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evibacterium sp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14초

한국전통식품으로부터 분리 된 세균의 항균활성 효과 (Antibacterial Effect of Bacteria Isolated from the Korean Traditional Foods against Pathogenic Bacteria)

  • 문경미;허문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11호
    • /
    • pp.1319-1323
    • /
    • 2015
  • 매년 어류 양식의 생산량은 증대되고 있으며, 생산량 증가를 위한 고밀도 사육은 수질 악화 및 어류들의 스트레스를 증가시켜 질병들이 잦아지게 된다. 이로 인한 경제적 피해는 어류 양식 어민들에게 있어 막대한 피해를 입게 되며, 이를 예방하기 위해 화학 요법인 항생제를 투여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항생제 대체 물질 및 안전 요법으로 알려진 프로바이오틱스를 분리하기 위해, 한국전통식품인 고추 장아찌와 갈치 젓갈에서 다양한 세균을 분리하였다. 분리 된 균주들은 16S rDNA 염기서열을 분석 및 동정하고, 상층액 및 균체로 나뉘어 항균 활성을 측정하였다. 고추 장아찌에서 분리된 4종과 갈치 젓갈에서 분리된 7종은 상층액 보다 균체에서 항균 활성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중 JKM-2는 43 mm(S. iniae), 40 mm(S. parauberis), 35 mm(S. mutans), 26.5 mm(V. vuinificus)로 가장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냈다. 본 균주의 염기서열 분석 결과, Bacillus subtilis 97.71%, Bacillus tequilensis 97.71%, Brevibacterium halotolerans 97.71%, Bacilus subtils 97.63%, Bacillus subtlis 97.63%, Bacillus mojavensis 97.54%, Bacillus vallismortis 97.46%, Bacillus nanillea 97.45%, Bacillu smethylotrophicus 97.37%, Bacillu ssiamensis 97.37%로 분석되었다. 추후 JKM-3의 신종 균주 확인과 균체 물질 규명 및 분석을 통하여 충분한 안정성을 확보하고 양식 산업에 적용시켜 항생제 대체 물질로서의 이용가치를 확인하고자 한다.

가축 분변 유래 지표미생물 분포 및 항생제 내성 균주의 동정 (The Distribution of Indicator Microorganisms and Identification of Antibiotic Resistant Strains in Domestic Animal Feces)

  • 김종규;이장훈;권혁구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89-297
    • /
    • 2011
  • Objectives: To estimate the microbial contaminant load discharged from livestock farms, we randomly selected livestock farmers of cattle, swine, and fowl and collected bacterial strains from domestic animals' feces and compost samples. Recently, as multi-antibiotic-resistant bacteria and super bacteria showing resistance to a variety of antibiotics have been reported one after another, the ecological and health hazard of antibiotic-resistant bacteria is emerging as an important issue. Methods: Monitored indicator microorganism constituents were totak coliform (TC), fecal coliform (FC), and aerobic bacteria. The multi-antibiotic-resistant bacteria were identified from investigated indicator microorganisms by 16S rRNA sequencing. Results: By microbiological analysis, the largest population of aerobic bacteria ($1.5{\times}10^5$ CFU/g) was found in cattle fecal compost, and total coliforms ($1.1{\times}10^7$ CFU/g) and fecal coliforms ($1.0{\times}10^5$ CFU/g) were found primarily in swine fecal compost, while the lowest population was found in fowl fecal compost. Among the 67 strains separated from aerobic bacteria, five strains expressing high antibiotic resistance were selected in each sample. We found the multi-antibiotic resistant strains to be Shigella boydii, Staphylococcus lentus, Acinetobacter sp. and Brevibacterium luteolum.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creasing numbers of multi-antibiotic-resistant bacteria in the environment have a close relation to the reckless use of antibiotics with livesto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