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ttom trawl

검색결과 120건 처리시간 0.026초

Developing a Simulator of the Capture Process in Towed Fishing Gears by Chaotic Fish Behavior Model and Parallel Computing

  • Kim Yong-Hae;Ha Seok-Wun;Jun Yong-Kee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7권3호
    • /
    • pp.163-170
    • /
    • 2004
  • A fishing simulator for towed fishing gear was investigated in order to mimic the fish behavior in capture process and investigate fishing selectivity. A fish behavior model using a psycho-hydraulic wheel activated by stimuli is established to introduce Lorenz chaos equations and a neural network system and to generate the components of realistic fish capture processes. The fish positions within the specified gear geometry are calculated from normalized intensities of the stimuli of the fishing gear components or neighboring fish and then these are related to the sensitivities and the abilities of the fish. This study is applied to four different towed gears i.e. a bottom trawl, a midwater trawl, a two-boat seine, and an anchovy boat seine and for 17 fish species as mainly caught. The Alpha cluster computer system and Fortran MPI (Message-Passing Interface) parallel programming were used for rapid calculation and mass data processing in this chaotic behavior model. The results of the simulation can be represented as animation of fish movements in relation to fishing gear using Open-GL and C graphic programming and catch data as well as selectivity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imulator mimicked closely the field studies of the same gears and can therefore be used in further study of fishing gear design, predicting selectivity and indoor training systems.

동중국해에서 중국 해면어로어업의 전개와 지역어업의 재편 (The Development of China′a Marin Fisheries and Reorganization of Region Fisheries in the East China Sea)

  • 김대영
    • 수산경영론집
    • /
    • 제31권2호
    • /
    • pp.27-45
    • /
    • 2000
  • This study discusses the development structure of China's Marine Fisheries in the East China Sea. China's marine fisheries have developed since the 1980s along with it's economic expansion. The total catch in the East China Sea has increased especially during the 1990s. The Chinese fishery has developed remarkably through individual management, expansion of their fishing grounds from inshore to off-shore, and increase of the catch in both pelagic and bottom species. In other words, the trawl fishery in China has led to higher production. We can say that the progress in Chinese fisheries is the result of their expansion policy. Their boats have been coming closer and closer to the Japanese and Korea fishing grounds during the 1990s. Chinese fisheries is exploiting the low cost and thus strengthening its quantity. Based on rising fish price, expanding domestic fish markets as well as expels, China is enjoying the high income. However, in trawl fishery, productivity is stagnant and profit is going down due to the rising cost. In accordance with the new 200 mile EEZ system in the East China Sea, China's fisheries will be restricted mostly by the new regulation which requires the reduction of fishing efforts and the application of resource management.

  • PDF

월성원자력발전소 주변해역에서 저층트롤에 의해 어획된 어류의 종조성 (Seasonal Variation of Species Composition of Fish in the Coastal Waters off Wolseong Nuclear Power Plant, East Sea of Korea by Otter Trawl Survey)

  • 최정화;김정윤;김진구;김종빈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645-653
    • /
    • 2014
  • We examined seasonal variation in fish species composition in coastal waters near Wolseong Nuclear Power Plant in the East Sea of Korea. A total of 72 species, 39 families, 14 orders, 46,214 individuals, and 4,639,667 g were collected. Glyptocephalus stelleri was the most dominant species by number of individuals (35%), followed by Clupea pallasii (26%). Liparis tanakai and Lophius litulon were the dominant species by biomass, accounting for 46% and 28%, respectively. We showed that bottom salinity and temperature are the most important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ing fish species composition. Although bottom salinity did not differ statistically among seasons or stations, we detected some variation among stations. Additionally, bottom temperature differed among seasons and stations (P<0.05), affecting numbers of individuals and biomass. Thus, seasonal variation in fish assemblages can be classified into two groups: spring/summer and autumn/winter.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Swimming Movements of Flatfish Reacting to the Ground Gear of Bottom Trawls

  • Kim, Yong-Hae;Wardle Clem S.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9권4호
    • /
    • pp.167-174
    • /
    • 2006
  • Two typical responses have been documented for flatfish when they encounter the ground gear of bottom trawls: herding response and falling back response. These two responses were analyzed from video recordings of fish and were characterized by time sequences for four parameters: swimming speed, angular velocity, acceleration, and distance between the fish and the ground gear. When flatfish displayed the falling-back response, absolute values of the three swimming parameters and their deviation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during the herding response. However, the swimming parameters were not dependent on the distance between the flatfish and the ground gear, regardless of which response occurred. The dominant periods for most of the movement parameters ranged from 2.0 to 3.7 s, except that no periodicity was observed for swimming speed or angular velocity during the falling-back response. However, variations in the four parameters during the falling -back response revealed greater irregularity in periodicity and higher amplitudes. This complex behavior is best described as a chaos phenomenon' and is discussed as the building block for a model predicting the responses of flatfish to ground gear as part of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fish capture process.

무부자 쌍끌이 중층망 어구어법의 개발(I) - 아래끌줄의 길이에 따른 모형어구의 전개성능 - (Development for Fishing Gear and Method of the Non-Float Midwater Pair Trawl Net(I) - Opening Efficiency of Model Net according to the Length of Lower Warp -)

  • 이주희;유제범;이춘우;권병국;김정문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9권1호
    • /
    • pp.33-43
    • /
    • 2003
  • 본 연구는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는 쌍끌이 중층망 어구어법에서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고속예망에서 망고의 제어가 어렵다는 점, 망목에 뜸이 걸려서 파망이 자주 일어나는 점, 네트드럼에 감기는 어구부피가 너무 크다는 점 등의 해결방법으로 무부자 쌍끌이 중층망의 모형실험을 통하여 우리 나라 쌍끌이 중층망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850ps급 쌍끌이 기선저인망어선에서 현재 사용되는 실물망을 1/100로 축소 제작한 모형망에서 뜸을 모두 제거하고 끌줄을 양쪽으로 각각 두가닥으로 분리한 후 추를 부착하여 아래끌줄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망고를 제어할 수 있는 무부자 쌍끌이 중층망의 모형어구를 제작하여 회류수조에서 유속에 대한 아래끌줄의 길이에 따른 어구의 전개성능 등을 규명하고 기준형과 비교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체저항은 무부자망이 기준형보다 약 10∼20%정도 작았으며, 무부자망의 유체저항은 동일유속에서 아래끌줄이 길어짐에 따라 약 1ton씩 증가하였다. 또, 동일유속에서 dL이 10m씩 증가함에 따라 아래끌줄에 작용하는 저항은 약 5%씩 감소하고, 그 반면에 윗 끌줄에 작용하는 저항이 증가하였다. 2. 망고는 직선에 가까운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동일유속에서 아래끌줄이 길어짐에 따라 증가하여 로그함수적인 경향을 보였다. 또한, 망고감소율은 무부자망의 경우가 기준형보다 작게 나타났으며, 그 차이는 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더욱 커져 dL이 30m인 무부자망을 기준으로 3.0knot일 때 12%, 4.0knot일 때 25%로 나타났다. 3. 망폭은 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약 2m 내외로 거의 일정하였으며 무부자망이 기준형보다 크게 나타났다. 4. 망구면적은 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망구면적의 감소율은 기준형보다 무부자망이 더 작게 나타났다. 여과량은 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로그함수적인 경향을 보였으며 기준형이 3.0knot 이상에서 급격히 감소하였지만, 무부자망은 4.0knot까지 증가하였다가 완만하게 감소하였다. 5. dL의 최대적정길이는 망구면적 및 여과량이 최대인 30m일 때이며, 추의 최적위치는 4개의 그물목줄이 연결되는 지점이었다.

트롤조사에 의한 황해 주요 어족생물의 분포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Fisheries Resources by Bottom Trawling in the Yellow Sea)

  • 신형호;황두진;김용주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8권2호
    • /
    • pp.129-139
    • /
    • 2002
  • 황해 주요어족생물의 분포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황해의 위도 33$^{\circ}$00'N~37$^{\circ}$00'N, 경도 124$^{\circ}$00'E~126$^{\circ}$00'E를 대상해역으로 설정하여, 1999년 5월, 1999년 8월, 2000년 4월의 3회에 걸쳐 여수대학교 실습선 청경호와 동백호를 이용한 저층트롤조사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기간동안 트롤에 의해 어획된 총어획 어종은 106종으로서, 1차조사(1999년 5월)에서 53종, 2차조사(1999년 8월)에서 34종, 3차조사(2000년 4월)에서 68종이 각각 어획되었다. 어획빈도는 단 한번 어획된 어종이 1차조사에서 22종, 2차조사에서 15종, 3차조사에서 19종으로 나타나, 어종 수에서는 다수의 어종이 어획되고 있지만, 대부분 1회성의 어종이 많아 어족자원의 고갈에 대한 심각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저증트롤어구의 cod-end(60 mm)에 cover-net(30.3 mm)를 부착하여 트롤조업을 실시한 경우, 까나리아, 풀미역치, 용가자미, 눈강달이는 각각 99%, 80%, 58%, 50%가 cover-net에 어획되어 음향조사 시 필요한 샘플링에는 어획선택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함을 알수 있었다. 황해의 종 유사성은 수온의 해양특성과 아주 근사한 분포특성을 나타내었다. 1999년 5월과 2000년 4월에는 유사성의 분포가 거의 같은 형태로 남북으로 나타났으며, 1999년 8월에서는 종 유사성의 분포가 동서로 분리되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2. 황해의 2000년 4월의 24정점의 트롤어획조사에 의한 단위체적당의 어획밀도의 추정치는 개체수에 대하여 평균 $1532.2{\times}10^{-6}fish/m^3$ 이었으며, 중량에 대하여서는 $39.55{\times}10^{-6}kg/m^3$이었다. 3. 1999년도 대비 2000년도의 단위체적당의 어밀도는 트롤정점별에 대한 상호비교에서 개체수 및 중량에 대하여 2000년도가 1999년도보다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우점종 13종에 대한 비교에서도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거문도 주변 해역에 출현하는 저어류 군집의 종조성 (Species composition of the demersal fish assemblage in the coastal waters off Geomun island, Korea)

  • 김신곤;장충식;안영수;고은혜;백근욱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0권2호
    • /
    • pp.131-138
    • /
    • 2014
  • The study aims at analyzing a species composition of the fish live in bottom of the coastal waters off Geomun island, Korea. To reach the goal of the study, a species composition and it's monthly fluctuation, a monthly fluctuation of the dominant species and it's appearance type was analyzed the fishes caught by the bottom trawl. The result obtained can be summerrized as follows; Fish caught in this area composes 14 orders, 34 families, and 47 species. The largest number of fish species was Perciformes (15 families and 19 species). The most dominant species in an number of fish was jhon dory, Zeus faber which was occupied at 22.5% from the whole number, the second most dominant species was horse mackerel, Trachurus japonicus which was occupied at 21.2%. Four groups were categorized based on appearance time period.

중층트롤의 깊이바꿈과 소해심도의 안정성 (Depth Control and Sweeping Depth Stability of the Midwater Trawl)

  • 장지원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9권1호
    • /
    • pp.1-18
    • /
    • 1973
  • 중층트를 어구(漁具)의 소해심도(掃海深度)를 일정(一定)한 적정어획속도(適正漁獲速度)에서 기동성(機動性)있게 변화(變化)시키기 위하여 기초적인 모형어구(模型漁具)의 수조실험(水槽實驗)과 특별(特別)히 고안한 깊이바꿈틀을 이용(利用)한 이차(二次)에 걸친 해상시험(海上試驗)을 통(通)하여 연구한 결과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중층(中層)트롤의 그물어구의 깊이 y는 끌줄의 길이 L과 단위(單位) 길이의 끌줄, 깊이바꿈틀 및 그물의 각(各) 수중중량(水中重量) $W_r,\;W_o,\;W_n$과 각(各) 항력(抗力) $R_r,\;R_o,\;R_n$ 사이의 관계(關係)는 차원해석법(次元解析法)에 의하면 다음과 같다. $$y=kLf(\frac{W_r}{R_r},\;\frac{W_o}{R_o},\;\frac{W_n}{R_n})$$ 단(但), k는 상수(常數)이고 f는 함수이다. 2. 단위 길이당(當)의 수중중량(水中重量) $W_r$, 길이 L인 끌줄 끝에 항력(抗力) $D_n$, 수중중량(水中重量) $W_n$d인 수중저항분를 매달고 끌줄의 다른 한 끝을 수면(水面)에서 예인(曳引)할 때,. 끌줄의 형상(形狀)을 현수곡선이라고 보면, 수중저항분의 깊이 y는 다음과 같다. $$y=\frac{1}{W_r}\{\sqrt{{D_n^2}+{(W_n+W_rL)^2}}-\sqrt{{D_n^2+W_n}^2\}$$ 3. 중층(中層)트롤의 그물어구(漁具)깊이의 변화(變化) ${\Delta}y$는 예강(曳綱)의 길이 L을 바꾸거나 추(錘) ${\Delta}W_n$를 부가(附加)하면 다음과 같다. $${\Delta}y{\approx}\frac{W_n+W_{r}L}{\sqrt{D_n^2+(W_n+W_{r}L)^2}}{\Delta}L$$ $${\Delta}y{\approx}\frac{1}{W_r}\{\frac{W_n+W_rL}{\sqrt{D_n^2+(W_n+W_{r}L)^2}}-{\frac{W_n}{\sqrt{D_n^2+W_n^2}}\}{\Delta}W_n$$ 단(但), $D_n$은 그물어구의 항력(抗力)이다. 4. 끌줄 상(上)의 중간점(中間点)에 추(錘) $W_s$를 부가(附加)할 때 중층(中層)트롤 그물어구의 깊이바꿈 ${\Delta}y$$${\Delta}y=\frac{1}{W_r}\{(T_{ur}'-T_{ur})-T_u'-T_u)\}$$ 단(但) $$T_{ur}^l=\sqrt{T_u^2+(W_s+W_{r}L)^2+2T_u(W_s+W_{r}L)sin{\theta}_u$$ $$T_{ur}=\sqrt{T_u^2+(W_{r}L)^2+2T_uW_{r}L\;sin{\theta}_u$$ $$T_{u}'=\sqrt{T_u^2+W_s^2+2T_uW_{s}\;sin{\theta}_u$$ $T_u$ 추(錘)를 부가(附加)하지 않았을 때 끌줄 상(上)의 중간점(中間点)에 있어서의 예인어선(曳引漁船) 쪽을 향하는 장력(張力)이고, ${\theta}_u$는 장력(張力) $T_u$와 수평방향(水平方向)과 이루는 각도(角度)이다. 5. 어떠한 형태(形態)의 저예강용(底曳綱用) 전개판(展開板)도 성능(性能)에 있서어 차이는 있으나 전중량(全重量)을 가볍게 하고 저변(底邊)에 무게를 달아 안정(安定)시키면 중층예강용(中層曳綱用)으로 사용(使用)할 수 있다는 것이 모형(模型) 실험(實驗)결과 밝혀졌다. 6. 모형(模型) 그물(Fig.6)의 수조실험(水槽實驗)에서는 예강속도(曳綱速度) v m/sec, 강고(綱高) H cm 및 수유저항(水流抵抗) R kg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간단(簡單)한 관계식(關係式)이 성립(成立)한다. $$H=8+\frac{10}{0.4+v}$$$R=3+9v^2$$ 7. 특별(特別)히 고안한 십자(十字)날개형(型) 깊이바꿈틀과 H날개형(型) 깊이 바꿈틀을 비교(比較)한 결과(結果) 전자(前者)보다 안정성(安定性)이 우월하였다. 8. 그물어구(漁具)의 유수저항(流水抵抗)이 매우 크며 또 거의가 항력(抗力)으로 볼 수 있으므로 깊이바꿈틀의 종류에 관계없이 그물어구의 소해심도(掃海深度)는 대단히 안정(安定)된 상태를 유지하였다. 9. H날개형(型) 깊이바꿈틀의 수평(水平)날개 면적율 $1.2{\times}2.4m^2$로 하였을 때 유수저항(流水抵抗) 2 ton의 그물 어구를 2.3kts로 예인(曳引)하면서 영각(迎角)을 $0^{\circ}{\sim}30^{\circ}$로 변화(變化)시킨 결과(結果), 끌줄의 길이에 관계없이 약(約) 20m의 깊이바꿈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한국 근해에 있어서의 중층 트로올의 연구 ( V ) - 전개판에 대형 뜸을 달았을 때의 전개성능 - (Study on the Midwater Trawl Available in the Korean Waters ( V ) - Opening Efficiency of the Otter Board with a Large Float on the Top -)

  • 이병기;김민석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4권2호
    • /
    • pp.78-82
    • /
    • 1988
  • 한국근해의 중층 트로올선에서 전개판의 수중중량을 경감시켜서 끌줄을 길게 주므로서 전개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스티로폴뜸을 전개판의 천정판에 고정시키고 끌줄 길이와 예망속력을 변화시켰을 때의 전개판의 깊이와 전개간격을 실측한 것을 분석.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개판 깊이는 끌줄 길이가 100m이고 예망속력이 101~108m/sec인 범위에서 뜸이 있을 경우 41~25m, 뜸이 없을 경우 45~26m이고, 뜸줄 길이가 150m일 경우는 뜸이 있을 경우 68~44m, 뜸이 없을 경우 74~46m로서 뜸이 있을 경우가 없을 경우보다도 9~4% 정도 얕았다. 또 실측치는 어느 경우나 계산치보다도 15% 작았다. 2. 전개판의 전개간격은 끌줄 길이가 100m이고, 예망속력이 1.1~1.8m/sec인 범위에서는 뜸이 있을 경우 34~41m, 뜸이 없을 경우 30~38m이고, 끌줄 길이가 150m일 때는 뜸이 있을 경우 44~50m, 뜸이 없을 경우 37~46로서 있을 경우가 없을 경우보다도 끌줄 길이 100m에서 10%, 150m에서 15%정도 더 컸다. 또, 실측치는 계산치보다 항상 컸으며 계산치에 대한 실측치의 비는 끌줄 길이가 100m일 때 1.17~1.14, 150m일 때 1.17~1.09이었다. 3. 날개 끝 간격은 끌줄 길이 100m인 때 뜸이 있을 경우가 없을 경우보다 1m 정도 크고 유효망구면적으로는 10% 정도 크며, 끌줄 길이가 150m인 때는 그 차이가 2m로서 유효망구면적으로는 20% 정도 크다고 추정된다. 따라서 전개판에 뜸을 달아서 전개판의 수중중량을 일시적으로 가볍게 해 주는 것은 유효망구면적을 크게 하므로 어획성능향상에 상당히 도움이 될 것이 기대된다

  • PDF

First Record of a Gaper Champsodon longipinnis (Perciformes: Champsodontidae) from Korea

  • Han, Song-hun;Kim, Maeng Jin;Song, Choon Bok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8권3호
    • /
    • pp.297-300
    • /
    • 2015
  • This is the first report of Champsodon longipinnis (Champsodontidae) collected from Korea. The specimen (100.9 mm in standard length) was caught by a bottom trawl in the coastal waters off Busan, Korea. This species is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morphological traits: body with small denticulate scales except abdomen around pelvic fin base; posterior end of maxilla extending beyond margin of eye; dark pigmentation on most of the first dorsal fin, upper half of the first to the fourth soft ray of the second dorsal fin, and partial upper lobe of caudal fin. We add C. longipinnis to the Korean fish fauna and suggest a new Korean name, "Jeom-ak-eo-chi," for the spe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