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ain, growth and development

검색결과 186건 처리시간 0.031초

실내 광조건에서 자생 상록 장미과 2종의 생육반응 (Growth Responses of Two Evergreen Species (Rosaceae) Native to Korea according to Indoor Light Conditions)

  • 이하민;이철희;조주성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1-61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실내 광조건에서 자생 장미과 상록 활엽 목본 2종의 생육반응을 조사하였다. 식물재료는 다정큼나무[Rhaphiolepis indica var. umbellata (Thunb.) Ohashi]와 비파나무[Eriobotrya japonica (Thunb.) Lindl.]의 3년생 실생묘를 사용하였다. 실내 광량은 10, 50, 100 및 200 PPFD (${\mu}mol{\cdot}m^{-2}{\cdot}s^{-1}$)로 설정되었으며, 광주기(12/12 h), 온도($25{\pm}1^{\circ}C$), 습도($55{\pm}3%$) 및 관수(1회/3일) 주기는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실내에서 8주간 재배한 다음 유리온실에서 동일 기간동안 재배된 대조구와 생육 및 광합성 능력 등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다정큼나무의 생육은 200 PPFD에서 대조구와 유사한 수준이었으며, 줄기직경은 광량과 정비례하는 경향이었다. 엽수는 대조구에 비해 고 광량(100, 200 PPFD) 조건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 처리 별 최대 양자수율(Fv/Fm) 및 광계II 성능지수(Pi_Abs)는 대조구와 유사한 수준이었으며, 광량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비파나무는 재배기간 동안 광량에 관계없이 생육변화가 크지 않았으나, 엽록소함량은 200 PPFD에서 가장 많았다. 한편 10 PPFD에서는 모든 개체의 잎 고사에 따른 관상가치가 하락하였다. Fv/Fm은 200 PPFD에서 대조구와 유사한 수준이었으며, Pi_Abs는 저광량(10, 50 PPFD) 조건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수치였다.

  • PDF

실내 광량조건에서 녹나무과 2종의 생육반응 (Growth Responses of Two Lauraceae Species under Indoor Light Intensity)

  • 장보국;이철희;오찬진;조주성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5-55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실내에 조사되는 다양한 광량하에서 녹나무과 목본 2종을 재배하면서 생육반응을 조사하였다. 식물재료는 참식나무[Neolitsea sericea (Blume) Koidz.]와 후박나무(Machilus thunbergii Siebold & Zucc.)의 3년생 실생묘를 사용하였다. 실험공간은 광량을 10, 50, 100 및 200 PPFD (${\mu}mol{\cdot}m^{-2}{\cdot}s^{-1}$)로 달리하였으며, 광주기(12/12 h), 온도($25{\pm}1^{\circ}C$), 습도($55{\pm}3%$) 및 관수(1회/3일) 조건이 동일하게 유지되는 밀실로 조성되었다. 각 광량조건 하에서 8주간 재배된 식물의 생육특성 및 광화학반응이 조사되었으며, 유리온실에 동일 기간동안 재배한 식물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참식나무는 광량에 관계없이 초장을 제외한 전반적인 생육반응이 유사하였으며, 엽록소함량(SPAD)은 광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최대양자수율(Fv/Fm) 및 스트레스지수(Fm/Fo)는 200 PPFD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이는 대조구와 유사한 경향이었다. 후박나무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모든 광량조건에서 초장이 감소하였으며, 특히 10 PPFD에서는 잎의 탈락에 따른 관상가치가 저하되었다. 엽록소함량은 100, 200 PPFD 광량에서 감소하였으며, 대조구도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유리온실의 대조구와 100, 200 PPFD 광량에서 최대양자수율, 스트레스지수 및 PSII 성능지수(Pi_Abs)의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 PDF

실내 광량조건에 따른 자생 상록 목본 3종의 생육반응 (Growth Responses of South Korea Three Evergreen Woody Species according to Indoor Light Intensity Conditions)

  • 장보국;이철희;오찬진;조주성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6-5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자생 상록 목본 3종의 실내도입을 위하여 몇 가지 광량조건에서의 식물생육 및 광화학 반응을 조사하였다. 식물재료는 황칠나무[Dendropanax trifidus (Thunb.) Makino ex H. Hara], 먼나무(Ilex rotunda Thunb.), 편백[Chamaecyparis obtusa (Siebold & Zucc.) Endl.]의 2년생 실생묘를 유리온실에 재배하면서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내에 조사되는 광환경을 측정하여 광량 10, 50, 100 및 200 PPFD(${\mu}mol{\cdot}m^{-2}{\cdot}s^{-1}$)를 처리구로 설정하였다. 실내환경은 광주기(12/12 h), 온도($25{\pm}1^{\circ}C$) 및 습도($55{\pm}3%$)를 유지하였으며, 1회/3일 간격으로 관수하였다. 유리온실에서 동일기간 동안 재배중인 식물을 대조구로 사용하였으며, 실험은 8주간 수행되었다. 황칠나무와 먼나무는 200 PPFD의 높은 광량에서 초장, 줄기직경, 엽장, 엽수 등의 생육수치가 우수하였다. 반면 두 종 모두 10 PPFD 광량에서는 재배기간 중 잎이 말라가는 현상이 관찰되었으며 8주차에 모든 식물체가 고사하였다. 이는 10 PPFD 광량에서 재배된 황칠나무와 먼나무의 광화학반응에서도 Fv/Fm (-0.10, -0.08) 및 Fm/Fo (0.91, 0.93)가 낮은 수치로 조사된 반응과 일치하였다. 한편 편백나무는 모든 광량조건에서 대조구에 비해 초장 및 줄기직경 등의 생육이 우수하였으나, 10 PPFD의 낮은 광량에서는 Fv/Fm (0.16) 및 Fm/Fo (1.60)가 타 처리구에 비해 낮은 수치로 조사되었다.

  • PDF

Biological Control of Apple Anthracnose by Paenibacillus polymyxa APEC128, an Antagonistic Rhizobacterium

  • Kim, Young Soo;Balaraju, Kotnala;Jeon, Yongh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2권3호
    • /
    • pp.251-259
    • /
    • 2016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suppression of the disease development of anthracnose caused by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and C. acutatum in harvested apples using an antagonistic rhizobacterium Paenibacillus polymyxa APEC128 (APEC128). Out of 30 bacterial isolates from apple rhizosphere screened for antagonistic activity, the most effective strain was APEC128 as inferred from the size of the inhibition zone. This strain showed a greater growth in brain-heart infusion (BHI) broth compared to other growth media. There was a reduction in anthracnose symptoms caused by the two fungal pathogens in harvested apples after their treatment with APEC128 in comparison with non-treated control. This effect is explained by the increased production of protease and amylase by APEC128, which might have inhibited mycelial growth. In apples treated with different APEC128 suspensions, the disease caused by C. gloeosporioides and C. acutatum was greatly suppressed (by 83.6% and 79%, respectively) in treatments with the concentration of $1{\times}10^8$ colony forming units (cfu)/ml compared to other lower dosages, suggesting that the suppression of anthracnose development on harvested apples is dose-dependent.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APEC128 is one of the promising agents in the biocontrol of apple anthracnose, which might help to increase the shelf-life of apple fruit during the post-harvest period.

학령기 아동의 영양실태와 신체발달 및 행동에 관한 조사연구 (A Survey of Nutritional Status, Physical Growth and Behavior of School Children)

  • 김선희;김숙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6권4호
    • /
    • pp.253-262
    • /
    • 1983
  • A surve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relationship between nutritional status and physical growth and behavior of school children. Dietary intakes, environmental factors, physical growth, personality, and cognitive development were measured in 323 children of 4 th and 6th grader in the urban and rural arca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average intakes of the food groups and nutrients except ascorbic acid were lower in rural children. Comparing the intakes of the rural children with RDA of the Korean children, 64.0% of them in protein, 99.3% in calcium, 84.6% in iron, and 73.5% in riboflavin consumed less than 75% of RDA. Environmental factor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nutrient intakes 2) Height, weight, and head circumference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nutrient intakes. Retarded growth due to malnutrition was supposed in the $rural^{1)}$ area. 3) Some domains of personality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nutrient intakes. 4) Environmental factors, physical growth, and nutrient intakes made independent contribution to variation in cognitive performance and their relative importance depended on the particular cognitive domain whe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undertaken. Environmental stimulation was largely associated with verbal usage, and economic status and nutrient intakes with numerical reasoning. Above findings support that nutritional deprivation retards brain growth and performance on various cognitive dimensions of children. Therefore, amelioration of the several adverse social, economical, environmental influences as well as the improvement of dietary intake is required to bring about a substantial enhancement of the physical growth and the mental development of children.

  • PDF

The Effect of High-Skilled Emigration,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Policy on the Growth Rate of Source Countries: A Panel Analysis

  • Kim, Jisong;Lee, Nah Youn
    • East Asian Economic Review
    • /
    • 제20권2호
    • /
    • pp.229-275
    • /
    • 2016
  • We study the effect of the high-skilled emigration rate on the growth rate of the source countries. We incorporate the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the policy variables into the panel model and also their interactions with the high-skilled emigration rate, as they are related to the network externality that may be created by the high-skilled emigrants working abroad. We apply the static fixed-effects model and compare it with the results obtained in the dynamic panel model with system generalized methods of moments estimators. We find the negative effect of the high-skilled emigration rate by itself and in its interaction with the foreign direct investment only in the dynamic model. However, we find positive coefficient for the interaction of the high-skilled emigration rate and the civil liberties index, which holds across the static and dynamic specifications. This implies that the effect of the high-skilled emigration rate on the growth rate of the source countries can be positive, and the extent is larger for countries with 'poor' civil liberties. The developing countries with low levels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inflows and 'poor' civil liberties can best benefit from the high levels of skilled emigration outward. Through finding significant interactions with other variables, we confirm that the high-skilled emigration should be considered along with other related variables in measuring its impact on growth. The implications offer suggestions for the international trade and aid policies.

쑥부쟁이속 6종의 새싹채소 발아, 재배 및 저장에 미치는 환경요인의 영향 (Effect of Environmental Factors on Sprout Germination, Growth, and Storage of Six Aster Species)

  • 김지수;조주성;이철희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5호
    • /
    • pp.638-646
    • /
    • 2015
  • 본 연구는 자원식물 종자의 유용성을 증대시키는 방법의 하나로 쑥부쟁이속 6종(가새쑥부쟁이, 눈개쑥부쟁이, 벌개미취, 참취, 해국, 쑥부쟁이) 새싹채소의 최적 생산방법을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적정 발아조건 구명은 온도(15, 20, 25, $30^{\circ}C$) 및 광조건을 달리하여 종자를 파종한 다음 발아율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길이생장 기간은 온도(15, 20, 25, $30^{\circ}C$)를 달리하여 암조건에서 10일간 진행하였다. 적정 녹화기간을 알아보기 위하여 최적의 발아조건과 길이생장 기간 동안 재배한 유묘를 0-3일간 광조건에서 재배하였다. 저장환경 및 기간을 알아보기 위해 최적조건에서 재배한 새싹 채소를 통기구가 있는 용기와 밀폐 용기에 각각 넣은 다음 $4^{\circ}C$$10^{\circ}C$에서 저장하였다. 연구의 결과, 종자는 발아율 조사를 통해 12일 이내에 50% 이상 발아하는 것을 선발하였다. 길이생장은 $20-25^{\circ}C$에서 생육이 우수하였고 최적의 재배기간은 7-9일로 구명되었다. 녹화기간이 길어질수록 길이생장은 지체되었으나, 하배축의 부피생장 및 떡잎의 생육이 왕성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여러 가지 요인을 고려하였을 때, 2일간의 녹화처리가 가장 좋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저장성 실험은 $4^{\circ}C$에서 저장한 밀폐 용기에서 저장성이 좋았으며 부패는 환기에 의해 방지되었으나, 수분함량이 감소하였다. 모든 새싹채소는 $4^{\circ}C$에서 3-6일간 신선도를 유지하였으며, 특히 눈개쑥부쟁이와 쑥부쟁이는 높은 저장성을 가져 $10^{\circ}C$에서도 3일 이상 저장이 가능하였다.

한국 유가공업의 발전과 전망 - 조제분유 (Development of Korean Dairy Industry - Infant Formula)

  • 진현석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23권2호
    • /
    • pp.155-160
    • /
    • 2005
  • 전세계 많은 나라들은 조제분유를 특수 영양식품으로 분류하여 관리에 각별히 신경을 쓰고 있으며, CODEX에서는 첨가되는 거의 모든 성분을 모유에 들어 있는 것이어야 하며, 또한 과학적으로 안전성이 입증된 것만을 넣을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 때문에 분유 메이커들은 제품 개발을 위해 많은 모유 및 우유 성분에 관한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모유의 조성에 맞추는 노력을 하고 있다. 국내산 분유는 외국 제품에 비해 면역기능 향상, 항-알레르기 능력 향상, 뇌와 소화기관의 발달 등을 돕는 성분이 강화되어 있다. 현재 생명과학기술의 진보와 각종 신기술의 도입으로 모유 및 우유속의 극미량 성분까지 분리정제가 가능함에 따라 다양한 기능성을 갖는 성분들이 상품화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해 조제분유를 개발하고 있다. 두뇌 발달 성분인 DHA, 아라키돈산 등과 면역기능 강화 성분인 뉴클레오타이드, 락토페린 등의 첨가 및 정장기능을 보이는 올리고당 등의 성분강화에서 이제는 뼈 성장 발달인자, 아토피 및 알레르기의 감소를 위해 가수분해물의 이용 등의 기능을 보강한 다양한 제품이 개발되어지고 있는 중이다.

  • PDF

Application of in Utero Electroporation of G-Protein Coupled Receptor (GPCR) Genes, for Subcellular Localization of Hardly Identifiable GPCR in Mouse Cerebral Cortex

  • Kim, Nam-Ho;Kim, Seunghyuk;Hong, Jae Seung;Jeon, Sung Ho;Huh, Sung-Oh
    • Molecules and Cells
    • /
    • 제37권7호
    • /
    • pp.554-561
    • /
    • 2014
  • Lysophosphatidic acid (LPA) is a lipid growth factor that exerts diverse biological effects through its cognate receptors ($LPA_1-LPA_6$). $LPA_1$, which is predominantly expressed in the brain, plays a pivotal role in brain development. However, the role of $LPA_1$ in neuronal migration has not yet been fully elucidated. Here, we delivered $LPA_1$ to mouse cerebral cortex using in utero electroporation. We demonstrated that neuronal migration in the cerebral cortex was not affected by the overexpression of $LPA_1$. Moreover, these results can be applied to the identification of the localization of $LPA_1$. The subcellular localization of $LPA_1$ was endogenously present in the perinuclear area, and overexpressed $LPA_1$ was located in the plasma membrane. Furthermore, $LPA_1$ in developing mouse cerebral cortex was mainly expressed in the ventricular zone and the cortical plate. In summary, the overexpression of $LPA_1$ did not affect neuronal migration, and the protein expression of $LPA_1$ was mainly located in the ventricular zone and cortical plate within the developing mouse cerebral cortex. These studies have provided information on the role of $LPA_1$ in brain development and on the technical advantages of in utero electroporation.

Neuroblastoma세포의 생존과 분화에 미치는 retinoic acid, thyroid hormone, 및 hydrocortisone의 작용 (Effect of Retinoic Acid, Thyroid Hormone and Hydrocortisone on Viability and Differentiation in SK-N-SB Neuroblastoma Cell Lines)

  • 이경은;배영숙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8권4호
    • /
    • pp.285-292
    • /
    • 2000
  • The effects of the members of the same nuclear receptor superfamily (all-trans retinoic acid (RA), thyroid hormone(T3) or hydrocortisone) on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in the SK-N-SH neuroblastoma (NB) cell lines were studied. NB cells were treated with RA, T3, or hydrocortisone at concentration of 10$^{-6}$ M or 10$^{-8}$ M for 3 days or 7 days. RA induced concentration- and time-dependent morphologic differentiation(neurite outgrowth and microtubule-associated protein expression) and growth inhibition in NB cells. Treatment of 10$^{-7}$ M T3 for 7 days increased viability and differentiation of NB cells. Treatment of 10$^{-6}$ M hydrocortisone for 7 days increased viability of NB cells. Although these three effectors are members of the same receptor superfamily, the regulation of brain development may be carried out in a different mann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