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achyura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25초

풀게 Hemigrapsus penicillatus(게아목, 바위게과)의 zoea 및 megalopa 유생기 (Zoeal Stages and Megalopa of Hemigrapsus penicillagtus(De Haan, 1835) (Decapoda, BRachyura, Grapsidae) Reared in the Laboratory))

  • Sang-Gu Hwang;Chang-Hyun Kim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1권3호
    • /
    • pp.389-408
    • /
    • 1995
  • 풀게의 유생을 수온 25$^{\circ}C$, 염분농도 33.3$\textperthousand$, 광주기 14:10 h light:dark 의 실험실 조건하에서 사육하였다. 사육 결과 본 종은 5 zoea와 1 megalopa 유생기를 가지며, 부화 후 megalopa와 제1기 crab까지는 최소 18일과 29일이 걸렸다. 전체 유생기의 형태적인 특징을 상세히 기술 및 도시하였다. 풀게 유생과 참게아과내의 이미 보고된 유생 상호간에 구별될 수 있는 형태적인 특징들에 대하여 토의하였다. 특히, 풀게속의 megalopa 유생 상호간 형태적 특징을 도표화하였다.

  • PDF

두점박이민꽃게(갑각강, 단미목, 꽃게가)의 유생발생 (Complete Larval Development of the Swimming Crab, Charybdis bimaculata (Miers, 1886) (Crustacea, Brachyura, Portunidae), Reared in Laboratory)

  • 황상구;김창현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65-482
    • /
    • 1995
  • 두점박이민꽃게의 유생을 수온 22$^{\circ}C$, 염분농도 33.3%의 해수에서 사육하고, 전체 유생기의 형태적인 특징을 상세히 기재 및 도시하였다. 본 종은 7 단계의 zoea유생기와 1 단계의 megalopa유생기를 가지며, 부화로부터 megalopa까지는 최저 32일이 걸렸다. 두점박이민꽃게의 제 1 zoea 유생은 갑측극이 있고, 미절과 제2촉각의 형태가 각각 A와 B형이며, 제1소악과 제2소악의 내지가 각각 1+6, 6의 강모식을 가지는 점에서 이미 보고된 민꽃게속 내의 다른 종들의 유생들의 특징과 일치하고 있다. 두저박이민꽃게의 유생들과 이미 보고된 민꽃게 속의 다른 종들의 zoea 및 megalopa 유생 사이에 서로 구별될 수 있는 형태적인 특징들에 대하여 토의하였다.

  • PDF

실험실에서 사육된 눈콩게 Scopimera bitympana(달랑게과)의 유생발생 (The Complete Larval Development of a Sand Bubbler Crab, Scopim era bitympana Shen(Brachyura, Ocypodidae),Reared in the Laboratory)

  • 장인권;김창현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00-216
    • /
    • 1990
  • 실험실에서 사육된 눈콩게의 전 유생발생단계를 기술, 도시하였다. 눈콩게는 5 zoea(가끔 6 zoea)와 1 megalopa유생기를 가졌다. 수온 $25^{\circ}C$에서, megalopa와 제1기 carb 부화후 각각 24일과 38일만에 나타났으나 extra zoea유생기를 갖는 경우에는 31일과 48일만에 나타났다. 눈콩게의 zoea유생 거치상의 갑각가시와 배측에 하나, 복측에 두 개의 작은 가시가 있는 미절에 의하여 엽낭계속의 타종과 구분되며, megalopa 유생은 갑각의 특징에 의하여 구분될 수 있다. 그 밖의 미세한 형태적 특징들이 앞서 보고된 엽낭개속의 유생들과 비교되어 차이점이 간단히 논의되었다.

  • PDF

제주도산 단미류(갑각류 : 십각류)의 분류학적 연구 (The Brachyuran Crabs of Cheju Island , Korea (Crustacea : Decapoda))

  • 김훈수;장천영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권1_2호
    • /
    • pp.41-60
    • /
    • 1985
  • 제주도산 게류상을 밝히고 이것들을 분류하기 위하여 미동정 기존 표본등과 1985년 1월-5월사이에 15개 지소에서 채집된 표본들을 동정하고 아울러 문헌상의 기록도 종합·정리하였다. 그 결과 16과 104종의 분류목록을 얻었다. 104종 중 제주도 미기록종이 8종이며, 이중 Pugettia minor, Menaelthius monoceros , Echinoecus pentagonus 등 3 종은 한국미기록종인 바 도판과 함께 Remarks 등을 기록했다. 제주도산 게류 104종은 한국 기지종 183종의 56.8%를 차지하며, 104종 중 41%(39.4%)은 한국에서는 제주도 해역에서만 발견된 것이고 62종은 남방형이다.

  • PDF

Report on Four Species of Crabs (Crustacea: Decapoda: Brachyura) from Korea

  • Lee, Sang-Kyu;Kim, Sa-Heung;Kim, Won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4권3호
    • /
    • pp.291-297
    • /
    • 2008
  • One pilumnoid, Neoactumnus convexus Sakai, 1965, and three xanthoids, Lybia caestifera (Alcock, 1898), Atergatopsis germaini A. Milne-Edwards, 1865, and Platypodia tomentosa (De Man, 1902), are newly recorded in Korean fauna. Korean pilumnoids and xanthoids now consist of fifteen species and twenty species, respectively.

New Report of Two Xanthid Crabs (Crustacea: Decapoda: Brachyura) from Korea

  • Lee, Sang-Kyu;Park, Tae-Seo;Kim, Won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6권1호
    • /
    • pp.87-91
    • /
    • 2010
  • Two species of xanthids, Actaea polyacantha (Heller, 1861) and Actaeodes hirsutissimus (R$\ddot{u}$ppell, 1830) collected from Jejudo Island, are newly recorded from Korean waters. Korean Xanthidae now consists of 22 species belonging to twenty genera.

First Record of Holothurian Symbiotic Crab Asthenognathus inaequipes (Decapoda: Brachyura: Varunidae) from Korea

  • Lee, Seok-Hyun;Lee, Kyu-Hyun;Ko, Hyun-Sook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6권3호
    • /
    • pp.337-339
    • /
    • 2010
  • A hole dwelling holothurian symbiotic crab was collected in the low tidal mark in Namhae Island. The crab was identified as Asthenognathus inaequipes Stimpson, 1858 and found to be new to Korean waters. The species was briefly illustrated and describ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