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ok of Change

검색결과 279건 처리시간 0.025초

Z세대 대학생들의 대학도서관의 전자책 이용 행태에 관한 연구 - 코로나19의 영향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book Usage Behavior of University Library by University Students: Focusing on the Impact of COVID-19)

  • 장수현;박윤서;남영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181-205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Z세대 대학생들의 전자책 이용에 대한 인식을 포함한 독서 행태를 조사하고, 코로나-19로 인한 변화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전국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전자책 인지 및 이용, 전자책 이용현황, 전자책 선호도 인식, 코로나 전후 대학도서관 및 전자책 이용 비교 항목을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Z세대 대학생들의 전자책 이용에는 대학도서관이 적지 않은 영향을 주고 있었으며, 코로나19는 Z세대 대학생들의 하루 평균 독서 시간에 유의미한 변화를 주는 등 독서 행태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EPUB3.0 고정형 레이아웃 전자책 구현 (The Implementation of an EPUB3.0-Based Fixed Layout e-Book)

  • 문현숙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105-112
    • /
    • 2015
  • 최근 향상된 기능의 EPUB3.0 전자책 표준이 발표되면서 전자책 제작과 유통 측면에서 많은 발전과 변화를 가져오는 계기가 되었다. 이에 따라 독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과 인터랙티브 기능을 포함한 EPUB3.0 기반의 전자책을 구현하면서, 종이책과 전자책의 동시 출판을 고려하는 제작방법을 연구하는 것이 논문의 목적이다. 연구 방법 및 내용으로는, Adobe Indesign CC(2014)를 이용하여 편집과 레이아웃 디자인 완성하고 인터랙티브 기능을 부여한 후 EPUB3.0 파일로 저장을 하였다. 저장된 EPUB 파일을 Sigil 프로그램에서 열어 세부코드를 확인하고 발생하는 에러를 체크하면서 수정하여 완성하였다. 완성된 EPUB3.0 파일은 epubtest.org 사이트의 적합성 결과를 바탕으로 EPUB3.0 기능을 잘 구현할 수 있으면서 파일 업로드가 가능한 4개의 EPUB 뷰어를 데스크탑과 모바일 기기에 각각 설치하여 테스트 하였다. 본 논문은 고정형 레이아웃과 인터랙티브 기능 구현이 가능한 EPUB3.0 기반의 전자책을 구현하고, 제작 프로그램을 상호 연동하여 사용함으로써 전자책 제작의 과정에 드는 시간과 비용을 현저히 감소시키면서, 종이책과 전자책의 동시 출간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를 가진다.

대한제국기 내장원의 위상 변화와 공문서 접수 (Receipt of Official Documents after the Status Change of the Office of Crown Properties in The Great Han Empire)

  • 박성준
    • 기록학연구
    • /
    • 제36호
    • /
    • pp.35-67
    • /
    • 2013
  • 대한제국기 내장원이 각종 국가 재원을 관할한 거대 재정기구로 확대되면서 공문서 양식도 변화되었다. 초기와 달리 1900년 2월부터 판심에는 궁내부가 삭제된 '내장원(內藏院)'이 찍힌 공문서 용지를 사용했다. 내장원경의 도장에 새겨진 명칭도 '내장원경지장(內藏院卿之章)'으로 변경되었다. 내장원이 거대 재정기구로 확대되면서 위상도 독자성을 갖는 기구로 높아졌던 것이며, 그 양상이 공문서 양식에도 반영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문서 유통 체계에서도 나타났다. 1897년까지 내장원이 각 군으로부터 받은 보고의 수신자는 대부분 궁내부대신이었으나 1899년부터는 수신자가 내장원인 보고서가 대부분이었다. 1899년 8월 이전에는 내장원이 각 군에 훈령을 내릴 수 없었으나, 1899년 8월 이후부터 내장원은 각 군에 훈령을 내릴 수 있게 되었다. 그렇지만 아직 내장원은 중앙기관과 대등한 위치에서 문서를 거래하지는 못했다. 그러나 1900년 9월부터 내장원은 중앙기관과 대등한 위치에서, 지방 기관과는 상급 기관으로서 문서를 거래하게 되었고, 내장원에는 기록과가 설치되었다. 내장원은 궁내부 소속의 하급 기관에서 벗어나 독립된 기관으로서 각 기관과 문서를 거래하게 되었다. 1900년 9월 기록과가 설치된 이후부터 내장원은 독자적으로 문서 접수책을 작성했다. 1901년도 접수책과 1905 1906년도 접수책을 비교해 보면 1905년도 접수책부터 접수 호수가 등장하고 일부에서는 해당 문서의 담당 기관이 기록되었다. 1902년부터 1904년까지의 접수책이 없어 접수책에 언제부터 접수 호수가 기록되었는지 접수책을 통해서는 알 수 없지만, 1905년도 접수책에 기록된 접수 호수와 일자가 접수스탬프에 기입된 내용과 일치하는 것으로 보아 접수 호수가 기록된 시점은 접수스탬프를 찍기 시작한 1902년 7월 전후인 것으로 추정된다. 다음으로 접수스탬프와 달리 접수책에는 업무 담당 기관인 과(課)가 먼저 기록되었다. 이는 내장원이 접수책을 과를 구분해서 작성했던 방식에서 과를 통합하여 작성하는 방식으로 전환했기 때문이었다. 내장원은 과를 구분하지 않고 하나의 접수책에 접수한 순서대로 문서를 기록하면서 각 문서에 연속된 접수 호수를 부여하고, 해당 문서의 업무 담당 기관을 구분하기 위해 접수책 하단에 과를 기록했던 것이다. 1900년 9월 기록과가 설치된 이후 독자적으로 문서를 수발하게 된 내장원은 접수한 문서에 도장 '내장원영수증(內藏院領收證)'을 찍고, 문서접수 장부를 작성했다. 내장원은 과를 구분해서 접수책을 작성했던 초기의 방식에서 과를 통합해 하나의 접수책에 작성하는 방식으로 전환하고 접수책에는 접수 호수와 업무 담당 기관을 기록하였다. 그리고 접수한 문서에는 접수일자 호수로 구성된 접수스탬프를 찍어 점차 접수 체계가 정비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당종해(唐宗海)의 의역사상(醫易思想)에 관(關)한 연구(硏究) (The study of Tang Zong Hai's Medica-change thought)

  • 김기욱;박현국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56-71
    • /
    • 1999
  • 1. In the recohnition of cosmos true form, It is compared to the Boundless(無極) the Great Absolute(太極),Yin and Yang(兩儀) throungh the fertilazation process of spermatozoon and ovum. 2. It is explained that principle of unchange through the Form and Action(體 用) relation of the outer appearances and Number (象數) with matching the number of nine and ten to HaDoo(河圖) and RakSye(洛書). 3. Eigth divinations(八卦) being compared to the human body, Care presevation of pregnancy(養胎) is explained that head forms firstly(Gun-I 1乾一), secondly lung(Tae-E 兌二), heart(E-Sam 離三), liver(Jin-Sa 震四), gall bladder(Son-Oo 巽五), kidney(Gam-Yuk 坎六), intestines and stomach(Gan-Chill 艮七), lastly flesh forms(Gon-Pal 坤八). 4. It is explained that process of physiological change of $\ll$Nei Ching The Natural Truth in Ancient Times$\gg$(內經 上古天眞論) by matching boy at the age of 8 to Gan-divination(艮卦), and girl at the age of 7 to Tae-divination(兌卦). 5. The theory of six sons from Gun-Gon(乾坤六子論) is explained by relation of Apriority Eight-divination(先天八卦) obedience and disobedience-left and right. 6. It is explained that form of the human-body and the relationship of the Heart - the Kidney through the Gam(坎) Li(離) - divination 7. The effort of interpretating time and space of the Twelve Horary signs is explanined by season, direction, Five elements(五行), rise and decline, the Three Sum(三合), the Six Sum (六合), the six crash(六衡)'s relation. 8. the process of change from apriority(先天) to postery(後天) in the book of Changes(周易) is explanined by comparing to the phenomenum of nature and the human body. 9. The Energy Satus(氣位) are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of Eight-divination(八卦) and the properties of the good or bad of herb-drugs are differnt from the place of production. 10. The rightness of realizating the Overlapping-divinations(重卦) are compared to the phenomenum of nature through the Divination Virture(卦德). 11. The dependence-relations of The Twelve Meridians(十二經脈) are explained by-matching January with liver meridian, February with gall bladder meridian, march with heart pericardium meridiam, April with small intestine meridkan, August with lung spleen meridian, jury with stomach meridian, August with lung meridian, September with large intestine meridian, October with urinary bladder meridianm November with kidney meridian. December with triple energizer meridian throng The Twelve Byuk-divination. 12. The process of menstration cycle is explained by The Month symbolizing-divination(月候卦). 13. Through The Trade(交易) prove the reason of feverish sympotoms to use feverish Drug, mill sympotoms to use mill drug of prescription and Heart-Kidneys Consensus(心賢相交) and through The Change(變易), prove the chill and feverish consensus of forechill after feverish, fore feverish after chill and through. The Non-Change(不易) explain the reason of chill sympotoms to use feverish drug, feverish sympotoms to use chill drug of prscription. 14. Ho-divination(互卦) applicate Jxa Sa(佐使) herb drug match of Kun Sin Jwa Sa() theory. 15. According to the Hyo-position(爻位) match the ages, body form and drug by matching Ehight-divination(八卦) to the human body form and function in medicine and the book of Changes(周易) application emphasize the human body Ehight-divination(人身八卦). 16. Throgh the Order-divination(序卦) explain the rightness of Divination Image(卦象) arrangement and all things take shape by cosmo-energy conseusus(宇宙氣交). 17. Throgh the Mixing-divination(難卦) supply the vacancy of medicine and the book of Changes(周易) relationship in the foreword explian the human energy movements, sleep, vomitting, the energy arrival(逮氣), heart pericardium(心包), lung membrane(肺膜) etc.... Like the above sentence medicine and the book of Changes(周易) theory of scholar Tang on the viewpoint of easten-the way Western appliance(東道西器) researching abyss of medicine impart to descendants, so I think that the achievement of medicine and the book of Changes(周易) study is very excellant and I expect that the study Korean Oriental Medicine(韓醫學) theory by means of medicine the book of Changes(周易) reference, will be accelarated.

  • PDF

중고등학교 필독도서목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ist of must books in middle schools)

  • 변우열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4권
    • /
    • pp.243-274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necessity, selection,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Must Books List in middle schools. A great book can change a person's life and future. Especially, reading in the juvenile period is important because of their intellectual curiosity and sensitivit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necessity of Must Books can be considered in two perspectives : One is the cultivation of emotion and sense of value and the other is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bilities. 2. The general criteria for the selection of Must Books are whether a book is su n.0, pportive of learning activities,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of activities for school festivals. And whether a book is contributing to the building of good characters of students or not should be considered, too. 3. The special attention should be given to such matters as the organizational and distributional ratio among subjects of the Must Books, the degree of difficulties, the ratio of books for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the ratio of foreign books to domestics, the possibilities of further reading and the bibliographical matters. 4. The points to be duly considered for the management of Must Books List are the educational considerations, clearness of objectives, the elimination of commercialism and authoritarianism in the book selection. The Must Books List should be managed autonomousl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chool and be updated annually. However,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the teacher should be a good reader himself. 5. It is better to include short stories than the long one in the Must Book List. Students should be guided to read explanatory text first and then to move to the original text. And they should be exposed to books in various subjects and not to be too dependent on the Must Books List. They should be able to develop the problem solving ability through the reading of the Must Books. 6. Finally, the Must Books selection committee should be composed of both teacher librarian and subject teachers. It is desirable that books for the cultivation of emo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sense of value, and for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bility should be selected by consulting the various reading lists compil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Board of Local Education and other authorities concerned.

  • PDF

우리나라의 도서 판권기 기술요소 변천 고찰 (A Study on the Transition of Elements of the Book Colophon in Korea)

  • 이명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329-349
    • /
    • 2010
  • 판권기는 당해 도서와 관련된 서지사항을 한곳에 모아 표기한 것으로 도서의 말미나 표제지 이면에 위치한다. 판권기는 목록작성에 필요한 서지사항의 정보원, 저작권과 관련해서 필요한 사항, 독자에게 제공하는 유용한 정보원 등의 기능을 한다. 우리나라에서 고서가 아닌 신서의 출판은 1900년대 초부터 시작한다. 그리고 도서의 판권기 기재요소는 사회문화적 환경의 변화에 따라 변하였다. 판권기 기재요소 중에서 1900년대 초부터 지금까지 변함없이 표기되는 요소는 표제 및 책임표시사항, 발행지, 발행처, 발행년, 가격 등이며, 사회 제도적 변화에 따라 추가로 표기되는 요소는 판표시, ISBN, 발행처 등록, 출판사 연락처, 저자약력 등이다. 반면에 생략되는 요소는 저자주소, 계좌번호, 검인지 등이다. 향후에 판권기 요소에 도서의 크기가 표기되길 바란다.

  • PDF

e-Book 이용실태와 발전 전망 (Current Use of e-Books and their Development Perspective)

  • 정종원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31권
    • /
    • pp.327-354
    • /
    • 2005
  • 이 연구에서는 전자책 수용자조사 자료를 통해 전자책에 대한 이용실태와 나아가 수용자들이 전자책의 향후 발전 전망을 어떻게 진단하고 있는지 밝혀보고자 했다. 그리고 전자책의 향후 활성화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했다. 연구결과 전자책 이용자의 저변확대는 이루어져 있었다. 그러나 전자책은 아직 수용자들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았고 주로 무료사이트를 이용하는 수준에 머물러 이용이 활성화 되어 있지 않았다. 그리고 전자책의 이용경험 유무가 이용행태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전자책 수용자들은 전자책의 발전전망을 종이책보다 훨씬 밝게 보았고, 전자책 이용경험이 있는 수용자가 경험이 없는 수용자보다 전자책의 발전전망을 밝게 진단하고 있었다. 따라서 전자책 이용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전자책에 대한 접근성 제고, 홍보의 강화, 내용에 대한 신뢰성 제고, 가격의 인하, 다양한 컨텐츠 개발, 가독성을 높일 수 있는 편집체제 변화, 눈의 피로를 막을 수 있는 화면의 개발 등이 선행되어야 한다.

  • PDF

법인세율 변화기간의 연도별 BTD 분석 (BTD Analysis around Corporate Tax Rate Changes)

  • 박수경;가예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75-81
    • /
    • 2020
  • 본 연구는 2009년 법인세율 인하 및 2018년 법인세율 인상 시점을 전·후한 기업의 회계이익, 과세소득, BTD의 연도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각 항목에 대한 연도별 ANOVA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등분산 검증 후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법인세율 인하시의 회계이익은 과세소득보다 많았으며 2008년도의 BTD가 다른 연도와 유의적으로 달랐다. 둘째, 법인세율 인상시의 회계이익은 과세소득보다 적었으며 2017년도의 BTD 역시 다른 연도와 유의적으로 달랐다. 즉, 법인세율 변화 시 기업은 세부담 경감을 위한 적절한 이익조정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법인세율 변화 직전 연도의 BTD는 다른 연도들과 차별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철제 스테이플이 박힌 책의 보존처리 (Conservation of stapled books: Rebinding using colored iron cores)

  • 하효진;최정은
    • 보존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27-32
    • /
    • 2014
  • 본 논문에서 보존처리 한 책은 1935년 일본사에서 발행된 "위인최후(偉人最後)の언엽집(言葉集)"이다. 1900년대 초반의 책들은 대부분이 산성지로 되어있어 책의 산도가 높고 스테이플로 인한 갈변현상이 심하다. 본 시료도 갈변현상이 관찰되었으며, 책의 pH가 3.2로 매우 낮았다. 스테이플에 의한 갈변 이외에 종이 전체의 색이 많이 변하였으며, 종이 자체의 산성도로 인하여 종이가 바스러지는 현상이 보였다. 스테이플 철심을 제거한 후 건식, 습식클리닝을 행하여 오염물을 제거하였다. 가볍게 프레스하여 종이를 건조시킨 후, 미농지($4g/m^2$)를 사용하여 속지와 겉 표지를 배접하여 보강처리를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스테이플 심을 대신하여 실이나 종이로 다시 묶는 기존의 보존처리 방법과 다르게 기존의 스테이플과 유사한 철심을 만들어 원래의 자리에 복원하는 작업을 하였다. 복원 하기 위해 스테이플의 두께와 비슷한 철사를 사용하였고, 착색액 ($H_2O$, $C_2H_5OH$, $CuSO_4{\cdot}5H_2O$, $FeCl_3{\cdot}6H_2O$)에 넣어 부식된 스테이플 심과 유사한 색으로 착색하였다. 마지막으로 20%의 paraloid B-72로 방식처리를 하여 차후의 부식을 예방하였다.

창작그림동화의 독창성 연구 (Original expression of the creative chidren's picture-book)

  • 안경환
    • 디자인학연구
    • /
    • 제11권1호
    • /
    • pp.185-197
    • /
    • 1998
  • 국내 출판시장 규모는 (문화체육부 통계자료) 세계 시장 규모 7위로, 아동도서 출판 이 세계 3위 수준에 달하는 출판현황은 그 양적 성장에 비하여 책이 종류와 장르의 은 한정되고 있는 상황이다. 외국의 아동 출판계는‘복합출판’으로 동화 한 종을 보더라도 인형, 오디오, 게임, CD롬 타이틀 등을 동시에 내놓는 상황으로, 심지어 기획단계 부터 비디오(만화영화)도 고려한다. 이에 비해 국내 아동출판의 대부분은 학습지가 점유하고 있다. 90년대 들어 고학력 부모들의 신중한 책 선택도 아동 출판계의 변화 배경으로 꼽힌다. 이런 풍요 속 빈곤의 문제점은 $^{(1)}$지난해(1997)나온, 우리 그림책의 1백 90여권이 번역물로, 실리적 측면에서 국내 기획물 이 빈약한 실정이다. “강아지 똥”은 국내기획의 창작 그림책 중 1만 5000부가 나가는 상업적 성공을 거둔 것을 보면, 기획력에 따라 우리 창작물도 얼마든지 시장을 확보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자연이 소중함을 한국적 삽화와 곁들여 출판한“강아지 똥”창작그림동화책의 인기는 판매량 면에서도, 많은 독자들의 우리 책 선호를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창작동화의 전망 찾기의 모토로서, 어린이 창작그림동화책 가운데 $^{(2)}$베스트셀러로서 외국 번역창작동화그림책“누가 내 머리에 똥 쌌어”과 우리의 창작그림동화책인“강아지 똥”을 그림동화 기획(주제, 글, 일러스트, 편집디자인)의 독창적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연구.검토하여, 세계 속의 한국의 창작그림동화책 만들기를 보다 전문적이고 예술성 높은 그림책의 내적 구조, 창의성(글과 그림)의 관계, 이미지의 풍부한 내용을 표현한 새로운 조형언어를 통하여 어린이를 위한 출판그림의 우수성 향상을 목적으로, 장르별로 문학적.예술적.교육적 요소를 포함한 우리 창작그림동화책 기획 및 발전의 계기를 부여함으로써, 우리 어린이에게 궁극적으로는 삶의 가치를 높여주는‘이야기가 담겨진 그림이 있는 책’인 좋은 창작그림동화책의 기획을 예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