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ain gymnastics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4초

Effects of National Gymnastics and Brain Gymnastics on Frontal Lobe Activity

  • Jeon, Kyung Hee
    • 국제물리치료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896-901
    • /
    • 2015
  • The effects of national gymnastics and brain gymnastics on brain activity were analyzed in 20 healthy university students. The students were assigned to either a national gymnastics group or a brain gymnastics group. Their frontal lobe activity was recorded before and after the exercise, and the resting, attention, and concentration indexes of brain waves were measured. The resting index significantly decreased and concentration index significantly increased(p<.05) after the exercise in both the national and brain gymnastics groups. However, the attention index significantly increased only after brain gymnastics, and, on the contrary, decreased after national gymnastic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brain gymnastics is effective for improving attention.

뉴로피드백·뇌체조·한방차를 병행한 통합요법이 독거노인의 뇌기능 향상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Integrated Therapy of Neurofeedback, Brain Gymnastics, and Oriental Herbal Tea on the Improvement of Brain Functions and the Quality of Life of Elders living alone)

  • 정은실;이정은;정현모;김수경;윤미경;이은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569-581
    • /
    • 2016
  • 본 연구는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뉴로피드백 훈련과 뇌체조 그리고 한방차를 병행한 통합요법을 적용하여 독거노인의 뇌기능 향상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단일군 전후 설계인 실험 연구이다. 2014년 12월 22일부터 2015년 2월 28일까지 8주 동안, Y군에 거주하는 65세~90세의 독거노인 23명(남 10명, 여 13명)을 대상으로 뉴로피드백 훈련은 2 Channel Neurofeedback System을 이용하여 이완 집중 기억력을 중심으로, 뇌체조는 한국정신과학연구소에서 개발한 뇌체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각 1회 30분, 주 2회, 8주간, 16회를 하였다. 그리고 한방차는 동의보감과 여러 선행연구를 토대로 개발하여 조제한 한방차를 8주간, 매일, 하루 3잔 음용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통합요법이 뇌기능지수 중 긴장도와 항스트레스 지수가 유의하게 변화하여 뇌기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삶의 질에서는 혈압과 혈당이 낮아지고, 삶의 질, 일상생활, 우울증상 등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다. 결론적으로 통합요법이 독거노인의 뇌기능 및 삶의 질을 의미 있게 향상 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러므로 뉴로피드백 훈련, 뇌체조 및 한방차를 병행한 통합요법이 독거노인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반드시 필요한 중재요법이며, 보다 실질적이고 체계적으로 심신을 치유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키게 할 것이다.

The Effect of Brain-computer Interface-based Cognitive Training in Patients with Dementia

  • Oh, Se-Jung;Ryu, Jeon-Nam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59-65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cognitive function of elderly dementia patients residing in a residential care facility, following six weeks of brain-computer interface (BCI)-based cognitive training and to determine whether BCI-based cognitive training effectively improves their cognitive functions. METHODS: Thirty subjects diagnosed with dementia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he experimental or control group. Pre- and post-test cognitive function assessments were conducted using the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 (MMSE-K) and Korean-dementia rating scale (K-DRS).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BCI-based cognitive training, which consisted of games such as flying a ball and exploding a bomb, while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music listening activities and National Health Gymnastics. Both groups engaged in a total of 18 sessions (3 times per week for 6 weeks, for 40 minutes per session). RESULTS: After 6 weeks of intervention,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ly increased MMSE-K scores ($19.53{\pm}1.30$ to $22.20{\pm}1.15$; p<.0011) and total K-DRS scores ($87.20{\pm}4.16$ to $99.33{\pm}1.15$; p<.0011). In additio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greater cognitive improvements tha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BCI-based cognitive training is a positive intervention tool for improving the cognitive function of dementia patients.

뇌교육 기반 학습캠프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Brain Education Based on Learning Camp Program for Children'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ttitude)

  • 신재한;김혜선;김진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477-485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두뇌 특성 및 기제를 고려하고 뇌과학에 근거한 뇌교육 기반 학습 프로그램을 단기간의 캠프 형태로 적용함으로써 초등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과 태도를 향상시키는데 그 연구의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전국 초등학생 4, 5, 6학년을 대상으로 2박 3일 동안 뇌교육 기반 학습캠프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2017년 2월 3일부터 5일까지 6학년 45명, 2017년 2월 22일부터 24일까지 4, 5학년 56명, 총 101명을 대상으로 두 차례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뇌교육 기반 학습캠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과 학습 태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뇌교육 기반 학습캠프 프로그램은 뇌체조, 호흡, 명상을 통해 학습 집중력을 높일 수 있다. 둘째, 뇌교육 기반 학습캠프 프로그램 중에서 '브레인스크린(Brain Screen)'이라는 심상훈련을 통해 기억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뇌교육 기반 학습캠프 프로그램을 통해 공부를 해야 하는 이유와 학습동기를 부여함으로써 '내 공부는 내가 한다' 라는 자기주도적 공부철학을 확립시킬 수 있다.

A study of the multicomponent therapeutic recreation function intervention strategy by analysis on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in dementia care center

  • Moon-Sook Lee;Byung-Jun Cho;Jae-Sik Ya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12호
    • /
    • pp.155-166
    • /
    • 2023
  • 이 연구는 치매안심센터 인지재활 프로그램의 현황 및 실태분석을 통한 활성화 방안과 다차원적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개발방향과 내용을 도출하고자 D시의 치매안심센타 인지재활 치료프로그램 참여 노인 각 50명씩(5개구)을 선정하였고, 9명을 전문가 집단 의견수렴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구성요소별 중요도 및 우선순위는 계층구조분석을 시행함으로써, 첫째, 현재 제공되고 있는 인지재활 지원 프로그램은 이용자의 요구와는 달리 지원프로그램이 충분하지 않아 경험이 상당히 낮게 나타났으며, 이에 대한 개선점으로는 돌봄이나 보호시설 확대와 이용자의 요구를 충족할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중요하다고 나타났고, 둘째, 치료레크리에이션 구성요소별 중요도와 우선순위는 대분류(6개) 운동요법, 중분류(16개) 운동요법의 행동중심 접근법, 소분류(47개) 힘뇌체조, 실버건강체조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 개발시 각 영역의 우선순위를 고려한 다차원적 프로그램 계획이 이루어져야 함을 보여주는 결과라 할 수 있다.

자세조절능력에 따른 뇌-척수 신경 반응기전의 역학적 해석 (Studies in Biomechanical Properties on Brain-spinal Cord Response Mechanism by Human Posture Control Ability)

  • 유경석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8권6호
    • /
    • pp.449-459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외발서기 동작 시 취득한 운동역학데이터로부터 주파수분석의 기법을 통하여 인체 운동명령신호가 어떻게 자세조절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는 자세역학의 토대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체조경력 10년 이상의 운동신경이 우수한 국가대표상비군(n=6)과 일반인(n=6)을 대상으로 발바닥 압력중심점(CoP)의 궤적데이터를 FFT신호처리기법에 의한 저주파대역Rambling (RM)과 고주파대역 Trembling (TR)의 주파수분석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눈뜨고 외발서기와 눈감고 외발서기 동작을 중심으로 두 집단 간 자세조절능력의 안정화지수 평가에서 독립표본 t검증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이러한 차이는 저주파대역 RM의 주요주파수 f1과 고주파대역 TR의 주요 주파수 f2의 최대진폭의 출력 차이로 밝혀졌다(p<.05). 특히 자세송환피드백에 관여하는 고유주파수인 저주파수대역에서는 주요주파수가 8-9 Hz 대역에서 뇌지시 하 안정적 자세조절의 운동기전을 행하는 운동명령으로 확인하였으며, 120-135 Hz의 고주파수대역에서는 자세 흔들림을 최소화하기 위한 반사적 근반응의 적응성을 보이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자세조절의 중추신경계 운동조절에 관여하는 고유주파수와 최대진폭에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됨으로서 외발서기 시 발바닥 압력조절에 의한 신호파형의 운동명령이 자세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