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ewed Ganjang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7초

Comparison of taste ingredients between Long-term aged Korean Ganjang and manufactured brewed Ganjang

  • Kyung Tae JANG;In Sook LEE
    • 식품보건융합연구
    • /
    • 제9권2호
    • /
    • pp.19-24
    • /
    • 2023
  • In this study, we tri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taste components of Korean Ganjang made by a conventional method on a small scale and aged for 3 years and brewed Ganjang produced by a large company. As a result of the study, a total of 22 types of free amino acids in liver were detected. The main amino acids of Korean Ganjang were glutamic acid, lysine, serine, citrulline, alanine, and leucine, then, the main amino acids of brewed Ganjang were leucine, glutamic acid, aspartic acid, valine, serine, alanine. The content of glutamic acid in the composition of free amino acid was 12133.69 mg/mL, more than twice as much as that of Korean Ganjang. The content of leucine (bitter taste) was 5933.37 mg/mL of brewed Ganjang, which was 2.9 to 7 times higher than that of Korean Ganjang. Overall, the content of glass amino acids with savory, sweet, and bitter flavors was found to be very high in brewed Ganjang (BGS) than in Korean Ganjang (KAS, KBS, and KCS). On the other hand, GABA was 456.43 mg/mL for Korean Ganjang KBS, 3.3 times higher than brewed Ganjang. Brewed Ganjang had higher glucose content, inorganic content, iron (Fe), organic acid lactic acid and acetic acid content than Korean Ganjang. Korean Ganjang was found to contain high saturated fatty acids, calcium (Ca), and sodium (Na).

미강 첨가량에 따른 단기숙성 간장의 제조 및 특성 분석 (Characteristic Analysis and Production of Short-Ripened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Added with Rice Bran)

  • 정수지;신미진;정성엽;양희종;정도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550-556
    • /
    • 2014
  • 미강은 우수한 영양과 기능적 가치를 함유하고 있지만 식미를 떨어뜨리고 저장성이 매우 낮아 효과적인 활용에 어려움을 갖고 있다. 따라서 간장의 원재료인 대두와의 혼합을 통한 다양한 맛 추구와 전분 및 단백 분해력이 높은 균주를 활용해 낱알형태의 콩알메주를 제조해 총 질소 함량의 증가를 통하여 약 12개월의 간장 제조 기간을 약 1개월로 단축하고자 콩알메주와 미강을 5:5, 7:3, 9:1, 10:0의 비율로 25%의 염수에 담구고 발효하면서 특성을 비교하였다. pH의 변화는 발효 0일 평균 pH 5.82에서 2주간 발효 후 pH는 평균 6.01로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당도는 초기 $21{\sim}22^{\circ}Brix$에서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제조한 간장 모두 $30{\sim}32^{\circ}Brix$로 높아졌고, 염도 또한 발효기간 중 모든 실험구에서 20% 이하로 일정 수준을 유지하며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총 질소의 경우 발효 2주차에 1.62%로 9:1과 10:0 비율이 가장 높은 함량을 보여주었고,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비율별 실험구에서 48.02~62.95 mg%으로 발효기간에 따라 증가 하였으며, 발효 2주 후에는 448.84~625.52 mg%를 나타냈다. 바이오제닉 아민 중 히스타민과 티라민 함량은 앞서 보고된 일반 전통간장(히스타민; 225.9 mg/kg, 티라민; 241.6 mg/kg) 및 양조간장(히스타민; 129.8 mg/kg, 티라민; 594.5 mg/kg)에 비해 본 연구에서 제조한 간장이 히스타민 35.85~72.81 mg/kg, 티라민 41.04~75.31 mg/kg으로 적게 함유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9:1의 비율의 처리구가 8,804.03 mg/kg으로 가장 높았으며, 구수한 맛을 내는 aspartic acid와 glutamic acid의 함량 역시 각각 504.25 mg/kg과 1,262.25 mg/kg으로 높았고, 단맛을 내는 serine과 alanine의 경우에도 각각 49.50 mg/kg과 518.75 mg/k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관능평가 결과 총 질소, 아미노태 질소, 바이오제닉 아민,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에서 모두 우수한 결과를 보였던 9:1의 비율로 제조한 간장의 기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