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ne density test

검색결과 221건 처리시간 0.022초

다중 검출 전산화단층촬영을 이용한 국내 일부 지역 성인의 골밀도 현황 분석: 식습관, 생활습관, 신체적, 사회적 특성과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Analysis of Bone Mellow Density in Adults of Domestic Local Area Using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Focus on Corelation About Eating Habits, Lifestyle, Physical Features and Social Characteristics)

  • 이태희;김태형;소운영;임희겸;임청환;박명환;천명기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9권4호
    • /
    • pp.517-526
    • /
    • 2016
  • 다중 검출 전산화단층촬영(Multi detecter computed tomography; MDCT)에서 계산된 골밀도 값과 대상 검사자의 생활양식, 신체적 특성, 사회적 특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2015년 7월 15일부터 2016년 6월 6일까지 00의료원에 내원한 검사자 141명(남: 63명, 여: 78명)을 대상으로 MDCT를 시행하여 HU값을 골밀도의 T-score 값으로 환산하였다. 골밀도를 측정한 대상 부위는 요추 두 번째, 세 번째 그리고 네 번째 요추이었으며, 남녀별 골밀도 차이와 검사자의 생활양식, 신체적 특성, 사회적 특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통계적 유의성 검증은 독립표본T 검정과 일원배치 분산분석법을 사용하였다. 남녀의 골밀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고(p<0.05), 연령별 골밀도 값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평균 골밀도 값이 감소하였지만 통계적으로는 남성의 경우는 20대부터 50대까지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05), 20대와 60대 이상의 연령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여성의 경우는 20대부터 40대까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p>0.05), 50대 이후로 골밀도가 급격히 감소하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여성인 경우만이 월경과 폐경, 출산, 음주 유무와 잡곡류, 계란, 기름진 음식 섭취 유무에 대하여 골밀도 변화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5), 남성의 경우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MDCT를 이용한 골밀도 측정법으로 검사자의 생활양식, 신체적 특성, 사회적 특성과의 상관관계를 추정할 수 있었고, 골다공증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부분골밀도 측정을 통해 산출되는 체지방률의 임상적 유용성에 대한 평가 (The Clinical Usefulness Measurement of the Whole Body Percent Fat Calculated by the Part Bone Mineral Density Measurement)

  • 강영은;김은혜;김호성;최종숙;최우준
    • 핵의학기술
    • /
    • 제15권1호
    • /
    • pp.3-9
    • /
    • 2011
  • 이중에너지 방사선 흡수계측법(Dual-energy X-ray Apsorptiometry, DXA)은 일반적으로 골밀도를 통한 골다공증 평가 및 치료목적으로 이용되어 왔으며 최근 비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체지방검사 처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기존의 체지방 측정은 전신을 검사해야만 평가가 가능했지만 근래 DXA장비의 소프트웨어가 향상 되면서 요추와 대퇴부의 측정만으로도 전신체지방률을 추측 할 수 있게 되었다. 전신측정이 아닌 부분측정 값이 다른 검사방법으로 산출된 값과 비교하여 타당성을 갖는지 생체전기저항측정법(Bioelectrical Impedence Analysis, BIA)과 체질량 지수(Body Mass Index, BMI)와의 상관도 분석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2010년 3월부터 8월까지 본원 건강검진센터에 내원한 수검자 중 40세 이상의 여성 90명을 대상으로 DXA와 BIA를 통해 체지방률을 측정하였다. BMI는 신체 계측기를 통해 측정된 신장과 체중을 수검자 정보에 기입하여 자동으로 산출되는 값을 활용하였다. 또한 체중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BMI를 기준으로 저체중, 정상, 비만의 세 그룹으로 분류하여 각 그룹에서 BMI와 BIA, DXA 간의 상관도를 분석하였다. 저체중과 정상, 비만으로 나눈 세 그룹에서의 DXA와 BIA의 비교는 모든 그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룹으로 나누지 않은 상태에서의 상관분석결과 DXA로 측정된 체지방률은 BMI와 비교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r=0.908, p<0.01) BIA와의 비교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r=0.927, p<0.01). 부분 골밀도 측정으로부터 추정된 전신체지방률이 BIA 그리고 BMI와 비교해 뛰어난 상관관계를 보여 정보의 신뢰도가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아직 추정된 전신체지방률에 관한 명확한 기준이 없어 골밀도측정만으로 체지방평가를 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골밀도검사를 통해 골다공증의 진단은 물론 체지방에 관한 정보까지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효율적이며 추후 전신골밀도검사로 측정된 체지방률과의 비교연구를 통해 더 객관적이고 임상적으로 유용한 정보 제공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유방암 환자에서 전신 뼈 검사 후 감시림프절 위치 파악 검사의 유용성 (Usefulness of Breast Lymphoscintigraphy after Whole Body Bone Scan)

  • 장동근;반영각;정석;박훈희;강천구;임한상;김재삼;이창호
    • 핵의학기술
    • /
    • 제14권2호
    • /
    • pp.133-137
    • /
    • 2010
  • 유방암은 다른 장기에 비하여 뼈 전이와 임파절 전이가 잘 일어나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으며, 유방암 수술 전, 후로 핵의학 검사인 전신 뼈 검사와 감시림프절 검사가 많이 시행되고 있다. 감시림프절 위치 파악 검사는 감시림프절에 정확 위치를 파악을 위해 시행되며, 유방암 수술 시 감시림프절을 파악 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 주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감시림프절 위치 파악 검사 시 해부학적인 위치정보를 좀 더 명확하게 하기 위해 감시림프절 위치 파악 검사 전날 전신 뼈 검사를 시행하여 기존에 Flood 선원을 이용한 방법과 비교 평가하여 영상의 유용성에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9년 1월부터 12월까지 본원에서 전신 뼈 검사와 감시 림프절 검사를 2일에 걸쳐 시행한 환자 22명(평균나이 $52{\pm}7.2$세)을 대상으로 하였고, 대조군으로는 $^{57}Co$ flood phantom을 이용하여 감시림프절에 위치를 파악한 환자 22명(평균나이 $57{\pm}6.5$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정량적인 분석 방법으로 전신 뼈 검사 후에 감시림프절 검사를 시행한 영상에 감시림프절과 배후방사능에 관심영역을 그려 상대적 비율을 측정하였으며, 육안적인 분석 방법으로 전신 뼈 검사 후 감시림프절 검사를 진행한 영상과 $^{57}Co$ flood phantom을 이용한 영상을 핵의학과 전문의와 5년 이상의 실무경험을 가진 방사선사가 각각 5점 척도로 하여, Blind test하였다. 정량적인 분석 결과 감시림프절에 대해 배후방사능이 미치는 영향은 전면상에서 최대 14.2:1, 평균 8:1(SD${\pm}$3.48), 측면상에서 최대 14.7:1, 평균 8.5:1(SD${\pm}$3.42)값으로 감시림프절에 대해 배후방사능에 차이가 크게 나타났고, 전면상과 측면상에서도 큰 차이가 없었다. 육안적인 분석 결과 $^{57}Co$ flood phantom 영상과 뼈가 포함된 영상을 비교한 결과 $^{57}Co$ flood phantom 영상 $3.86{\pm}0.35$점, 뼈 영상이 $4.09{\pm}0.42$점으로 $^{57}Co$ flood phantom 영상 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감시림프절 위치 파악 검사에 경우 검사 전날 전신 뼈 검사를 진행하였을 때에 뼈의 배후방사능과 감시 림프절에 비율차이가 평균 8:1 이상으로 림프절에 위치를 파악 하는데 문제가 없었다. 또한 전신 뼈 영상을 체표윤곽도로 이용하게 되면, 다른 선원을 이용하지 않고도 감시림프절에 위치정보를 나타낼 수 있어서 술자와 환자의 불필요한 피폭을 방지하며, 영상의 질적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

  • PDF

Study on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Tio2/Epoxy Resin Nanocomposites

  • Kim, Bu-Ahn;Moon, Chang-Kwon
    • International Journal of Ocean System Engineering
    • /
    • 제3권2호
    • /
    • pp.102-110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properties of epoxy resin using titanium oxide nanoparticles. The effects of particle weight fraction, dispersion agent, and curing agents with different molecular weights on the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itanium-oxide-reinforced epoxy resin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the effect of the particle dispersion condition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nanocomposites was studi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film-shaped nanocomposites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nanoparticle content. Because nanoparticles interrupted the cross linkage between the epoxy resin and the amine curing agent, the cross-link density of the epoxy became lower and led to a decrease in $T_g$ in the nanocompo-sites. The tensile strength and modulus in film-shaped nanocomposites also increased with the particles content. But in the case of dog-bone-shaped nanocomposites, the values were not similar to the trend for the film-shaped nanocompo-sites. This was probably a result of the different nanoparticles dispersions in the epoxy resins resulting from the respective-thicknesses of the film and dog-bone-shaped samples.

산후신통(産後身痛)을 호소하는 일부 산모의 골밀도 분석 (A Study on BMD of Some Women Suffering from General Pain after Childbirth)

  • 박경선;이진무;이창훈;조정훈;장준복;이경섭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09-116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Bone Marrow Density (BMD) of women suffering from general pain after childbirth. Methods: We studied 18 patients visiting $\bigcirc\bigcirc$hospital from March 2007 to May 2010. The subjects were categorized in two groups, symptom group(n=12) and no symptom group(n=6). We measured BMD using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DEXA) and studied the difference of BMD between two groups by Student T-test using SPSS for windows(version 13.0). Result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age, days of postpartum, primiparity, cesarean section, breast-feeding of two groups were not different statistically. BMD, T-score and Z-score of symptom group were statistically lower than no symptom group.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women suffering from general pain after childbirth shows low BMD, T-score and Z-score. It seems to be due to the kidney deficiency after childbirth.

척수 손상을 가진 운동선수와 비운동선수의 일상생활 기능과 골밀도 비교연구 (The Study of Functional Independence and Bone Mineral Density in Athletes With Spinal Cord Injury)

  • 신화경;김연정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19-124
    • /
    • 2012
  • 목적 : 본 연구는 척수손상환자들 중 신체활동 정도가 급격하게 차이 나는 운동 선수군과 비선수군의 일상생활동작과 골밀도를 비교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 본 연구를 위해 20명(선수 10명, 비선수 10명)의 SCI 환자가 실험에 참가하였다. 골밀도 측정을 위해 이중에너지 방사선골밀도 측정기(Lunar Prodigy, GE Healthcare. England)를 이용하여 종골부위(calcaneus)의 골밀도를 측정하였다. 척수손상환자의 일상 생활 기능을 측정하기 위해 자조관리(self care), 호흡과 괄약근 조절 (respiration and sphincter management task), 이동(transfer)의 세 영역으로 나누어진 SCIM II(Spinal Cord Injury Measurement II)을 이용하였다. 척수손상환자들 중 운동 선수군과 비운동 선수군의 일상생활 동작과 골밀도를 비교 하기 위해 SPSS 14.0 통계 프로그램의 independent t-test를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일상생활 동작과 골밀도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을 실시하였다. 유의수준은 ${\alpha}$=.05로 통계처리 하였다. 결과 : 검사 결과 선수군이 비선수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큰 SCIM 점수와 T-score를 보여주었다. 결론 : 일상생활동작을 측정하기 위하여 SCIM II(SpinalCordIndependenceMeasureII) 척도를 사용하였는데 선수군이 비선수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SCIM II 총점을 나타내어 운동을 통한 훈련이 척수손상환자의 기능적 활동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사료된다. 그리고 골밀도 측정 결과 선수군이 비선수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골밀도를 나타내었다. 이 역시 강도 높은 훈련이 척수손상환자에게 나타날 수 있는 신체구성을 강화시켜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운동을 통한 재활 중에서 그 강도가 높을수록 신체의 구성적, 기능적 측면 뿐 아니라 신경의 가소성 측면에서도 증가를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폐경기 이후 여성의 골다공증 위험요인 (The Risk Factors of Osteoporosis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 이혜영;박원숙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03-313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bone mineral density(BMD) and identify risk factors of osteoporosis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The subjects consisted of 328 women. The BMD of the calcaneus were measured with peripheral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The risk factors were collected by a self-report standardized questionnaire. The differences among the osteoporosis, osteopenia, and normal group were compared by one way analysis of variance test, Scheffe's multiple comparison tests and Logistic regression. Results: The average age was 65 years old and the average T-score was 28.7% with osteoporosis. The Risk factors of osteoporosis were inclined by 24% in age (OR = 1.24, CI = 1.16 ~ 1.31), 53% in menarchal age (OR = 1.53, CI = 1.24 ~ 1.88), 3.5 times in vegetarian (OR = 3.52, CI = 1.66 ~ 7.47), 2 times in small-bowel disease (OR = 2.01, CI= 1.03 ~ 3.94), 5.3 times in arthritis (OR = 5.33, CI = 1.61 ~ 17.67), 5.5 times in eating disorder (OR = 5.50, CI = 1.43 ~ 21.17), 6 times in health perception (OR = 6.08, CI = 2.30 ~ 16.06). The Risk factors of osteoporosis were reduced by 10% in weight (OR = 0.90. CI = 0.83 ~ 0.97), and 10% in menopausal age (OR = 0.90. CI = 0.84 ~ 0.98). Conclusion: The risk factors of osteoporosis were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menstrual history, history of disease, life style & diet, and health perception. Eating disorder and health perception are highest on the risk factor of osteoporosis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 PDF

성인의 골다공증에 대한 지식과 실천에 관한 조사연구 (A Study on Knowlege and Practices about Osteoporosis in Adults)

  • 윤은주
    • 재활간호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27-42
    • /
    • 1998
  • Osteoporosis is a major health problem in countries with aging populations, resulting in excess morbidity and mortalit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knowledge and practices about osteoporosis in adults and to identify some factors which were influenced to that. 56-item questionnaire was developed including five domains(general characteristics, osteoporosis-related characteristics, knowledge of risk factors, knowledge of prevetion and practices).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68 adult ranged from 30 to 59. Data were collected during the period from June 15 to July 10, 1998 by means of a structured questionnar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ost Hoc, Pearson Correlation by SPSSWIN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knowledge score of risk factors for osteoporosis was 7.46(full score=15) and that of prevention of osteoporosis was 8,79(full score=12). 2. The mean practice score of osteoporosis was slightly higher than median value. 3. Women had better knowledge about osteoporosis risk factors and practiced more osteoporosis-prevention measures than men. Although the data demonstrated fairly good general knowledge about osteoporosis in the subjects, the older group(age 50-59), those at the highest risk of developing the disease, knew less about osteoporosis than the younger group(age 30-39) did. 4. The persons who had heard about osteoporosis and bone mineral density though mass media medical pratitioners and who didn't take any medicine for osteoporosis had better knowledge about osteoporosis and preventive measures. The practice score was significantly higer in the postmenopausal women and persons who were already diagnosed as osteoporosis patients, or who underwent bone mineral density measurements. 5. The relation between knowledge and practice was significant. In conclusion, there was a modest degree of general knowledge about osteoporosis and its consequences in adults. Further randomized studies are need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steoporosis and risk factors. However, these results support the importance of education to prevent osteoporosis.

  • PDF

골다공증 환자에서 신허와 골밀도의 상관성에 대한 관찰연구 (Observation of Correlation between Deficiency Syndrome of Kidney and Bone Mineral Density in Osteoporosis Patients)

  • 김윤주;강재희;곽규인;이현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31권3호
    • /
    • pp.99-107
    • /
    • 2014
  • Objectives :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correlation in deficiency syndrome of kidney index and bone mineral density(BMD) in 130 osteoporosis patients. Methods : 130 women who were over 50 years old and visited in Departmen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Medicine, Cheonan Oriental Hospital of Daejeon University from January 1, 2012 to December 31, 2013, answered the questionnaire consisting of symptom of deficiency syndrome of kidney, to determine the deficiency syndrome of kidney Index(DSKI). Grade of low back pain were measured in the visual analogue scale(VAS). BMD of the patients were determined by quantitative computerized tomography(QCT). Then, DSKI with BMD, VAS and age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alysis, variance analysis and Kruskal-Wallis test. Results : 1. Between DSKI and BMD, patients in total and in-their-50's group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but in-their-60's group and over-70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by correlation analysis. 2. Between DSKI and VAS, groups in total, in-the-50's, 60's, and over-70 group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by correlation analysis. Conclusions : DSKI and BMD of the patients group who are over 60, DSKI and VAS of the patiens over 50 years old were associated with each other.

3D 프린팅을 이용한 한국인 골밀도 맞춤 팬텀 개발 (Developing Customized Phantom for Korean Bone Density Using 3D Printing)

  • 이준호;최관용;최재호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2권3호
    • /
    • pp.223-229
    • /
    • 2019
  • In order to reduce the radiation exposure dose of the patient and to obtain accurate diagnosis results, the quality control of the diagnostic radiation generator must be conducted periodically In particular, bone density test equipment could be influenced by many factors, and it is far more important because inaccurate measurement would eventually affect the result value. However, the cross-correction phantom of DXA equipment is poorly penetrated due to lack of awareness of the industry and the high cost.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a BMD phantom using a 3D printer and Korean BMD phantom with low cost by cross analyzing Korean BMD value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nd evaluated it. The L1, L2, and L3 BMD values of phantoms produced with the 3D printer were measured to be $0.887{\pm}0.006g/cm^2$, $0.927{\pm}0.006g/cm^2$, and $0.960{\pm}0.005g/cm^2$, at 215 mm height and $0.882{\pm}0.011g/cm^2$, $0.914{\pm}0.005g/cm^2$, $0.933{\pm}0.008g/cm^2$ at 155 mm height display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evance. The result suggests that a proper quality control and cross calibration of DXA device be possible and expected to be an essential data for various medical phantom manufacture development using 3D printer.