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and extension

검색결과 143건 처리시간 0.025초

Types of Brand Extension and Leverage Effects of Brand Image in the Korean Apparel Market

  • Lee, Ji-Yon;Rhee, Eun-Young;Lee, Yu-Ri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4권1호
    • /
    • pp.1-14
    • /
    • 2003
  • This study examines apparel brand extensions in terms of types and leverage effects. The researchers identified types of apparel brand extensions based on recent data gathered from the Korean apparel market. Three hundred forty eight Korean female subjects in their 20's evaluated three hypothetically extended brands from a major casual brand which actually exists in the Korean market. Major findings of the study follow. First, apparel brands are extended to different product categories by adjusting mostly target profiles as well as product usage, product class, and distribution channel. Secondly, leverage effects, the extent of image transfer from the parent brand to extended brands,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extension types.

모 브랜드의 제품유형 및 관여유형이 일치.불일치 확장브랜드 평가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roduct Types and Consumer Involvement on Consistent and Inconsistent Brand Extensions)

  • 최인혁;김기석;박주영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5권3호
    • /
    • pp.67-92
    • /
    • 2005
  • 본 연구는 브랜드 확장의 단점에도 불구하고 마케팅의 효과 및 효율측면에서 항상 고민하는 마케터들이 전략적으로 브랜드확장을 꾀하고자 할 때, 브랜드확장의 위험을 줄이고 성공가능성을 높이는데 일조하고자 실시되었다. 특히 본 연구는 제품유형을 실용제품과 쾌락제품으로 구분하고, 모 브랜드의 제품유형과 일치하는 제품유형으로 브랜드 확장을 하는 경우와 불일치하는 제품유형으로 확장하는 경우에 소비자가 확장 브랜드에 대하여 보이는 반응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모 브랜드의 제품유형과 일치하는 제품유형으로 확장한 브랜드가 불일치하는 제품유형으로 확장한 브랜드보다 소비자에게 보다 긍정적으로 평가를 받았다. 또한 브랜드확장 전략 수행 시 모 브랜드와 제품유형을 일치시키는 것이 모 브랜드의 제품유형이 쾌락제품일 경우보다 실용제품일 경우 더욱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서 나아가 소비자가 몰입하는 인지적 또는 감성적 관여유형에 따라 브랜드확자엥 대한 보지가의 평가는 모 브랜드의 제품유형 및 일치 불일치 확장유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패션광고 유형과 패션브랜드 확장, 소비자 혁신성이 광고신뢰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ype of fashion advertisement, brand extension and consumer innovativeness on advertising credibility)

  • 김선아;황선진
    • 복식문화연구
    • /
    • 제26권5호
    • /
    • pp.714-726
    • /
    • 2018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he type of advertisement, brand extension, and consumer innovativeness on the credibility of fashion advertisements. The factorial design is constructed as a 2(type of fashion advertisement: general vs. cross-media) ${\times}2$(consumer innovativeness: high vs. low) ${\times}2$(the type of fashion brand extension: similar vs. dissimilar) three-way mixed design in which consumer innovativeness is the between-subjects variabl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210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30s who resid in Seoul and had SNS experiences. Frequency analysis, credibility analysis, three-way ANOVA, and simple interact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20.0 statistics packag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ype of fashion advertise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dvertising credibility. Cross-media advertisements had a more positive effect than general advertisements on all of the dependent variables. Also, the type of brand extension and consumer innovativeness showed significant effect on advertising credibility an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type of fashion advertisement and consumer innovativeness was significant. Lastly, the effect of different types of brand extensions on advertising credibilit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consumer innovativeness. Thus, a marketing strategy using cross-media advertising is proven to be effective in gaining consumer trust for a fashion brand.

기존 및 확장브랜드의 텍스타일 패턴디자인 개발유형 비교 연구 - 이태리 패션브랜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tyle of Textile Pattern Design Comparing Italian Fashion Brand and Its Extension Brand -Focus on Italian Fashion Brand -)

  • 이은옥
    • 복식문화연구
    • /
    • 제10권2호
    • /
    • pp.146-159
    • /
    • 2002
  • This study examines the textile pattern design of Italian fashion brands and their brand extensions by comparing their images. Five Italian fashion brands are chosen and the textile pattern design of their brand extensions, which were presented during the eight collection. Then their design style is compared with the design style of their main brands. The five main brands and their brand extensions are as fellows: Anna Molinari-Blumarine, Dolce & Gabbana-D&G, Girogio Armani-Emporio Armani, Gian Franco Ferre'-GFF, and Prada-MiuMiu. Their color, motive type, motive layout, motive expression, and pattern drawing technique are examined and compared. Results suggest that most brand extensions generally use color, motive type motive layout. and motive expression similar to their main brands. In particular, their pattern drawing technique is a painting style white their main brands use a graphic style. This result suggests that to create and develop new brand extensions, Italian fashion (main brand) firms in general employ color, motive type, motive layout, and motive expression technique similar to main brands, but different drawing technique to differentiate from their main brand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extile pattern design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veloping new brand extensions and thus should be considered as a crucial part of the product.

  • PDF

스토리텔링 마케팅을 위한 농가 브랜드 개발 사례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arm Branding for Value-added Agricultural Products)

  • 김경희;박덕병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19권3호
    • /
    • pp.729-755
    • /
    • 2012
  • The role of branding has been to differentiate products, but brands have been increasingly applied to organizational image too. The brand image holds a key position by the marketing system in this era.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case for the development of farm brand. A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ase for development of farm brand in connection with agricultural products and their business operation. The farms used various stories in the process of develop brand including farm history, cultivation process, product, management, relationship with consumers. The study present the findings divide into brand naming, image, positioning. The farms built trust by consumer relationship with the farm brand. The results of the study provide insights for agricultural marketers who intend to design brand stories that align with their produce.

모브랜드 태도가 브랜드확장 제품의 시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지각된 유사성과 모브랜드 소비경험의 조절역할 (The Effect of Attitude toward Parent Brand on Trial Intention of Brand Extensions and the Moderating Role of Perceived Similarity and Consumption Experience of Parent)

  • 박지연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59-67
    • /
    • 2019
  • 기존 연구들은 브랜드확장의 효과성을 예측하기 위한 지표로 구매의도를 주로 활용하고 있다. 이와 달리 본 연구는 브랜드확장된 신제품에 대한 소비자 반응을 예측하는데 더 적절한 지표로 시용의도를 제시함으로써 선행요인을 바탕으로 도출한 영향요인인 모브랜드 태도, 지각된 유사성, 모브랜드 소비경험이 확장브랜드 제품의 시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모브랜드 태도가 확장브랜드 제품 시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또한 두 변인간의 관계에서 지각된 유사성과 모브랜드 소비경험의 조절적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브랜드확장 제품의 사용경험이 있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실험조사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분석에는 최종적으로 186개의 자료가 사용되었으며 회귀분석과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브랜드확장제품의 시용의도에 대한 모브랜드 태도의 강력한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지각된 유사성이 높을수록 모브랜드 태도가 브랜드확장 제품의 시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모브랜드에 대한 소비경험이 많을수록 두 변인 간의 관계가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기존연구와는 달리 소비자 관점에서의 브랜드확장 제품의 시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을 밝혔다.

브랜드컨셉과 사고방식이 비유사 브랜드확장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Brand Concept and Thinking Styles on the Non-similar Brand Extension)

  • 김귀곤;김종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3호
    • /
    • pp.71-78
    • /
    • 2012
  • 본 연구는 모브랜드로부터 상당한 거리가 있는 제품범주로의 브랜드 확장(비유사 브랜드확장)에 영향을 미치는 모브랜드의 컨셉과 사고방식의 주효과는 물론, 이들 변수간의 상호작용효과인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속옷브랜드인 캘빈클라인(상징적 컨셉)과 보디가드(기능적 컨셉)를 모브랜드로 선정하였으며 확장제품으로는 지갑을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1) 기능적 브랜드컨셉보다 상징적 브랜드컨셉에서 브랜드 확장의 적합성 판단 및 평가가 높게 나타났으며, 2) 종합적 사고자들이 분석적 사고자들보다 브랜드 확장의 적합성을 높게 판단하고 호의적으로 평가하였다. 뿐만 아니라 3) 상징적 브랜드에서는 사고방식에 따른 적합성 판단 및 평가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기능적 브랜드에서는 상대적으로 큰 차이를 보여 변수들 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글로벌 시장 환경 하에서 기존의 브랜드컨셉을 고려한 다양하고도 실질적인 마케팅전략을 수행하는데 상당한 기여를 할 것이다.

이미지를 활용한 지역브랜드 개발 (Developing Local Brand Using Image)

  • 김미희;박덕병;노경희;손은호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17권4호
    • /
    • pp.827-849
    • /
    • 2010
  •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brand image for developing place name and local brand to create effective development. The data were collected purposive sampling technique by face-to face interview. 154 of resident and 152 of visitor in Seocheon county were used for analysi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NOVA and factor analysis. The study found that it was deducted as passionate, comfortable, conservative image through exploring factor analyze that was about brand image's individuality in Seocheon county. And, it had an order that was Konmoe (29.2%), Solli(20.8%), Soya(17.5%) on resident, Konmoe(30.9%), Solli(19.7%), Munitgol(16.4%) on visitor, in place name favorable degree of the nature village. Results suggest that place name be utilized by brand individuality for place marketing effectively.

PL의 브랜드확장이 소비자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모브랜드 적합도 인식 차이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Brand Extension of Private Label on Consumer Attitude - a focus on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perceived fit difference between parent brands and an extended brand -)

  • 김종근;김향미;이종호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6권4호
    • /
    • pp.1-27
    • /
    • 2011
  • 브랜드확장은 다양한 마케팅 영역 중에서도 전통적으로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어 왔던 영역으로서, 본 연구는 최근 그 중요성이나 활용도가 급증하고 있는 PL(Private Label)제품에 대해 브랜드확장의 개념을 활용하여 차별적으로 접근하고자 하였다. 최근 PL제품에 관한 마케팅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대부분 기존 틀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한 채 단순한 적용에 그치고 있으며, 특히 브랜드확장에 관련된 연구들에서도 PL시장의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없다. 특히 PL제품의 확장에 있어서는 두 가지 모브랜드가 존재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연구는 부재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확장 PL제품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서 두 가지 모브랜드인 유통업체와 기존 PL제품에 대한 태도를 제시하였다. 또한 개별 모브랜드가 PL제품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개별 모브랜드와 확장 PL제품간 유사성에 의해 상이할 것이라고 제안하였으며, 유통업체와 기존 PL제품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서 신뢰와 만족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유통업체와 기존 PL제품에 대한 태도 모두 확장 PL제품의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동시에 적합도 정도에 따라 그 영향력이 상이함도 실제 데이터를 통해 검증하였다. 즉 확장 PL제품의 태도는 모브랜드의 적합도가 보다 강하게 형성된 모브랜드의 영향을 더 크게 받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향후 PL제품을 확장할 경우 소비자가 보다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는 모브랜드에 기초하여 해당 모브랜드와의 연상이 강하게 나타날 수 마케팅 전략을 구사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PDF

옴니채널 브랜드체험이 옴니채널 브랜드 관계형성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Influence of Omni-Channel Brand Experience on Omni-Channel Brand Relationship Formation and Achievements)

  • 옥정원;윤대홍;강열우
    • 서비스연구
    • /
    • 제8권3호
    • /
    • pp.97-114
    • /
    • 2018
  • 본 연구는 본 연구의 목적인 옴니채널 브랜드체험이 옴니채널 브랜드 관계형성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옴니채널 브랜드인 SSG.닷컴 이용경험이 있는 210명의 부산지역 대학생과 직장인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모형을 바탕으로 SPSS 25.0과 LISREL 8.30을 이용하여 가설을 검증한 결과 총 12개의 가설 중 1개의 가설(가설 5)을 제외하고 모든 가설이 채택되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옴니채널 브랜드 체험 및 관계형성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먼저 옴니채널 브랜드 체험은 브랜드 신뢰(가설 1), 브랜드 동일시(가설 2), 소비자-브랜드 관계(가설 3)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신뢰는 브랜드동일시(가설 4)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소비자-브랜드 관계(가설 5)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동일시는 소비자-브랜드 관계(가설 6)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소비자-브랜드관계는 재구매의도(가설 7), 구전의도(가설 8), 브랜드확장 수용성(가설 9)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옴니채널 브랜드 브랜드 성과간 관계는 다음과 같다. 먼저 재구매의도는 구전의도(가설 10)와 브랜드확장 수용성(가설 11)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전의도는 브랜드확장 수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