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adyrhizobium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18초

신개간지(新開墾地)에서 질소시비(窒素施肥)와 근류균(根瘤菌) 접종(接種)이 땅콩의 질소고정(窒素固定)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Fertilizer N Application and Bradyrhizobium sp. (Vigna) Inoculation on Symbiotic N2 Fixation of Peanut at Newly Reclaimed Soil)

  • 이상복;최윤희;김무기;박건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20-226
    • /
    • 1990
  • 질소시비(窒素旅肥)와 근류균접종(根瘤菌接種)이 땅콩의 질소고정(窒素固定)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고자 호남지역(湖南地域) 야산신개간지(野山新開墾地) 토양(土壤)에 질소무시비(窒素無旅肥)에서 32kg/10a시비(旅肥)까지 5수준(水準)으로 하고 국내(國內)에서 선발(選拔)한 B. sp. HCR-3와 HCR-46균주(菌株)를 각각(各各) 영호(嶺湖)땅콩에 접종(接種)하여 얻어진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땅콩접종후(播種後) 근권(根圈)에서 접종균주(接種菌株)의 생존세포수(生存細胞數)는 질소시비량(窒素旅肥量)이 증가(增加)할수록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었고 땅콩이 생육(生育)함에 따라 20일(日)까지는 감소(減少)하다가 그 이후(以後) 증가(增加)하여 125일(日)에는 8kg/10a이하(以下) 시비구(施肥區)에서 초기접종수준(初期接種水準)에 달하였다. 2. 근류수(根瘤數), 근류중(根瘤重), 질소고정활성(窒素固定活性)은 질소(窒素)를 증시(增施)할수록 감소(減少)되었고 균접종(菌接種)으로 인하여 무접종(無接種)보다 증가(增加)되었다. 3. 건물생산량(乾物生産量)과 질소흡수(窒素吸收)량은 질소(窒素)를 증시(增施)할 수록 증가(增加)되었으며, 균접종(菌接種)은 무접종(無接種)보다 소비구(少肥區)에서는 높았으나 다비구(多肥區)일 수록 차이가 없었다. 4. 종실수량(種實收量)은 무접종구(無接種區)에서는 질소(窒素) 8kg/10a시비구(施肥區)에서 가장 높았으나, 접종구(接種區)에서는 8㎏/10a 시비구(施肥區)까지는 차이(差異)가 없었고 그 이상(以上) 증시(增旅)할수록 접종(接種), 무접종(無接種) 모두 감소(減少)하였으며, 또한 질소무시용하(窒素無旅用下)에서 근류균접종(根瘤菌接種)은 무접종(無接種)에 비(比)하여 27~32%증수(增收)되었는데 이는 질소(窒素)로써 8kg/10a시비(旅肥)와 유사(類似)하였다.

  • PDF

Bradyrhizobium japonicum에 외부유전자(外部遺傳子)의 도입(導入)과 대두(大豆)에 대한 접종효과 (Transfer of foreign Genes into the Bradyrhizobium japonicum and their Inoculation Effects on Soybean Plants)

  • 김용웅;김길용;이영환;김광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87-393
    • /
    • 1992
  • 접종근류균(接種根瘤菌)의 소장(消長)을 유전공학적(遺傳工學的)으로 조제(調劑)한 Bradyrhizobium japonicum RJB6 $str^rnal^rneo^r$을 이용(利用)하여 연구(硏究)하였다. 전남(全南)일대로 부터 분리(分離) 동정한 균(菌)에 먼저 streptomycin과 nalidixic acid에 저항성(抵抗性)을 갖는 spontaneous mutant를 유도하고 이어 pSUP2021를 함유(含有)하고 있는 E. coli와 conjugation하여 neomycin 저항성(抵抗性) gene(Tn5)을 도입(導入)하였다. Southern hybridization한 결과(結果) 4.9kb상에서 Tn5를 확인(確認)했다. 서로 다른 균밀도(菌密度)로 파종(播種)한 40일후, 크로로필을 제외한 근류수(根瘤數), 근류신선중(根瘤新鮮重), 간장 및 질소함량이 low cell suspension 처리구보다 heavy cell suspension 처리구에서 약간 높았다. 표식균주(標識菌株)의 회수율(回收率)은 heavy cell suspension 처리구에서 12%인 반면, low cell suspension 처리구에서는 5%에 지나지 않았다.

  • PDF

땅콩 근류균(根瘤菌)(Bradyrhizobium sp. HCR-46) 접종이 Cowpea군(群) 두과작물(豆科作物)의 질소고정(窒素固定)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Inoculation of Peanut Bradyrhizobium sp. HCR-46 on the Nitrogen Fixation of Cowpea Group Legume)

  • 최윤희;이상복;정지호;소재돈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78-386
    • /
    • 1992
  • Cowpea군(群) 두과작물(豆科作物)에 대한 땅콩근류균(根瘤菌) HCR-46의 근류형성능(根瘤形成能) 및 질소고정능(窒素固定能)을 검토(檢討)하고자 동부, 녹두, 팥, 땅콩에 무접종(無接種)+N : 0kg/10a, 무접종(無接種)+N : 6kg/10a, 접종(接種)+N : 0kg/10a, 접종(接種)+N : 6kg/10a, 접종(接種)+N : 12kg/10a로 처리(處理)하여 시험(試驗)한 결과(結果) 초기근류형성시기(初期根瘤形成時期)는 팥이 가장 빠르고 동부, 녹두, 땅콩순(順)이었으며 질소(窒素)를 증시(增施)할 수록 지연(遲延)되는 경향(傾向)이었다. 근류수(根瘤數)와 근류중(根瘤重)은 생육(生育)이 진행(進行)될 수록 증가(增加)하였고, 질소(窒素)를 증시(增施)할 경우 땅콩을 제외한 동부, 녹두, 팥에서 감소(減少)하였다. 건물생산량(乾物生産量)과 질소흡수량(窒素吸收量)은 균접종구(菌接種區)가 무접종구(無接種區)에 비(比)해 높았고 균접종시(菌接種時)는 질소무시용구(窒素無施用區)에 비(比)해 질소(窒素) 6kg/10a 시용구(施用區)가 높았다. 접종균(接種菌)에 의해 고정(固定)된 질소량(窒素量)은 파종후(播種後) 60일(日) 질소무시용구(窒素無施用區)의 동부, 녹두, 팥, 땅콩이 각각(各各) 39.32, 42.39, 28.07, 78.56mg/주(株) 이었고 질소(窒素)6kg/10a 시용구(施用區)에서는 각각(各各) 25.46, 24.97, 16.80, 47.65mg/주(株)로서 질소무시용구(窒素無施用區)가 질소(窒素)6kg/10a시용구(施用區)에 비(比)해 많아 균접종효과는 질소시용구(窒素施用區)보다는 무시용구(無施用區)에서 뚜렷했다.

  • PDF

콩 근류균(根瘤菌) Bradyrhizobium japonicum의 취락형태별(聚落形態別) 항생제(抗生劑) 반응(反應)과 혈청형(血淸型) 및 단백질전기영동(蛋白質電氣泳動) 유형(類型)의 다양성(多樣性) (Diversity of Bradyrhizobium japonicum with Different Colony Morphology in Intrinsic Antibiotic Resistance, Serological Property, and Protein Profile)

  • 강위금;하호성;정연태;강항원;윤한대;하영내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0-66
    • /
    • 1996
  • 콩 근류균(根瘤菌) B. japonicum의 취락형태(聚落形態)에 따라 항생제반응(抗生劑反應)과 혈청형(血淸型) 및 단백질(蛋白質) 전기영동(電氣泳動) 유형(類型)에 차이가 있을지 여부를 구명(究明)코자 우리나라 남부지방에 분포한 토착근류균(土着根瘤菌)을 대상으로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분리(分離)한 B. japonicum 120균주(菌株) 취락형태별(聚落形態別) 분포(分布)는 "Dry"형이 47%, "Wet"형이 41%, "Dry/Wet"형이 12%였다. 2. 항생제(抗生劑) 반응(反應)에 있어서 "Dry"형의 균주(菌株)는 chlorampenicole(200ug/ml)과 kanamycin(20ug/ml)에 대하여. "Wet"형은 erythromycin(100ug/ml)과 nalidixic acid(20ug/ml), spectinomycin sulphate(100ug/ml), streptomycin sulphate(10ug/ml), tetracycline(100ug/ml)에 대하여 각각(各各) 높은 내성(耐性)을 보였다. 3. B. japonicum의 취락형태별(聚落形態別)로는 혈청형(血淸型)의 구분(區分)을 보이지 않았으나, 각 혈청형(血淸型)에 속하는 균주중(菌株中)에는 혈청모균주(血淸母菌株)와 동일한 취락형태(聚落形態)를 가진 것이 많았다. 4. B. japonicum의 혈청학적(血淸學的) 분류결과(分類結果)는 단백질전기영동상(蛋白質電氣泳動上)의 밴드유형과 같았으며 특히, 복잡성(複雜性)에 있어서는 가장 복잡하였던 항생제반응(抗生劑反應) 유형(類型)과 지나치게 단순하였던 취락형태적(聚落形態的) 구분이 중간정도(中間程度)를 나타내어 실용성(實用性)을 보였다. 5. B. japonicum의 취락형태별(聚落形態別) 특성은 항생제반응(抗生劑反應)에서는 특이적(特異的)이었으나 혈청학적(血淸學的) 특성(特性) 및 단백질(蛋白質) 전기영동(電氣泳動) 유형(類型)에서는 다양(多樣)한 경향이었다.

  • PDF

파이로시퀀싱을 이용한 한강상수원보호구역 수계 중의 세균 다양성 (Analysis of Bacterial Diversity in Water from the Han River Water Source Protection Area via a Pyrosequencing Assay)

  • 김희정;권덕인;김창수;이시원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274-279
    • /
    • 2016
  • Objectives: We investigated bacterial diversity in the Han River water resource protection area in order to provide basic microbiological information on the drinking water safety of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Methods: Samples were collected in the spring and winter, but not during the rainy season. Pyrosequencing, gene amplification, and extraction of nucleic acids were employed in this study. Results: In total, 57 and 48 operational taxonomic units were respectively analyzed in samples collected during spring and winter. Proteobacteria were predominant in all samples. The samples contained phylogenetically diverse bacterial communities, with eleven major phyla and 36 genera. Cyanobacteria were predominant in the spring samples, but not in the winter samples. The predominant species in the samples collected during both seasons belonged to the genus Aquamicrobium and Bradyrhizobium. Moreover, no pathogenic bacteria were detected in the samples. Conclusion: Proteobacteria were predominant in the samples from the Han River water source protection area. Cyanobacteria were more predominant in the spring samples than in the winter samples, but Aquamicrobium and Bradyrhizobium were predominant in both sampling seasons.

Molecular Level Relationships of Purple Nonsulfur Bacteria and their Relatives

  • 이상섭;윤병수;김재수;이현순
    • 미생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6
    • /
    • 1994
  • 광합성 세균과 비광합성 세균에 속하는 종들 사이의 유연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DNA 혼성화 방법을 실시하였다. 혼성화도는 종내 균주들 사이와 Rhodobacter capsulatus와 Rhodopseudomonas blastica 사이를(72-88%) 제외하고는 전체적으로 낮게 나타났다(2-35%). 광합성 세균 Rhodopseudommonas Palustris와 비광합성 세균 Pseudomonas aeruginosa ATCC 27853, Bradyrhizobium japonicu, 사이의 D%는 광합성 세균 사이의 D%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26-33%). Rhodopseudomonas blastica와 Rhodobacter capsulatus 사이의 D%는 72%로 유전적 유연관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Suppression of Morningglory (Ipomoea Hederacea) Growth by Rhizobacteria and IAA-3-ACETIC Acid

  • Kim, Su-Jung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11-420
    • /
    • 2006
  • Indole-3-acetic acid (IAA) biosynthesis by bacteria occurs widely in rhizospheres. Bacterial species able to synthesize IAAmay be exploited for beneficial interactions in crop management system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sponse of ivyleaf morningglory (Ipomoea hederacea) seedlings to IAA and to an IAA-producing rhizobacterum, Bradyrhizobium japonicum isolate GD3. IAA solution and isolate GD3 suppression of seedling growth measured as radicle length and biomass depended on IAA concentration. Seedling radicle length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ca. 29% with more than $1.0{\mu}M$ of IAA solution, compared to the control, 48 h after application. The cell concentration at 50% growth reduction ($GR_{50}$) of the seedling radicle was IAA production by isolate GD3 at $10^{4.82}\;cfu$, the cell concentration for 50% growth reduction ($GR_{50}$) of seedling radicle was 0.24 iM, which was much lower than the IAA solution concentration ($117.48{\mu}M$) required for $GR_{50}$. Therefore, excess IAA production by isolate GD3 may be more detrimental to morningglory radicle growth than standard IAA solution. Results confirmed involvement of IAA in suppressive effects of isolate GD3 on morning-glory seedlings grown in a hydroponic system.

  • PDF

한국 밭토양에 분포한 Bradyrhizobium japonicum 의 숙주친화성과 혈청형 (Host Affinities and Serological Distribution of Bradyrhizobium japonicum Indigenous to Korean Upland Soils)

  • 강위금;박향미;정연태;박경배;하호성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62-67
    • /
    • 1999
  • 우리나라 밭토양에서 콩의 공중질소 이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원, 익산, 밀양, 고성, 남제주 지역 토착 B. japonicum의 콩 친화성과 혈청형을 조사하였다. 단원콩 등 8품종의 콩에서 B. japonicum의 공생적 친화성은 균주의 분포지역별로 큰 차이를 보였다. 지역별 B. Japonicum의 숙주 친화성은 고성 > 밀양 > 수원토양의 균주순으로 우수한 편이었다. 익산과 남제주토양 균주들츤 대체로 불량하였는데 특히, 단원콩과 장경콩, 은하콩 등에서 심한 경향이었다. 그러나, 근류무게와 콩 건물생산량 사이의 회귀식에서 본 결정계수값($R^2$)은 고성토양(0.51)에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는 밀양토양(0.45), 익산토양(0.38), 남제주토양(0.28), 수원토양(0.24) 순이었다. B. japonicum의 혈청형은 YCK 117형(34.1%), YCK 141형 (6.5%), YCK 321형 (6.5%), YCK 445형 (4.7%), YCK 338형 (2.9%), YCK 150형 (1.2%). YCK 258형(0.6%) 등 7종 이상이었다. 그리고, YCK 117혈청형은 남제주토양에서 51.9%, 고성토양에서 45.8%, 익산토양에서 41.7%, 수원토양에서 34.2%, 밀양토양에서는 11.1%의 비율로 분포하였다.

  • PDF

우리나라 토착대두근류균(土着大豆根瘤菌)의 분포상태(分布狀態)와 생리(生理) 및 생태학적(生態學的) 특성(特性) -제(第)IV보(報) 토착대두근류균(土着大豆根瘤菌)의 질산환원(窒酸還元) 및 균체단백질(菌體蛋白質) 특성(特性) (Physiolog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Indigenous Soybean Rhizobia Distributed in Korea -IV. Dissimilartory Nitrate Reduction and Protein Characteristics of Indigenous Soybean Rhizobia)

  • 류진창;서장선;이규영;이상규;조무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75-283
    • /
    • 1987
  • 전보(前報)에 이어 토양(土壤)의 특성(特性)이 상이(相異)한 대두재배지(大豆栽培地)로 부터 토착대두근류균(土着大豆根瘤菌)을 분리(分離)하여 유리(遊離) 상태(狀態)에서 질소환원작용(窒素還元作用)과 균체단백질(菌體蛋白質)의 전기영동(電氣泳動) pattern 상의 차이(差異)를 1차원(次元) 및 2차원(次元) 전기영동상(電氣泳動像)으로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토착대두류균(土着大豆瘤菌)의 생육형(生育型) 및 이화적(異化的) 질산환원작용(窒酸還元作用)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4개군(個群)으로 구분(區分)되었다. 즉(卽) 총(總) 87개(個) 검정균주(檢定菌株)중 fast-grower는 38.7%, slow-grower는 61.3%로서 fast grower 보다 많았다. 2. 이들 각(各) 생육형간(生育型間)에는 탈질형(脫窒型)과 비탈질형(非脫窒型)(질산호흡형(窒酸呼吸型))으로 구분(區分)되었으나, 질산환원효소결여형(窒酸還元酵素缺如型)은 나타나지 않았다. fast-grower와 slow-grower 간(間)에 탈질형(脫窒型)은 전자(前者) 31%, 후자(後者)에서 89%, 그리고 비탈질형(非脫窒型)은 전자(前者) 69%, 후자(後者)에서 11%로 나타났다. 3. 토착대두근류균(土着大豆根瘤菌)의 균체단백질(菌體蛋白質)의 특성(特性)은 1차원(次元) 및 2차원(次元) 전기영동상(電氣泳動像)에서 fast-grower와 slow-grower의 양생육형간(兩生育型間)에는 차이(差異)를 볼수 있었으나, 탈질형(脫窒型)과 비탈질형간(非脫窒型間)에는 현저(顯著)한 차이(差異)를 나타내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