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ttom trawl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26초

한국 남해에 출현하는 가고시마샛멸(Argentina kagoshimae)의 섭식생태 (Feeding Ecology of Smallmouth Argentine Argentina kagoshimae in Coastal Waters of the South Sea, Korea)

  • 정재묵;이승종;백근욱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5권5호
    • /
    • pp.590-597
    • /
    • 2022
  • We analyzed the diet composition of smallmouth argentine Argentina kagoshimae, which were collected via bottom trawl in the South Sea during February, April, August, and October 2021. Their size range was 8.1-21.4 cm total length. A. kagoshimae are mesopelagic carnivores, mainly consuming benthopelagic Euphausiacea and Caridea crustaceans. Polychaetes were the second largest prey component in their diet, which also included small quantities of copepods, amphipods, and arrow worms. Stomach content compositions substantially differed among body size levels in A. kagoshimae. The results of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ordination and permutational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of dietary data revealed no significant dietary differences. The results of a graphical analysis of the diet composition showed that A. kagoshimae are specialized feeders characterized by strong individual feeding specialization.

남서대서양에서 채집된 Bathyraja brachyurops (Rajiformes: Arhynchobatidae) 기형의 첫 보고 (First Record of an Abnormal Bathyraja brachyurops (Rajiformes: Arhynchobatidae) Collected from the Southwest Atlantic Ocean)

  • 박민균;김은정;김진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6권6호
    • /
    • pp.916-922
    • /
    • 2023
  • An abnormal shape of Bathyraja brachyurops was first reported from the catch of a bottom trawl in the southwest Atlantic Ocean in June 2022. Both pectoral fins of the specimen did not fuse with the head, resulting in a horn-like structure separated from the sides of the eyes. Analysis of mitochondrial DNA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sequences showed that our specimen was perfectly matched to Bathyraja brachyurops registered with th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Our specimen possessed the following morphological features: a pair of flexible but elongated and pointed horns on the head; rough dorsal disc, densely covered with numerous small denticles on the head, anterior margin of pectoral fins and median line of the disc; a thor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orsal fins; and a pair of large ocelli at the base of pectoral fins. Unlike the normal B. brachyurops, our specimen had a slender clasper and no nuchal thorns, which may be related to the morphological abnormality. The horn-like structure on the head may be owing to the lack of fusion between the pectoral fins and head during early embryonic development.

동지나해의 초음파 산란층에 관한 연구 ( 2 ) -체적산란강도의 연직분포- (Acoustic Scattering Layers in the East China Sea ( 2 ) -Vertical Distribution of Volume Scattering Strength-)

  • 이대재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6권1호
    • /
    • pp.20-25
    • /
    • 1990
  • 동지나해의 초음파산란층에 관한 기초적 연구로서 어군탐지기에 의해 탐지한 어군의 체적산란강도의 연직분포와 수온의 연직분포를 상호 비교\ulcorner검토하고, 또 트로올조업에 의한 어획시험을 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해역에서 표층에 가장 인접하여 형성된 수온약층의 수심구간은 8m~12m였고, 이 수온약층의 상\ulcorner하한에 대한 수온차는 8.6$^{\circ}C$였다. (2) 수온약층이 형성된 해역에 있어서 야간의 경우, 어군분포는 수온약층 상부의 혼합층에서 군집도가 가장 높았으나, 주간의 경우에는 수온약층에 관계없이 해저부근에서 어군의 군집도가 매우 높았다. (3) 본 조사에서 탐지한 어군의 각 수심층에 대한 평균체적산란강도의 최대치는 -49.3 dB~-48.0 dB 범위였다. (4) 주간에 해저부근에서 탐지한 어군의 평균체적산란강도의 최대치는 -48.6 dB로서, 이때 저층 트로올에 의해 어획된 어획물은 주로 게(Ovalipes punctatus)와 오징어(Photololigo edulis f. budo)였고, 이밖에도 약간의 쥐치(Thamnaconus modestus), 칼치(Trichiurus lepturus), 새우(Metanephrops thomsoni) 등이 어획되었다.

  • PDF

다수어업의 갈치 자원평가 및 최적어획량 추정 (Estimation of the Optimal Harvest and Stock Assessment of Hairtail Caught by Multiple Fisheries)

  • 남종오;조훈석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40권4호
    • /
    • pp.237-247
    • /
    • 2018
  • This study aims to estimate optimal harvests, fishing efforts, and stock levels of hairtail harvested by the large pair bottom trawl, the large otter trawl, the large purse seine, the offshore long line, and the offshore angling fisheries by using the surplus production models and the current value Hamiltonian method. Proces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is study estimates the standardized fishing efforts regarding the harvesting of the hairtail by the above five fishing gears based on the general linear model developed by Gavaris. Secondly, this study estimates environmental carrying capacity (k), intrinsic growth rate (r), and catchability coefficient (q) by applying the Clarke Yoshimoto Pooley (CY&P) model among various surplus production models. Thirdly, this study estimates the optimal harvests, fishing efforts, and stock levels regarding the hairtail by the current value Hamiltonian method, including the average landing price, the average unit cost, and the social discount rate. Finally, this study attempts a sensitivity analysis to figure out changes in optimal harvests, fishing efforts, and stock levels due to changes in the average landing price and the average unit cost. As results induced by the current value Hamiltonian method, the optimal harvests, fishing efforts, and stock levels regarding the hairtail caught by several fishing gears were estimated as 33,133 tons, 901,080 horse power, and 79,877 tons, respectively. In addition, from the results of the sensitivity analysis, first of all, if the average landing price of the hairtail constantly increases, the optimal harvests of it increase at a decreasing rate, and then harvests finally slightly decrease as a result of decreases in stock levels. Secondly, if the average unit cost of fishing efforts continuously increases, the optimal fishing efforts decreases, but optimal stock levels increase. Optimal harvests start climbing and then decrease continuously due to increases in the average unit cost. In summar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optimal harvests (33,133 tons) were larger than actual harvests (25,133 tons), but the optimal fishing efforts (901,080 horse power) were much less than estimated standardized fishing efforts (1,277,284 horse power), corresponding to the average of the recent three years (2014-2016).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hairtail has been inefficiently harvested and recently overfished due to excessive fishing efforts. Efficient management and conservation policies on stock levels need to be urgently implemented. Some appropriate strategies would be to include the hairtail in the Korean TAC species or to extend the closed fishing season for this species.

한국산 양볼락과(Scorpaenidae) 어류 1 미기록종, Hozukius emblemarinus (First Record of Hozukius emblemarinus (Scorpaeniformes: Scorpaenidae) from the East Sea, Korea)

  • 박정호;윤병선;손명호;최영민;김진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39-242
    • /
    • 2014
  • 쏨뱅이목 양볼락과에 속하는 Hozukius emblemarinus 1개체(표준체장 196.4 mm)가 울산 연안에서 저층 트롤로 채집되었다. 본 개체는 체고가 높은 난형이고 눈 하단에 3개의 가시가 있으며, 등지느러미 극조가 12개, 두부 대부분이 다양한 크기의 비늘로 덮여 있으며 꼬리지느러미 후단부가 직선형인 것이 특징이다. 우리나라에서 처음 보고되는 본 종의 국명으로 "동해큰눈볼락"을 제안한다.

한국산 갈치과 어류 1 미기록종, Tentoriceps cristatus (First Record of the Crested Hairtail, Tentoriceps cristatus (Perciformes: Trichiuridae) from Korea)

  • 김맹진;고준철;송춘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35-238
    • /
    • 2014
  • 갈치과에 속하는 Tentoriceps cristatus 1개체(표준체장 619.0 mm)가 제주도 주변해역에서 저층트롤로 처음으로 채집되었다. 이종은 머리의 외곽이 둥근 점(유사종 분장어는 직선을 이룸), 배지느러미는 등지느러미 12번째 기조 밑에 위치하는 점(유사종 분장어는 15~17번째 기조 밑에 위치), 등지느러미 기조수가 V, 131개, 가슴지느러미 기조수가 11개, 배지느러미가 비늘형태로 변형된 점, 그리고 뒷지느러미의 극조수가 2개(2번째 극조는 비늘모양으로 변형됨)인 점이 특징이다. 본 종의 속명과 종명은 "투구갈치속"과 "투구갈치"로 각각 명명하였다.

한국 남동부해역 대구 Gadus macrocephalu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the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in Southeast Sea of Korea)

  • 이정훈;김정년;박준수;박탐이나;남기문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42-148
    • /
    • 2015
  • 2012년 2월부터 2013년 6월까지 남동부해역에서 기선저인망과 호망에 의해 채집된 대구 620 개체의 식성을 조사하였다. 620개체 중 192개체는 먹이가 포함되어 있었고, 428개체는 공위였다. 연구에 사용된 개체의 전장범위는 20.4~95.2 cm였다. 대구는 주로 어류, 새우류, 두족류를 섭식하였고, 소량이지만 집게류, 게류, 곤쟁이류, 등각류, 단각류 등도 섭식하였다. 먹이생물 중 어류의 비율은 대구의 전장이 커질수록 증가하였으나, 계절적 변화는 없었다. 새우류와 두족류의 비율은 성장하면서 감소하였고, 계절적 차이는 뚜렷하였다. 가을부터 겨울까지 주로 새우류가 포함되어 있는 반면, 봄부터 여름까지는 두족류가 많이 포함되어 있었다.

한국산 갈치과 어류 1 미기록종, Benthodesmus tenuis (First Record of the Cutlass Fishes, Benthodesmus tenuis (Perciformes: Trichiuridae) from Korea)

  • 김맹진;최정화;오택윤;김정윤;이동우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02-305
    • /
    • 2012
  • 갈치과에 속하는 Benthodesmus tenuis 2개체(표준 체장 332.0~377.6 mm)가 흑산도와 여수 연안에서 처음으로 채집되었다. 이 종은 등지느러미 기조수 125~126개(B. pacificus는 144~155개), 뒷지느러미 기조수 I, 73 (B. pacificus는 91~101개), 양안 지역에 평평하며 (붕동갈치는 볼록함), 아가미 뚜껑에 검은 반점이 있고, 꼬리지느러미는 양엽형이다. 이 미기록종의 속명과 국명은 "세장갈치속", "세장갈치"로 각각 제안하였다.

한국산 둥글넙치과 어류 1미기록종, Japonolaeops dentatus (First Record of a Bothid Flounder, Japonolaeops dentatus (Bothidae, Pleuronectiformes) from Jeju Island, Korea)

  • 김맹진;최정화;오택윤;김정년;송춘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42-245
    • /
    • 2011
  • 둥글넙치과에 속하는 Japonolaeops dentatus 4개체(표준 체장 152.9~l74.1 mm)가 제주도 주변 해역에서 처음으로 채집되었다. 이 종은 등지느러미 115~120개, 뒷지느러미 96~98개, 측선 바늘수 105~106개를 가지며, 윗턱이 눈앞까지 도달하고, 양턱에 이빨이 존재하는 점에서 J. dentatus로 확인되었다. 이 미기록종의 속명과 국명은 "검은꼬리넙치속", "검은꼬리넙치"로 각각 제안하였다.

한국산 납작금눈돔과 어류 1 미기록종, Aulotrachichthys prosthemius (First Record of the Trachichthyid Fish, Aulotrachichthys prosthemius (Beryciformes: Trachichthyidae) from Korea)

  • 김맹진;이동우;최광호;오택윤;최정화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43-146
    • /
    • 2012
  • 납작금눈돔과에 속하는 Aulotrachichthys prosthemius 1개체(표준 체장 74.8 mm)가 제주도 주변 해역에서 처음으로 채집되었다. 이 종은 등지느러미 기조수 V, 13, 뒷지느러미 기조수 III, 9, 아가미 뚜껑 위쪽에 날카로운 가시를 갖고 있으며 배쪽 줄은 뒷지느러미 끝을 도달하는 점에서 A. prosthemius로 확인되었다. 이 미기록종의 속명과 국명은 "은줄금눈돔속", "은줄금눈돔"으로 각각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