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tulinum Toxin

검색결과 215건 처리시간 0.019초

재활 낮병동 프로그램이 뇌성마비아동의 대동작기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Day-Hospital Rehabilitation Program on Gross Motor Function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김기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262-27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뇌성마비아동의 대동작기능이 재활 낮병동 프로그램을 통한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경직성 뇌성마비아동 57명으로 최근 6개월 사이에 보톨리눔 독소나 수술적 병력이 없는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동작기능 측정(GMFM)와 대동작기능 분류체계(GMFCS)를 기능적 변화와 기능적 수순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낮병동 프로그램은 8주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낮병동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치료 전 후 대동작기능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둘째, 연령별 운동발달은 1-2세, 3-4세 뇌성마비아동이 5-6세 뇌성마비아동보다 사후검정 결과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대동작기능 분류체계(GMFCS) 수준l에 따른 대동작기능 측정(GMFM)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p<.05), 특히 경도와 중등도 뇌성마비아동이 중증도 뇌성마비아동보다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낮병동 프로그램은 뇌성마비아동의 대동작기능의 운동발달에 효과적이며, 경도, 중등도와 4세 이하의 뇌성마비아동에게 조기 중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Effects of Tiam 1 on Invasive Capacity of Gastric Cancer Cells in vitro and Underlying Mechanisms

  • Zhu, Jin-Ming;Yu, Pei-Wu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호
    • /
    • pp.201-208
    • /
    • 2013
  • Objective: To investigate changes in the invasive capacity of gastric cancer cells in vitro after expression inhibition of T lymphoma invasion and metastasis inducing factor 1 (Tiam 1) and underlying mechanisms. Methods: Using adhesion selection, two subpopulations with high ($M_H$) or low ($M_L$) invasive capacity were separated from the human gastric cancer cell line MKN-45 ($M_0$). Tiam 1 antisense oligodeoxynucleotide (ASODN) was transfected into $M_H$ cells with liposomes, and expression of Tiam 1 mRNA and protein was determined by RT-PCR and quantitative cellular-ELISA. Changes in the cytoskeleton, invasive capacity in vitro and expression of ras-related $C_3$ botulinum toxin substrate 1 (Rac 1), integrin ${\beta}1$ and matrix metalloproteinase 2 (MMP 2) between Tiam 1 ASODN transfected $M_H$ cells and non-transfected cells were observed by HE staining, cytoskeletal protein stain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Boyden chamber tests and cyto-immunohistochemistry. Results: A positive correlation existed between the expression level of Tiam l mRNA or protein and the invasion capacity of gastric cancer cells. After ASODN treatment ($0.43{\mu}M$ for 48 h), Tiam 1 mRNA transcription and protein expression in $M_H$ cells were decreased by 80% and 24% respectively (P < 0.05), compared with untreated controls, while invasive capacity in vitro was suppressed by 60% (P < 0.05). Morphologic and ultrastructural observation also showed that ASODN-treated $M_H$ cells exhibited smooth surfaces with obviously reduced filopodia and microspikes, which resembled $M_0$ and $M_L$ cells. Additionally, cytoskeletal distribution dramatically altered from disorder to regularity with reduced long filament-like structure, projections, pseudopodia on cell surface, and with decreased acitn-bodies in cytoplasm. After Tiam 1 ASODN treatment, the expression of Rac 1 and Integrin ${\beta}1$ in $M_H$ cells was not affected (P > 0.05), but that of MMP 2 in $M_H$ cells was significantly inhibited compared with untreated cells (P < 0.05). Conclusion: Over-expression of Tiam-1 contributes to the invasive phenotype of gastric cancer cells. Inhibition of Tiam 1 expression could impair the invasive capacity of gastric cancer cells through modulating reconstruction of the cytoskeleton and regulating expression of MMP 2.

In Silico 분자결합 분석방법을 활용한 tubocurarine과 승마 추출성분 actein의 아세틸콜린 결합 단백질 활성 부위에 대한 결합 친화도 비교 분석 (In Silico Molecular Docking Comparison of Tubocurarine and the Active Ingredients of Cimicifugae rhizoma on Acetylcholine Binding Proteins)

  • 김동찬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08-414
    • /
    • 2018
  • Actein은 널리 알려진 승마 추출물의 주요 생리 활성 효능 성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acetylcholine 수용체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활용된 AchBP 단백질 길항제(antagonist) tubocurarine과 승마 추출물의 효능 성분 actein 및 actein 유도체(27-deoxyactin, (26S)-actein, (26R)-actein)들의 AchBP 단백질 B와 C domain 활성 부위에 대한 친화도 분석 실험을 컴퓨터 분자결합 분석 방법을 통해 비교하였다. AchBP 단백질 B와 C domain의 3차원 구조정보는 PDB database (PDB ID: 2XYT)를 활용하였다. In silico 결합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PyRx, Autodock Vina, Discovery Studio Version 4.5, and NX-QuickPharm 프로그램을 각 분석 조건에 따라 활용하였다. AchBP 단백질 B와 C domain 활성 부위에 대한 actein의 최대 결합친화도는 -10.50 kcal/mol으로 나왔으며 이는 -9.80 kcal/mol으로 분석된 tubocurarine의 결합 친화도 보다 훨씬 더 높고 효율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Tubocurarine에 비하여 결합친화도 값이 높게 분석된actein, 27-deoxyactein, (26R)-actein 유도체 성분들과 상호작용 하는 AchBP 단백질 활성 부위의 아미노산들 가운데 tryptophan 84와 tyrosine 147이 높은 결합친화도를 형성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아미노산으로 예상이 되었다. Tubocurarine의 AchBP 단백질 활성 부위에 대한 X,Y,Z Grid 값은 X=38.300689, Y=112.053467, Z=51.991022으로 나왔으나 actein과 actein 유도체들은 대부분 X=26.4, Y=127.3, Z=43.7 값 주변에 centroid grid를 형성하였다. 즉, tubocurarine이 결합하는 부위와는 다른 부위에 결합하여 AchBP의 활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들을 분석해 볼 때, 아세틸콜린 수용체 길항제 tubocurarine보다 승마 추출물 생리 활성 물질인 actein과 그 유도체들이 보다 더 효율적인 아세틸콜린 수용체 길항제로 작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승마 추출물 또는 actein 성분은 피부 주름 개선 효능을 지닌 보톡스를 대체하거나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품 신물질 연구 개발 분야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히알루론산의 각질 유동성 향상을 통한 주름 개선 펩타이드 피부 흡수 촉진 (Hyaluronic Acid Enhances the Dermal Delivery of Anti-wrinkle Peptide via Increase of Stratum Corneum Fluidity)

  • 김윤선;김대현;김유미;박선규;이천구;강내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447-453
    • /
    • 2018
  • 아세틸 헥사펩타이드 8 (AH8)은 보톡스 메커니즘을 응용한 주름 개선 펩타이드 소재로, 보톡스의 타겟인 synatosomal-associated protein 25 (SNAP25) N말단 서열을 모방하여 개발되었다. 주름 개선 효과가 보고되고 있지만 큰 분자량과 친수성 성질에 의하여 피부 흡수는 잘 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피부보습 성분 중에서 AH8의 피부 흡수를 증가시켜 줄 수 있는 물질을 탐색하였는데, 히알루론산(HA)이 AH8의 피부 흡수를 증가시켰다. 형광물질로 표지한 AH8만 $Micropig^{(R)}$ skin 에 발라주면 대부분 각질을 투과하지 못하고 각질층에 존재하였다. 반면, HA를 함께 도포한 경우에는 각질층을 투과하여 표피, 진피로 흡수된 AH8가 증가하는 것을 형광 이미지 분석을 통해 확인했다. 특히 5 kDa 저분자량 HA가 500 kDa, 2000 kDa HA보다 피부 흡수를 더 많이 증가시켰다. HA가 피부 각질층에 미치는 영향을 푸리에변환 적외 분광법(Fourier-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으로 분석해보니, 고분자량 HA는 각질 수분 함량을 증가시키고, 저분자량 HA는 지질층의 유동성을 증가시키는 경향성이 있었다. 따라서 HA는 AH8의 피부 흡수를 증가시켜 주름 개선 효과를 향상시켜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삽관성 육아종과 접촉성 육아종에 대한 치료 결과 분석 (Treatment Results of Vocal Process Granuloma: Intubation Versus Contact Granuloma)

  • 정진욱;오재환;김슬;김동영;우주현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35-141
    • /
    • 2021
  • Background and Objectives Vocal process granulomas (VPGs) are benign lesions of the larynx, typically contact granulomas (CG) and intubation granulomas (IG). The two diseases are known to have different clinical manifestations despite having the same pathological featu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eatment results for CG and IG and to obtain clinical information. Materials and Method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diagnosed with VPG between January 2015 and December 2018. The patient's age, sex, medical history, lesion size, lesion type, reflux finding score, response to treatment, duration of treatment, and follow-up period were compared. Results In total, 32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of which 18 were CG and 14 were IG. In the CG group, males were dominant (n=15, 83.3%), whereas in the IG group, females were dominant (n=11, 78.6%) (p=0.0009). The response to medical treatment using proton pump inhibitor and steroid inhaler was better in the IG group (11/14, 78.6%) than in the CG group (7/18, 38.9%) (p=0.036). Of the 14 patients who did not respond to medical treatment, 5 received botulium toxin injections, and all 5 had complete remission. The duration of medical treatment was significantly longer in the IG group (p=0.0029). Conclusion IG was more common in female, and CG was more dominant in male. IG had better response to medical treatment using proton pump inhibitor and steroid inhaler than C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