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assinolide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4초

옥수수 종실의 Brassinosteroid 활성물질 탐색 (Brassinosteroid Substances in Immature Zea mays Seeds)

  • 박근형;김선재현규환
    • KSBB Journal
    • /
    • 제8권3호
    • /
    • pp.300-305
    • /
    • 1993
  • 옥수수 종설에 존재하는 brassinosteroid 활생물질 을 탐색하기 위하여 MeOH로 추출하고, 이 추출물을 rice inclination test를 지표로 용매분획, silica g gel adsorption chromatography, Sephadex LH-20 c chromatography, charcoal adsorption chromato­g graphy, bondesil chromatography 등의 수법으로 b brassinosteroid 활생물질을 정제한 다음, silica gel 흡착 chromatography로 활생 성분을 분리하고 H HPLC에 의해 활성 본체를 구명한 결과, castas­t terone과 teasterone이 동정되었는데, 대부분 cas­t tasterone형태로 존재하였다. 옥수수 종실에 함유된 b brassinosteroid함량은 brassinolide로 환산하여 생 체중량 g당 3-8ng 수준이였다.

  • PDF

Brassinolide와 Auxin과의 상호작용의 생물검정에 의한 평가 (Interaction between Brassinolide and Auxins on Bioassays)

  • 최충돈;김순철;이수관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58-64
    • /
    • 1990
  • 최근 국내에서 연구가 시작되고 있는 신규 식물생장조정제인 brassinolide류와 기존의 auxin류를 혼용하였을 경우 상호작용성을 구명하여 농업적 이용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몇가지 생물검정법을 이용하여 상호작용의 결과를 분석해 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간다. 1. 벼 엽신기부굴절검정에서는 두 화합물의 저농도 혼용조합에서 길항적인 반응을 보였으나, 대부분의 조합에서는 상가 또는 상승작용을 하였으며, 고농도의 혼용일수록 상승효과가 높았고, IAA가 2, 4-D에 비해 다소 혼용효과가 높았다. 2. 귀리 자엽소신장검정에서는 HBR의 농도에 관계없이 IAA 0.1ppm 이하에서는 상승작용을 하였으나 0.3ppm 이상의 혼용에서는 상가적인 반응을 나타내었다. 3. 무 하배축신장검정에서는 자엽의 유무에 의해 반응이 다르게 나타났는데, 자엽을 제거한 절편에서는 IAA 3ppm과 HBR과의 혼용조합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혼용조합이 길항적인 반응을 보였다. 4. 이상에서와 같이 검정방법간 혼용효과가 뚜렷한 차이가 있었으며, 공시재료에 따라 상호작용의 효과가 다르게 나타났는데 auxin의 함량이 비교적 높은 생장점을 가진 절편에서는 대체로 길항작용을 보인 반면, 선단부를 제거하여 내생호르몬이 불안정한 절편에서는 상가 또는 상승작용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