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ron compounds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28초

옥외 내구성 향상을 위한 목재보존제의 최근 연구 동향 -비 구리계 약제를 중심으로- (Current Research Trends in Wood Preservatives for Enhancing Durability - A Literature Review on Non-Copper Wood Preservatives -)

  • 김영숙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1권3호
    • /
    • pp.187-20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목재보존제의 최근 국제적 동향 중, 비 구리계 약제를 중심으로 조사되었다. 최근의 목재보존제 연구 분야에서 다루어지는 비 구리계 약제로는 환경친화적 수용성약제 성분의 대표적인 붕소계 화합물이 가장 많았고, 자연에서 얻어지는 천연물질을 이용한 약제, 화학처리목재, pyrethroid계 방충제 등이 포함되었다. 인축 및 환경에 대한 사용안전성이 고려된 약제들이 주 연구대상이 되는 경향이 있었다. 붕소의 경우에는 옥외 사용 시 물에 대한 용탈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양한 고분자 등의 물질을 도입하여 정착성을 높이고자 하는 연구들이 주요 이슈였다. 또한 의학 분야에서 많이 다루어지던 천연물질이 목재보존제로써 사용하고자 하는 시도와 치수안정성을 목적으로 개발되었던 아세틸화 목재와 같은 화학수식목재에 대한 옥외 사용 시도가 눈에 띄게 증가된 경향을 나타내었다.

연소시험에 의한 붕소 화합물 처리 목재의 화재위험성 (Fire Risk of Wood Treated With Boron Compounds by Combustion Test)

  • 진의;정영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3호
    • /
    • pp.19-26
    • /
    • 2018
  • 붕산과 5붕산암모늄으로 처리한 편백목재 시험편의 연소특성에 관한 실험을 ISO 5660-1 표준에 따른 콘칼로리미터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그 결과 붕소화합물로 처리한 시험편의 화재성능지수(FPI)는 공시편보다 1.2~2.1배 증가하였고, 화재성장지수(FGI)는 공시편보다 1.6~8.4% 증가하였다. 또한 총연기발생률(TSR)은 공시편보다 9.0~28.3.% 낮았다. 이것은 붕소화합물로 처리한 시험편이 난연효과로 탄화층을 생성하기 때문으로 이해된다. 공시편은 418 s에서 가장 높은 CO농도인 0.01112%를 보였으나 붕소화합물로 처리한 시험편은 공시편보다 13.2~37.5% 감소하였다. 따라서 붕소화합물로 처리한 목재는 화재위험성과 위해성이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반도체급 삼염화실란중의 극미량 붕소의 분광 광도법적 측정 (Spectrophotometric Determination of Traces of Boron in Semiconductor-grade Trichlorosilane)

  • 김동권;김희영
    • 대한화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534-538
    • /
    • 1991
  • 흡착 분리 방법을 이용하여 고순도 삼염화실란(TCS) 중의 미량 붕소 농도를 분광광도법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TCS중의 붕소 화합물과 복합체를 잘 형성하고 황산-quinalizarin계 발색 시약에 잘 녹으며 측정시 간섭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 Lewis 염기성 물질로 NaCl이 선택되었다. 이러한 흡착 분리 방법을 통해 TCS분석 도중에 실리카겔 및 기포가 생성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었는데, 반도체급 TCS중의 붕소 농도는 ${\pm}$20%의 표준편차 범위내에서 6.1 ${\mu}$g/l로 측정되었다. 반면 NaCl로 붕소화합물을 제거시킨 정제된 TCS 중의 붕소 농도는 0.2 ${\mu}$g/l이어서 NaCl의 우수한 흡착 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NaCl이 TCS 정제 중 붕소 제거에 효과적임을 다른 잘 알려진 흡착제들과 비교 분석하였다.

  • PDF

보레인 화합물을 이용한 불소 이온 검출에 관한 교육 연구 (A Educational Study on Detection of Fluoride by Borane Compounds)

  • 이강문
    • 한국교육논총
    • /
    • 제37권1호
    • /
    • pp.33-45
    • /
    • 2016
  • 본 연구는 다양한 치환기를 포함하고 있는 3종의 보레인 화합물을 합성하고, UV/Vis 하에서 합성된 화합물이 내는 흡광을 이용하여 유기 용매 하에서 매우 적은 농도로 존재하는 불소 이온($F^-$)의 검출에 적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 PDF

B, Hf, Zr첨가에 따른 $\textrm{L1}_{2}\textrm{Ni}$-20Al-10Fe 금속간화합물의 소성거동 (Plastic Behavior of $\textrm{L1}_{2}\textrm{Ni}$-20Al-10Fe Intermetallic Compounds with Microalloying Additions of B, Hf and Zr)

  • 김민철;황승준;오명훈;위당문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7권7호
    • /
    • pp.592-596
    • /
    • 1997
  • LI$_{2}$형 결정구조를 갖는 Ni-20at.%AI-10at%Fe 금속간화합물에 boron, zirconium 과 hafnium을 최고 0.5at.% 까지 첨가하여 항복강도, 연성, 파괴 등 기계적 성질의 변화를 인장시험과 X선분석 및 XPS분석 등을 통하여 관찰하였다. Ni-20at.% AI-10at.% Fe금속간화합물에 boron을 첨가하였을 때는 연신율의 현저한 증가가 나타났으나 zirconium이나 hafnium첨가의 경우에는 별다른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Ni-20at.%AI-10at%Fe 금속간화합물의 경우, boron의 양이 증가할수록 인장연신율이 증가하였으며 0.1at.%의 boron을 첨가한 경우 최고 48.5%의 상온인장연신율을 나타내었다. 첨가물을 넣지 않은 경우와 zirconium과 hafnium을 첨가한 경우, 파괴모드는 입계파괴의 형태를 나타내었으나 boron을 첨가한 경우에는 파괴모드가 입계파괴에서 입내파괴로 변화되었다. XPS분석을 통하여 boron이 입계에 편석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이는 이미 제시된 여러가지 해석들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이로부터 boron의 첨가에 따른 인장연신율의 증가는 boron의 입계편석거동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Effect of gadolinium and boron addition on the texture development and magnetic properties of 23Cr-10NiCu duplex stainless steels

  • Baik, Youl;Kang, Bo Kyeong;Choi, Yong;Woo, Wan Chuck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3권6호
    • /
    • pp.1887-1892
    • /
    • 2021
  • The effect of gadolinium and boron on the texture development and magnetic properties of the texture controlled 23Cr-10NiCu duplex stainless steels were studied to develop a high performance neutron and 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 The 23Cr-10NiCu base alloy is composed of 60% of austenite and 40% of ferrite, whereas, the 23Cr-10NiCu-0.5Gd-0.8B modified alloy is composed of 66% of austenite, 27% of ferrite and 7% of CrFeB intermetallic compounds. The gadolinium and boron addition to the 23Cr-10NiCu base alloy increased mechanical properties. Microstructure observation showed that the small addition of 0.5 wt% gadolinium and 0.8 wt% boron to the alloy retarded to form texture at the same hot rolling conditions, and improved the maximum magnetism, residual magnetism and coercive force about 3%, 122% and 120%, respectively.

Colemanite 붕산염으로부터 붕소화합물의 제조 : 무수붕산으로부터 육방정 질화붕소의 합성 (III) (Preparation of Boron Compounds from Calcium Borate, Colemanite : Synthesis of Hexagonal Boron Nitride from Boric Oxide(III))

  • 지미정;장재훈;백종후;이미재;임형미;최병현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1권11호
    • /
    • pp.812-818
    • /
    • 2004
  • 무수붕산(B$_2$O$_3$)과 활성탄소를 사용하여 질소 분위기에서 육방정 질화붕소(h-BN)을 합성할 때 그 생성조건 및 반응과정을 검토하였다. 육방정 질화붕소의 생성조건은 140$0^{\circ}C$ 이상에서 질화붕소가 합성되기 시작하여 155$0^{\circ}C$에서는 대부분의 합성이 이루어졌고,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생성이 크지 않았음이 확인되었다. 합성된 질화붕소의 입자 형상은 미세한 판상 결정을 나타내었다. 반응 과정은 무수붕산이 탄소에 의하여 환원되어 붕소로 기화됨과 동시에 공존하는 질소 가스와 반응하여 육방정 질화붕소로 합성되는 반응 경로를 따를 것으로 사료된다.

Posttreatment Effects of Castor Bean Oil and Heating in Treated Jabon Wood on Boron Leaching, Dimensional Stability, and Decay Fungi Inhibition

  • PRIADI, Trisna;LESTARI, Marini Dwi;CAHYONO, Tekat Dwi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6호
    • /
    • pp.602-615
    • /
    • 2021
  • Red jabon wood is a potential fast-growing species for veneer, furniture, and many other wood products, but its durability is very low.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astor bean oil and heating on boron leaching, dimensional stability, and resistance to decay fungi in treated jabon wood. Red jabon wood was preserved with boron solutions containing 5% boron (boric acid, borax, or borax-boric acid). Following that, castor bean oil impregnation and heating were used as posttreatments. Furthermore, all the wood samples were tested in terms of leaching, dimensional stability, and resistance against Schizophyllum commune and Fomitopsis palustris fungi. This study discovered that boron compounds, castor bean oil, and heating treatments influenced the leaching, dimensional stability, and resistance of red jabon wood to decay fungi. The double impregnation of boric acid or borax and castor bean oil, followed by heating at 160℃, significantly reduced water absorption and leaching while increasing the dimensional stability and resistance of red jabon wood against the two tested decay fungi.

In vivo Trafficking of Liposomes Containing Boron Compounds for Boron Neutron Capture Therapy (BNCT)

  • Huu Bao Nguyen;Jeongsoo Yoo
    • 대한방사성의약품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43-48
    • /
    • 2023
  • For over 50 years, boron neutron capture therapy (BNCT) has been steadily developed for treating various cancers. This is a non-invasive, selective, and targeted radiotherapy wherein boron-rich molecules accumulate at the tumor site. Liposomal vesicles have become a popular and effective drug delivery system for BNCT, with strategies including surface decoration, bilayer integration, and hydrophilic core encapsulation. This review highlights the state-of-the-art uses of liposomes in BNCT and elucidates a new perspective where BNCT can be used with radiotracer guidance in all-in-one delivery systems.

희토류 영구자석의 전자기적 구조 (Electronic and Magnetic Structures of Rare-earth Permanent Magnets)

  • 민병일;장영록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6-11
    • /
    • 1991
  • 희토류금속과 천이금속의 화합물인 희토류 영구자석의 전기적, 자기적 성질등을 이해하고 자우리는 $SmCo_{5},\;NdB_{6},\;NdFe_{5},\;NdFe_{4}B$등의 비교적 간단한 희토류 화합물에 대한 자체충족적 전자구조 이론연구를 시도하였다. 국재 밀도함수 근사 LMTO(Linearized Muffin Tin Orbital)밴드 방법을 이용하여 $SmCo_{5}$ 영구자석을 포함한 희토류 금속 화학물의 기저상태의 물리적 파라미터들, 즉 에너지 밴드, 상태밀도, Stoner상수, 자기 모멘트 등을 구하여 이들의 전자기적 물성을 고찰하였다. Nd, Sm등의 희토류원소와 Fe, Co등의 천이원소, 또한 boron등의 원소들이 서로 금속 화합물을 형성할 때 일어나는 bonding효과, 즉 희토류금속의 f-전자와 d-전자, 천이금속의 d-전자, 또한 boron 금속의 s,p-전자와의 상호 작용, 그에 따른 전자구조, 자성의 변화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