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east milk jaundice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9초

건강한 만삭아에서 모유황달의 발생 빈도 (Incidence of breast milk jaundice in healthy full-term infants)

  • 윤용호;최경은;김경아;고선영;이연경;신손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11호
    • /
    • pp.1072-1077
    • /
    • 2007
  • 목 적 : 엄마 젖을 먹는 신생아에서 조기 모유황달과 모유 황달의 발생 빈도가 우리나라에서는 더 높은 것으로 추정되나 이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여, 모유를 수유하는 우리나라 건강한 만삭아의 모유 황달의 발생 빈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5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1년 동안 제일 병원에서 출생하고 제일 병원 산후 관리 센터에 입실하여 7일 이상 추적 관찰이 가능한 건강한 만삭아 839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육안적으로 황달이 관찰된 경우 경피적 빌리루빈 측정기 JM-103 jaundice meter(Konica Minolta sensing, Inc., Osaka, Japan)를 이용하여 매일 경피적 빌리루빈치의 변화를 조사하여, 이를 통하여 모유 수유를 하는 건강한 만삭아의 황달 발생 빈도를 알아 보았다. 결 과 : 대상아 중 완전 모유 수유 군은 251명(29.9%), 혼합 수유 군은 568명(67.7%), 조제 분유 수유 군은 20명(2.4%) 이었으며, 세 군간에서 성별, 출생 체중, 아프가 점수, 산과적 위험 인자 등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분만 형태에서는 완전 모유 수유 군에서 질식 분만이 유의하게 많았다. 모유 황달은 완전 모유 수유 군에서 31예(10.8%), 혼합 수유 군에서 21예(4.4%)로 전체 모유 수유아의 6.3%에서 나타났고, 완전 모유 수유 군에서 혼합 수유 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조기 모유 황달은 완전 모유 수유 군에서 63예(24.3%), 혼합 수유 군에서 149예(26.2%)로 모유 수유아의 25.6%에서 나타났으나, 완전 모유 수유 군과 혼합 수유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모유를 수유하는 우리나라의 건강한 만삭아에서 모유 황달의 발생 빈도는 6.3%, 조기 모유 황달의 발생 빈도는 25.6%였으며, 서양인에 비하여 모유 황달의 발생 빈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지속성 고빌리루빈혈증과 연관된 모유 황달에서 UGT1A1(Gly71Arg, TATA box) 다형성에 대한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Gly71Arg and TATA box polymorphism of GT1A1 gene and prolonged hyperbilirubinemia of breast milk feeding infant in Korean)

  • 이재명;한영지;김지숙;김은령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2호
    • /
    • pp.150-155
    • /
    • 2008
  • 목 적 : 모유 황달은 지속성 황달을 일으키는 중요한 원인이다. 모유 황달은 모유의 여러 가지 성분으로 인해 일어난다고 알려져 있지만 아직 그 원인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나 이전의 연구에서는 모유 황달이 가족력과 관계있다는 결과도 제시되었다. 이에 저자들은 신생아 황달을 가진 모유수유 환아들에서 Gly71Arg와 TATA box 유전자의 다형성을 조사한 후 이것이 한국인 신생아의 지속성 황달과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혈중 빌리루빈 수치가 10 mg/dL 이상의 건강하고 위험인자가 없는 모유수유를 시행한 만삭아 중 신생아 황달 환자 50명과 대조군 162명으로부터 혈액 0.5 cc를 채취하여 DNA를 분리하였고 TATA box와 Gly71Arg 유전자를 PCR 증폭하였다. 이를 염기서열 분석 방법을 통해 각 유전자의 다형성을 확인하였다. 결 과 : Gly71Arg 다형성은 환자군 50명 중 2명(4.0%)에서 AA로 40명(80.0%)은 GA로 나타났으며, 유전자가 분석된 대조군 129명 중 5명(3.9%)에서 AA로 4명(3.1%)은 GA로 나타났고, 대립유전자 빈도는 대조군에서 44.0% 환자군에서 5.5%로 나타났다(P=0.000001). TATA box는 환자군 50명 중 1명에서 $A(TA)_6TAA/A(TA)_7TAA$로 나타났으며 대조군에서 모두 $A(TA)_6TAA/A(TA)_6TAA$로 나타났다. 결 론 : 모유수유한 한국인 신생아 지속성 고빌리루빈혈증에서 UGT1A1의 Gly71Arg과 TATA box의 다형성을 확인하였으며, Gly71Arg 유전자의 다형성은 고빌리루빈혈증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의미 있게 증가되어 모유수유한 한국인 신생아 지속성 고빌리루빈혈증과 연관이 있었고, TATA box의 다형성은 연관이 없었다.

산후 모유수유 교육프로그램이 수유행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a Breastfeeding Educational Program on Feeding Behavior)

  • 남은숙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282-295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n educational program on parturient women's feeding behavior One hundred and twenty seven mothers who delivered in one general hospital in Seoul participated in the study, 66 mothers of whom were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 and 61, to control group. The data collection was done from April 20 to June 30 in 1997 and the educational program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on the third postpartum day and telephone calls were made on the fourth and the twelfth postpartum week to investigate feeding behavior after discharg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Chi-square test and descriptive statistics.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Breast-feeding rat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x^2$=6.578, p=.043). 2. Background variables affecting feeding behavior were age and feeding plan(age: $x^2$=8.660, p=.070, feeding plan : $x^2$=25.762, p=.000). 3. The insufficient milk supply was the main cause of discontinuing breast-feeding and others were mother's job, baby's jaundice and diarrhea, baby's refusal to suck breastmilk. In conclusion, the breast-feeding educational program which was applied in this study is effective in the promotion of breast-feeding.

  • PDF

모유수유 전화 상담 내용의 분석 (Analysis of the Content of Telephone Counseling with Breastfeeding mothers)

  • 김혜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7-29
    • /
    • 1995
  • This study was done to analysis data on breastfeeding mothers. This stud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telephone counseling in one metropolitan area. The subjects who had received consultation about breastfeeding were 100 breastfeeding mothers. The period of consultation was from Mar. 9, 1994 to August 23, 1994. Consultants were referred from UNICEF, hospitals, TV, newspapers or magazines. Analysis of the problem patterns resulted in 11 classifications. These were physio -anatomical factors(11 cases) , psychological factors(15 cases), breastfeeding methods(21 cases), breastfeeding intervals and frequency(19 cases) , disease in the breastfeeding mothers(13 cases), disease in the babies (12 cases), lack of support (4 cases), food and drugs while breastfeeding(5 cases), weaning(11 cases), others(27 cases). The highest frequency was for breastfeeding methods (21 cases). When the contents of the counselling were analyzed for the 100 cases, 36 problem patterns were identified. Patterns with over 10 responses were diarrhea, insufficient milk supply, sore and cracked nipples, weaning, inverted nipples and jaundice. The age of infants when mothers were telephoned was as below : 1 week(28 cases), 2 weeks(12 cases), 3-4 weeks(18 cases), 5-8 weeks(7 cases), 9 weeks-3 menths(4 cases), 4 menths-6 months(12 cases), over 6 months(2 cases), and the number of pregnant women was 12. The nursing diagnosi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problem patterns and each diagnosis was assigned an appropriate Problem Pattern The total number of nursing diagnoses was 22. When clients are referred for counselling nurses need guidelines about problems, possible causes and nursing. In this study, the example of guidelines for sore nipples is suggested. The recommendations based on the telephone counseling results are as follows : Prenatal education about the advantages of breastfeeding and breast care, and home visits after delivery for counseling related to breastfeeding. During the hospital stay, nursing intervention such as education on breastfeeding methods using slides, audio-visual tapes, pamphlets are needed as well as an initial trial of breastfeeding. Further research is indicated on the perceived lack of breast milk and on the effectiveness of nursing interventions to pro-mote breastfeeding.

  • PDF

미숙아의 일반적인 특성과 수유방법에 관한 조사 (A Survey o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Feeding Methods of the Premature Infants)

  • 이승림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4권4호
    • /
    • pp.361-370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medical nutrition therapy of premature infant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presence of metabolic disorders, hematological profile and feeding methods were compared between the premature infant group (<37 weeks, n=61) and the full-term infant group (37$\sim$42 weeks, n=165). Birth weight (p<0.0001), birth length (p<0.005), head circumference (p<0.0001), chest circumference (p<0.0001), and Apgar scores (p<0.0001) of the neonates were all statistically lower in the premature infant group. Jaundice cases (p<0.0001) were statistically higher in the premature infant group. White blood cell counts (WBC: p<0.005), mean corpuscular volume (MCV: p<0001), mean corpuscular hemoglobin (MCH: p<0.005), mean corpuscular hemoglobin concentration (MCHC: p<0.005), and mean platelet volume (MPV: p<0.05) were statistically lower in the premature infant group. The premature infant group were fed a higher rate of premature formula than breast milk and the full-term infant group were fed a high rate of human milk at a higher rate, showing differences in kinds of feeding methods (p<0.0001) between the two groups. An infant's birth weight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infant's birth length (p<0.0001), head circumference (p<0.0001), chest circumference (p<0.0001), and Apgar scores(p<0.0001). The birth length also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both head circumference (p<0.05) and chest circumference (p<0.05). Head circumference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chest circumference (p<0.0001) and Apgar scores (p<0.0001). Chest circumference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Apgar scores (p<0.0001). In addition, the Apgar Score at of 1 minute after birth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Apgar score at of 5 minute after birth (p<0.0001).

  • PDF

소아 환자를 진료하는 의사들의 영아기 영양에 대한 상담 실태 조사 (Survey on Counseling about Infant Nutrition Among Doctors on Practicing Pediatric Patients in Primary Medical Facilities)

  • 도은정;이은실;신손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11호
    • /
    • pp.1332-1339
    • /
    • 2002
  • 목 적 : 이 연구는 소아과 진료를 표방하는 1차 의료 기관의 의사를 대상으로 영아기의 영양에 대한 설문 조사를 통해 이들이 영아기 영양에 대하여 얼마나 바르게 상담을 해 주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하였다. 방 법: 2000년 7월부터 8월까지 대구광역시에서 개원을 하고 있거나 봉직하고 있는 소아과 전문의(1군)와 소아과를 진료과목으로 표방하고 있는 비 소아과 전문의 또는 일반의(2군)를 대상으로 영아기 영양에 관한 육아 상담 내용을 미리 작성한 객관식 10문제를 이용하여 방문조사 하였다. 조사에 참여한 의사는 267명으로 소아과 전문의가 101명, 비 소아과 전문의 또는 일반의가 166명이었다. 비 소아과 전문의는 내과 63명, 일반외과 21명, 산부인과 20명, 가정의학과 16명, 이비인후과 7명, 정신과, 흉부외과, 신경과 전문의가 각각 1명이었다. 전문의 자격이 없는 일반의는 36명이었다. 결 과 : 100점 만점으로 평가한 결과 1군의 점수는 $73.0{\pm}15.8$점, 2군은 $45.1{\pm}18.4$점으로 두 군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다(P<0.05). 비소아과 전문의 중 전문 과목에 따른 점수는 내과 전문의가 $46.5{\pm}20.2$, 산부인과 전문의 $44.5{\pm}20.6$, 일반외과 전문의 $40.5{\pm}15.6$, 가정의학과 전문의 $56.3{\pm}16.9$, 이비인후과 전문의 $47.1{\pm}15.0$, 이었고 일반의 $45.3{\pm}16.3$ 점이었으며 타과 전문의와 일반의사 간의 점수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각 질문 항목에는 모유 수유 권장 기간, 모유 수유 중에 무른 변을 보이는 경우, 모유 수유시에 나타나는 황달의 대처 요령, 이유식의 시작 시기, 시판 이유식을 먹이는 형태, 식물성 분유에 대한 지도 방침, 선식에 대한 지도 방침에 대한 질문에 대한 대답이 1군과 2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 론 : 본 조사 결과 소아과 전문의들에 비해 타과 전문의들이나 일반의들은 영아기의 영양에 대해 부적절하게 상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소아과 전문의들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과 함께, 타과 전문의에 의한 부적절한 상담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대처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비타민 K 결핍에 의한 출혈로 증상 발현한 담즙정체증 (Bleeding due to Vitamin K Deficiency as Presenting Symptom of Cholestasis)

  • 배원태;염정숙;박은실;서지현;임재영;박찬후;우향옥;윤희상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8권2호
    • /
    • pp.257-262
    • /
    • 2005
  • 비타민 K 결핍은 드물지만, 소량의 출혈이 지속적일 때 의심할 수 있으며, 담즙정체증과 성장 부진이 있을 때 동반될 수 있다. 저자들은 신생아기와 영아기의 비정상적인 출혈을 주소로 내원하여 담즙 정체증에 의한 비타민 K 결핍으로 진단되었던 2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 PDF

신생아와 영유아 로타바이러스 위장염의 임상 경과에 대한 비교 (Comparison of Clinical Manifestations of Rotaviral Gastroenteritis between Neonates and Infants)

  • 박민경;박재옥;김창휘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9권2호
    • /
    • pp.153-161
    • /
    • 2006
  • 목 적: 로타바이러스는 영유아 급성 설사증의 대표적인 원인 병원체로써 전 세계에 걸쳐 분포한다. 신생아에서의 로타바이러스 감염은 1975년에 Chrysite 등에 의해 처음 보고된 후 원내 장염의 중요한 원인체로 알려졌으며, 신생아는 영유아와 다른 임상 양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신생아의 로타바이러스 감염증의 임상적 고찰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여 저자는 로타바이러스 감염으로 입원한 신생아와 영유아를 대상으로 임상 양상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1년 2월 1일부터 2003년 1월 31일까지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에 장염으로 입원하여 시행한 로타바이러스 항원 검사 양성인 신생아 104명, 영유아 250명을 대상으로 성별, 계절별 분포, 임상 증상, 동반된 질환, 수유 방법에 따른 발생 빈도 등을 비교하였다. 결 과: 계절별로 보면 영유아에서는 2~6월 사이에, 신생아는 10~12월 사이에 발생률이 높았다. 임상 증상은 영유아에서는 설사, 구토, 발열이 가장 흔했고, 경련이 발생한 경우가 있었으며, 신생아에서는 발열과 설사 증상 외에 탈수와 동반된 대사성 산증, 황달, 보챔, 무호흡, 혈변, 위 잔류, 끙끙거림의 비특이적인 증상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그밖에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으나 수유량 감소, 기면, 구토 등의 증상도 보였다. 동반된 질환으로 영유아는 상기도 감염, 폐렴, 기관지염 등의 호흡기 질환이 많았으며, 그밖에 요로감염, 장중첩증, 출혈성 위염, 간염, 가와사키병이 동반되었다. 신생아에서는 괴사성 장염이 의미 있게 동반되었고, 그밖에 상기도 감염, 폐렴, 요로감염이 있었다. 수유 방법에 있어서는 로타바이러스 감염 환아 중 신생아와 영아 모두 분유 수유아가 모유 수유아보다 많았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결 론: 신생아에서의 로타바이러스 감염은 영유아와 달리 황달, 보챔, 무호흡, 혈변, 위 잔류, 수유량 감소, 기면 등의 비특이적인 증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염두에 두고 진단하려고 노력해야 한다. 로타바이러스는 영유아는 물론 신생아에서도 중요한 원인체로 밝혀지고 있으므로 향후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보다 쉽고 간편한 진단 방법, 병원체 분리, 감염 경로, 면역 반응 및 예방과 치료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