아인을 대상으로 국가별로 절대적인 피부색의 차이 뿐 아니라 실제 피부색의 변화에 따라 본인들이 인지하는 피부 밝기에도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아시아 3개국 총 410명의 피험자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설문을 통해 본인들이 생각하는 피부밝기를 3단계로 구분하여 응답하고 본인이 생각하는 피부 밝기 변화에 따라 실제 피부색은 어떤 양상으로 변화하는지를 분석하였다. 국적에 관계 없이 모든 참가자들이 공통적으로 피부색이 밝다고 느낄수록 실제 피부 밝기는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지만 절대적인 피부색과 피부가 밝다고 느끼는 정도는 차이가 있었다. 게다가, 피부 붉은기와 노란기의 변화도 국가별로 다른 양상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판단 할 때 본인들의 피부 밝기를 인지하는 요소는 절대적인 피부 밝기가 아닌 국가별로 다른 기준이 적용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Effect of Fluorescent Whitening Agent and Tinting Dye on Optical Properties of Paper

  • Wang Li-Jun;Yoon Byung-Ho
    • 펄프종이기술
    • /
    • 제37권5호통권113호
    • /
    • pp.8-14
    • /
    • 2005
  • The difference of whiteness, brightness and lightness was clearly explained in this paper by use of a tinting dye and a fluorescent whitening agent which are commercially widely used to make paper look whiter. Other optical properties such as tint, color shade, and color difference were also discussed. It is concluded that in comparing two tinting dyes, lightness (L*) is the most important property to be compared, while whiteness data should be used in caution in order not to surpass its significant range, and a*, b* values can also be used to find the change of color shades together with ${\Delta}E$ as color difference. In comparing two fluorescent whitening agents, whiteness or brightness values are most important to be compared, but lightness values are not suitable for this purpose; a*, b* and color difference ${\Delta}E$ can also be referred, but with less significance.

고휘도 발광 Chip 소자를 이용한 빛의 명암도 분석 (Estimation of the Light Intensity by Using Bright-Chip LED Sensory System)

  • 최주현;김지선;정구인;이태희;김아희;오한별;박희정;김경섭;전재훈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2권9호
    • /
    • pp.1290-1296
    • /
    • 2013
  • The light intensity which represents the relative amount of brightness and darkness is very important feature to discern the color hue and its relevant information. With this aim, we devise a new optical system and method to analyze the light intensity. Our suggested system including a phototransistor and white-high-brightness chip light-emitting diode intend estimate the contrast value utilizing Image Research Institute(I.R.I.) Hue & Tone samples which includes 120 color sheets arranged by the color hue and tone. As a result, we confirmed that the brightness of the color checker can be accurately estimated by a high-brightness light-emitting-diode optical system.

Full Color LED 디스플레이장치와 휘도 개선과 호환성을 갖는 통합인터페이스 제어장치 구현 (Implemented of Integrated Interface Control Unit with Compatible and Improve Brightness of Existing Full Color LED Display System)

  • 이주연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90-96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밝기제어장치 및 색상제어장치 그리고 기존의 제어장치와의 호환성을 갖는 통합 인터페이스 제어장치 설계하고 제작하여 구현하였다. 구현 방법으로는 데이터 전송방식은 DVI/HDMI 전송방식의 규격을 적용하였으며 적용한 IC는 Sil1169 IC를 사용하였다. 밝기제어는 AT89C2051을 사용하여 8단계의 밝기조절 기능을 갖도록 프로그래밍하였다. 또한 영상 및 디밍 데이터 처리를 위하여 EPM240T100C5 IC를 사용하여 제작하였다. 그 결과로 기존에 제작하여 사용되어지고 있는 DVI/HDMI 전송방식을 적용한 제어장치와 호환이 가능하고, 주변 밝기에 따라 선명하고 고품질의 Full HD급 영상을 LED 디스플레이 장치에 통하여 재생할 수 있는 결과를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